덥고 습한 여름이 되었습니다. 에어컨을 설치하려고 이것저것 알아보고 고민을 하게 됩니다. 시스템 에어컨과 스텐드 에어컨중 어느것이 우리 집에 더 맞을지 설치 고민을 하게 됩니다. 가격, 설치, 유지보수등 시스템 에어컨과 스탠드 에어컨(스탠딩·플로어형)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공간 크기, 설치 환경, 유지비, 냉방 효율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겠습니다.
시스템 에어컨
하나의 실외기에 여러 실내기를 연결하는 ‘멀티형’ 방식. 천장형 시스템, 벽걸이+스탠드 복합 구성 등 다양
장점
공간 효율 & 깔끔한 인테리어 유지공간별 개별 온도 조절 및 균일한 냉방
VRF 방식의 경우 에너지 효율 높음
단점
높은 초기 설치비, 복잡한 공사 필요AS 및 유지보수 비용, 천장 분해 청소 어려움
고장 시 전체 시스템 영향, 교체도 복잡
추천 대상
대형 아파트·고급 주택, 인테리어 중시, 장기적 관점 소비자스탠드 에어컨
바닥에 설치하는 독립형 실내기 + 외부 실외기 조합. 이동식 아님
장점
간편 설치, 비용 저렴, 설치 시간 짧음강력한 냉방, 특히 대형 거실에서 효과적
유지·관리 용이, 필터 청소 간단
단점
실내 공간 차지, (인테리어 영향을 받을 수 있음)소음 발생 가능성, (실내 압축기 구조상)
냉방 범위 제한, (방 하나 커버용)
추천 대상
리모델링 없이 빠르게 대형 공간 냉방하고 싶은 경우, 유지비 걱정 덜한 경우에 적합냉방 효율 & 전기료 비교
시스템 에어컨 - 인버터 방식 + 다실 제어 → 공간당 최적 효율적 운영. 다만, 많은 실내기 설치 시 전체 전기 사용량 증가
스탠드 에어컨 - 인버터 방식 + 단일 룸 냉방 최적이지만, 여러 대 운영 시 비효율성 발생 가능. 소음, 공간 점유 등 단점 존재
설치·AS·청소 비교
시스템 에어컨 - 설치 복잡, 배관/천장 공사 필수, 설치기간 길고 전문 인력 필요. AS비용 높고, 천장 분해 청소 번거로우며 비용 부담 있음. (1년 1회 청소 - 고비용)
스탠드 에어컨 - 설치 간단(2~3시간), DIY로 충분. 필터 청소, 정기 관리도 비용 적고 수월. (1년 1회 청소 - 저비용 또는 DIY가능)
요약
항목 | 시스템 에어컨 | 스탠드 에어컨 |
---|---|---|
설치 난이도 | 복잡, 전문적 | 간편, DIY 가능 |
초기 비용 | 높음 | 중간~낮음 |
냉방 범위 | 다실 동시 냉방 가능 | 개별 룸 중심 |
공간 활용 | 벽·천장 매립 → 공간 절약 | 바닥 점유 |
유지보수 | 청소 어려움, AS 비용 높음 | 간단, 비용 적음. DIY 가능 |
전기 효율 | 인버터+멀티 → 효율적 | 단일 룸 기준 적당 |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할까?
예산이 우선이라면? - 스탠드 에어컨 추천
다실 동시 냉방 + 인테리어 중시 - 시스템 에어컨 추천
깔끔한 디자인 + 에너지 절약 효율 추구 - 시스템 에어컨 유리
간편 설치 + 유지비 적음 + 이동 가능성 - 스탠드형이 적합
총정리
전체 집 냉방, 고급스러움, 에너지 효율, 장기 투자 → 시스템 에어컨
빠른 설치, 저비용, 유지 용이, 공간 커버 최소화 → 스탠드 에어컨
시스템 에어컨 청소(곰팡이) - 1년에 1회 업체의뢰 (고비용)
스텐드(벽걸이) 에어컨 청소(곰팡이) - 1년에 1회 업체의뢰 또는 DIY (저비용)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자면,
신축 설치시 "시스템 에어컨"
구축 또는 이사시 "스텐드 + 벽걸이 에어컨"을 선택하겠습니다.
시스템, 스텐드... 에어컨을 선택하셨다면 꼭 기억하실것은 유지보수 입니다.
1년에 2회 청소(곰팡이)!!! (에어컨 가동시기 여름전 1회, 에어컨 가동시기 여름후 1회 = 총 2회)
또는 매년 에어컨 가동시기 여름전 1회 - 스팀 & 물청소로 곰팡이 제거는 확실하게 해 주셔야 합니다.
에어컨의 시원함만 생각하시고 청소를 잊는다면 곰팡이 포자가 입과 코, 폐까지 들어올 수 있다는 걸 기억하세요.
올바른 사용법으로 에어컨 잘 사용하시고 시원하고 건강한 여름 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