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12간지와 10천간(십간)의 의미와 활용법 - 간지(干支)에 대한 지식

12간지와 10천간(십간)의 기본 개념과 조합인 육십갑자를 쉽게 이해하고, 환갑까지 이어지는 전통 간지 활용법을 소개합니다.

 

12간지



십간(十干: 天干)의 의미

- 다음 天干(천간:십간)과 地支(지지:십이지)의 내용을 한 번 상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천간 지지

천간(天干) -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 [10개]

 지지(地支) - 자(쥐), 축(소), 인(호랑이), 묘(토끼), 진(용), 사(뱀), 오(말), 미(양), 신(원  숭이), 유(닭), 술(개), 해(돼지) - [12개]
 
간지 이해에 주의할 점은 한자들의 모양과 발음입니다. 천간의 '戊(무)'와 지지의 '戌(술)'의 한자  모양에 주의하고, 천간의 '신(辛)'과 지지의 '신(申)'의 발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ib612.com

간지(干支)에 관한 기본 개념

간지는 먼저 천간(天干)을 표기하고, 그 뒤에 지지(地支)를 붙여 표기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갑자(甲子)’나 ‘을축(乙丑)’ 같은 형태가 이에 해당합니다. 천간과 지지를 조합하면 총 60가지의 조합이 만들어지는데, 이 마지막 조합이 ‘계해(癸亥)’입니다. 이러한 60가지 조합을 ‘육십갑자(六十甲子)’라고 하며, 줄여서 ‘육갑’이라고도 부르지만, 이 표현은 상황에 따라 조심스럽게 사용해야 합니다.ib612.com
개인의 출생 간지는 60년이 지나면 다시 같은 간지로 돌아오게 되는데, 이를 ‘환갑(還甲)’이라 하며, 보통 만 60세 생일을 의미합니다. 즉, 60년 주기로 간지가 순환하는 것입니다.
실생활에서 간지를 활용할 때는 천간과 지지의 순서와 갯수만 이해하면 충분하며, 무조건 ‘갑자’부터 ‘계해’까지 모든 60가지를 암기하거나 표를 가지고 다닐 필요는 없습니다.
십간(천간)과 십이지(지지)의 기본 개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간지와 역법에 관한 별도의 설명을 참고하면 됩니다.

간지(干支)나 절기(節氣)를 비롯한 다양한 전통 생활 방식들을 단순히 옛 시대의 흔적이나 쓸모없는 것으로 치부한다면, 우리 민족이 오랜 세월 동안 이어온 소중한 문화 유산을 스스로 외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밖에 없습니다. 진정한 전통 문화는 그 가치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현대적인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계승할 때 비로소 다음 세대에게 자랑스러운 유산으로 남길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