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1월 15일은 ‘정월대보름’이라 불리며, 새해를 맞아 처음으로 꽉 찬 달이 뜨는 날입니다. 이 날은 도교에서 ‘상원(上元)’이라 불리며, 상원·중원·하원으로 이어지는 삼원 중 첫번째 축제입니다. 옛 사람들은 이 날을 ‘오기일(烏忌日)’이라 불러 까마귀와 관련한 다양한 풍습을 행했습니다. 정월은 천·지·인의 조화가 이루어지는 달로 여겨졌고, 각 부족이나 마을이 하나 되어 조화를 이루고, 한 해의 평안과 복을 기원하던 시기였습니다.
한국의 정월대보름 풍습
대표적인 행사
보름새기 - 이 날 밤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얘진다는 속설에 따라, 잠든 가족의 눈썹에 밀가루를 묻혀 장난을 치기도 합니다.
더위팔기 - 아침 해가 뜨기 전에 다른 사람에게 “내 더위 사세요!”라 외치며 여름 더위를 팔아 치우는 풍습입니다.
달맞이·달집태우기 - 산이나 언덕에 올라 정월 보름달을 바라보며 풍년을 기원하고, 달이 떠오를 때 달집을 태워 액운을 날립니다.ib612.com
지신밟기 - 농악을 연주하며 마을을 돌고 집집마다 복을 기원합니다.
다리밟기 - 다리를 밟으면 다리가 튼튼해진다고 믿어 마을 사람들이 다리를 찾는 풍습도 존재합니다.
대보름 음식
오곡밥 - 다섯 가지 이상의 곡물을 섞은 영양밥을 먹으며 풍년을 기원합니다.
부럼 깨기 - 밤, 호두, 잣 같은 견과류를 이로 깨물며 부스럼이 나지 않길 바랍니다.
진채식 - 말린 나물을 조리해 먹는데, 보통 아홉 가지나 열 가지로 풍성하게 차립니다.
귀밝이술 - 차가운 술을 한 잔 마시며 귀가 밝아지고 좋은 소식을 많이 듣길 비는 의식입니다.
가축과 관련된 풍습
소밥주기 - 소에게 특별히 마련한 밥과 나물을 주며 한 해의 수고에 감사합니다.
까마귀밥 - 까마귀에게 밥을 던져주며 액운을 떨쳐보낸다는 믿음도 있습니다.
전통 놀이
쥐불놀이 - 논두렁에 불을 놓아 해충을 박멸하고, 풍년을 바라는 놀이입니다.ib612.com
연날리기 - 겨우내 띄웠던 연을 마지막으로 날려 보내고 더는 띄우지 않는 풍습입니다.
횃불싸움·널뛰기·사자희 - 마을 단위로 벌이는 집단 놀이로 공동체 정신을 확인하는 시간입니다.
중국·일본의 대보름
중국에서는 콩죽을 지어 문 앞에 바치거나 화려한 등불을 밝혀 분위기를 띄웁니다. 아이들은 폭죽을 터뜨리며 한 해의 시작을 축하합니다.
일본에서는 ‘소정월(小正月)’이라 부르며 붉은 팥죽을 끓여 먹어 액을 막는 풍습이 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