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작물
논 관리
출수 전 물 조절과 피사리 제거를 철저히 하고, 잡초 이삭은 뽑아냅니다.
조생종 및 중생종 벼의 이삭도열병 방제를 위해
1차 방제: 출수 예상일 약 일주일 전 실시
2차 방제: 1차 후 5~7일 이내, 멸구 방제약과 혼합 사용
세균성 벼알마름병, 혹병나방, 멸구류 및 비래해충도 함께 방제해야 합니다.
기상재해 대비
침수된 논은 빠르게 물을 제거하고, 잔해물을 씻어내어 작물 피해를 최소화합니다.
저온 대비
기온이 낮을 땐 물을 따뜻하게 유지해 벼 생육을 도와줍니다.ib612.com
밭작물 병해충 통합 방제
콩, 참깨, 땅콩 등은 병충해 발생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일괄 방제가 효과적입니다.
친환경 벼 재배 논 관리
이삭이 생기기 전, 논에서 오리를 빼내는 것이 좋습니다.
보리·밀 종자 신청
정부 보급종은 해당 읍·면·동 농업기관을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추기용 봄감자 종자 확보
신청 기간: 8월 10일 ~ 20일
토양 정보 관리
친환경 인증이나 GAP 재배를 위한 토양검정을 실시하고, ‘흙토람’ 웹사이트에서 비료 사용처방서를 확인해 활용합니다.
원예·특용작물
고추 웃거름 및 병충해 방제
탄저병, 역병, 담배나방 등 주요 해충을 집중 방제하고, 요소 40g을 물 20ℓ에 희석해 엽면 시비합니다.
김장채소 파종 시작
배추, 무 등 김장 채소의 씨앗 뿌리기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과수원 관리
과수는 고온기 토양 수분을 유지하고, 햇볕 데임(일소)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느타리버섯 가을재배 준비
재배사 내부를 포르말린(40배 희석, 5~6ℓ)으로 소독하고, 폐면 3~4톤, 볏짚 5~6톤, 우량 종균(3.3㎡당 약 5.4~6.8kg)을 준비합니다.
인삼 파종 준비
씨눈이 잘 트도록 관리해 파종을 위한 준비를 시작합니다.ib612.com
농업용 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등을 적절히 활용하여 생육을 도모합니다.
축산
폭염 대비 환기 관리
축사의 환풍 시스템과 단열 상태를 점검해 더위에 대비합니다.
고온기 방목 제한
낮 기온이 30도 이상일 때는 방목을 삼가야 합니다.
외부기생충 방제
모기와 같은 해충은 조기에 방제해 가축 건강을 지킵니다.
운동장 환경 개선
가축 운동장에는 그늘을 만들어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기립불능증 예방
소의 기립불능증을 예방하려면 고온 스트레스를 줄이고 허약 개체를 특별히 관리해야 합니다.
유익균 활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을 활용한 축산미생물 적용으로 장 건강과 악취 저감에 도움을 줍니다.
정기 소독
매주 수요일은 전국 일제 소독의 날로 운영되므로 철저히 참여해야 합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