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쓰이는 볼링 용어
스트라이크 (Strike) - 한 프레임의 첫 번째 투구에서 10개의 핀을 모두 쓰러뜨린 경우.
더블 (Double) - 두 번 연속으로 스트라이크를 기록한 경우.
터키 (Turkey) - 세 프레임 연속 스트라이크.
포베거 (4-bagger) - 네 번 연속 스트라이크.
파이브베거 (5-bagger) - 다섯 프레임 연속 스트라이크.
식스베거 (6-bagger) - 여섯 번 연속 스트라이크.
세븐 인 어 로우 (7 in a row) - 일곱 번 연속 스트라이크.
에잇 컨세큐티브 스트라이크 (8 consecutive strikes) - 여덟 프레임 연속 스트라이크.
나인 컨세큐티브 스트라이크 (9 consecutive strikes) - 아홉 프레임 연속 스트라이크.
텐 컨세큐티브 스트라이크 (10 consecutive strikes) - 열 번 연속 스트라이크.
일레븐 컨세큐티브 스트라이크 (11 consecutive strikes) - 열한 번 연속 스트라이크.
퍼펙트 게임 (Perfect Game) - 한 게임(10프레임) 동안 스트라이크를 12번 연속으로 기록하여 만점인 300점을 달성한 경우.
스페어 (Spare) - 첫 투구에서 핀을 다 쓰러뜨리지 못했지만, 두 번째 투구로 남은 핀을 모두 처리한 경우.
볼링 점수 계산 원리
1. 핀 하나는 1점으로 계산된다.
2. 스페어는 기본 10점에, 다음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 개수를 더한다.
3. 스트라이크는 기본 10점에, 다음 두 번의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 개수를 더한다.
4. 마지막 10번째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나 스페어를 기록하면 추가 투구 기회가 최대 3번까지 주어진다.
예시로 보는 점수 계산
스트라이크 점수 계산
스트라이크 공식 - '스트라이크 점수' = 10점 + 이후 두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 개수의 합
예를 들어, 3번째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를 기록한 뒤, 4번째 프레임에서 7핀과 1핀을 쓰러뜨렸다면
2프레임까지 점수가 15점이라면, 3프레임의 점수는 15 + 10(스트라이크) + 7 + 1 = 33점이 된다.
또 다른 예시)
6~9프레임까지 연속으로 스트라이크를 기록해 ‘포베거(4연속 스트라이크)’가 나왔다면, 6프레임의 점수는 다음 두 프레임의 투구까지 반영된다.
예컨대 5프레임까지 49점이고, 이후 프레임 모두 스트라이크라면
6프레임 점수 = 49 + 10(스트라이크) + 10(다음) + 10(다다음) = 79점
같은 방식으로 8프레임 점수는 7프레임까지 합산 점수 109점 + 10(스트라이크) + 10(다음) + 8(다다음) = 137점. 한 프레임에서 받을 수 있는 최대 점수는 30점이다.
스페어 점수 계산
스페어 공식 - '스페어 점수' = 10점 + 다음 투구에서 쓰러뜨린 핀 개수
예를 들어, 10번째 프레임에서 첫 투구로 8핀, 두 번째 투구로 2핀을 쳐 스페어가 되고, 추가 투구에서 3핀을 쳤다면
9프레임까지 점수가 157점이라면, 10프레임 점수는
157 + 10(스페어) + 3(보너스 투구) = 170점
볼링 점수표 작성법
- 볼링은 총 10프레임으로 진행된다.
- 각 프레임마다 최대 2번까지 투구할 수 있다.
- 단, 10번째 프레임에서 스트라이크나 스페어가 나오면 추가 투구가 1번(스페어) 또는 2번(스트라이크) 더 주어진다.
점수표에 쓰는 기호
스트라이크 - 'X'
스페어 - '/'
미스(핀 하나도 못침) - '-'
각 프레임의 첫 투구와 두 번째 투구는 나란히 기록한다.
예)
프레임 | 1 | 2 | 3 | ... | 10 |
---|---|---|---|---|---|
투구 | X | 7 / | 9 0 | ... | X X X |
점수 | 20 | 39 | 48 | ... | 300 |
실제 기록 예시
1. 스트라이크가 나온 경우
첫 투구에 X 표시.
두 번째 투구 칸은 비워둔다.
점수는 다음 두 투구 결과가 나와야 합산해서 확정된다.
2. 스페어가 나온 경우
첫 투구는 핀 개수를 적고, 두 번째 투구는 / 로 표기.
점수는 다음 첫 투구 결과가 나와야 확정된다.
3. 오픈 프레임(미스)
핀을 다 못 쓰러뜨리고 스페어도 못 하면 두 투구 결과를 그대로 숫자로 적는다.
점수 기록 예시
예)
프레 임 | 1 | 2 | 3 | 4 |
---|---|---|---|---|
투구 | X | 7 / | 9 0 | X |
점수 | 20 | 39 | 48 | - |
1프레임 - 스트라이크라 기본 10점 + 2프레임 두 투구 점수(7+3) = 20점
2프레임 - 스페어라 기본 10점 + 3프레임 첫 투구(9) = 29점 → 이전 점수 20 + 29 = 누적 39점
3프레임 - 오픈 프레임이라 9점 → 이전 누적 39 + 9 = 48점
4프레임 - 스트라이크라 다음 두 투구 점수가 나와야 계산 가능 → 잠시 보류
마지막 10번째 프레임
스트라이크를 치면 추가로 두 번 더 투구.
스페어를 기록하면 추가로 한 번 더 투구.
마지막 프레임은 최대 3칸으로 기록한다.
예) X | X | X → 퍼펙트 게임이면 12연속 스트라이크로 300점.
Tip.
스트라이크가 많으면 계산이 꼬일 수 있으니, 점수는 다음 두 투구 결과가 나올 때까지 미리 적지 않는다.
스코어카드 양식을 출력해두면 편하다!
모바일 앱으로 자동 계산하는 것도 추천. (앱이 편하긴 합니다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