『도문대작』은 조선시대 전국 각지의 특산물을 기록하며, 지역별로 유명했던 식품과 별미를 소개합니다. 당시에는 지금과 달리 지역별로 특산물과 맛이 다르기 때문에 그 가치가 높았습니다.
![]() |
조선시대 허균作.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 |
1. 조선 최고의 특산물과 별미
지역별 대표 특산물
한산 소곡주(경상도 한산) : 명주 누룩으로 빚어내는 전통 술, 은은하고 깊은 맛으로 유명
여주 감자(강원도 여주) : 쫄깃하고 담백한 맛으로 당시 별미로 꼽힘
함경도 산채와 해산물(함경도) : 척박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산나물과 해산물이 풍부
전라도 미나리, 배추(전라도) : 신선하고 질 좋은 채소류
2. 수산물
바다에 접한 조선의 여러 지역에서는 신선한 수산물이 많이 잡혀 귀한 음식으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동해, 남해, 서해 각 지역별로 잡히는 생선과 해산물이 차이가 컸습니다.
지역별 대표 수산물
광어(경상도 해안) : 부드럽고 담백한 맛, 고급 횟감
굴(남해안, 서해안) : 영양가 높고 바다의 별미
전복(제주, 남해안) : 귀한 해산물로 궁중 진상품
멸치(전라남도) : 소금에 절여 저장용으로 사용
게(동해안, 남해안) : 살이 통통하고 달콤해 별미
새우(남해안) : 신선한 생새우와 건새우 모두 인기
3. 과실류
조선시대 과일은 신선한 당분 공급원일 뿐 아니라 명절과 잔치 음식에 많이 쓰였습니다. 지역마다 기후에 맞는 품종이 발달했습니다.
지역별 대표 과실
배(전국) : 특히 충청도와 경기도가 유명, 아삭하고 당도 높음
복숭아(경기도, 충청도) : 달콤하고 향기로운 맛으로 인기가 높음
감(전라도, 경상도) : 단단하고 달콤한 품질 우수
밤(강원도, 충청도) : 고소하고 단단해 떡이나 간식 재료로 사용
대추(전국) : 건강식품 및 떡 속 재료로 널리 활용
4. 떡류
떡은 의례나 잔치, 명절에 반드시 등장하는 음식으로, 지역별로 고유의 떡 문화가 발전했습니다.
지역별 대표 떡
경단(전국) : 찹쌀가루로 만든 둥근 떡, 주로 잔치 음식
시루떡(전국) : 찹쌀과 팥, 콩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든 찜떡
약식(전국) : 밤, 잣, 대추 등 견과류와 과일을 넣은 달콤한 떡
송편(전국) : 추석에 반달 모양으로 빚으며 소에 콩, 깨 등을 넣음
5. 비조류 (조류 외 육류 및 기타 식재료)
조선시대에는 산악지대와 시골에서 사냥한 육류가 귀한 단백질 공급원이었고, 꿀과 같은 천연 감미료도 중요했습니다.
지역별 대표 비조류
사슴고기(산간 지방) : 귀한 고기로 보양식에 사용
멧돼지고기(산악 지역) : 진한 육향과 단단한 식감이 별미
꿩고기(산지) : 고급 진미로 약용과 식용 겸용
토끼고기(전국 산간지방) : 드물게 사용되는 육류
벌꿀(전국) : 천연 당분 및 약재로서 중요한 역할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