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는 이삭이 팬 후 40~55일 사이가 수확 적기입니다. 품종과 재배 지역에 따라 이 시기는 조금씩 달라지며, 너무 일찍 수확하면 청미(덜 익은 푸른 쌀알), 너무 늦으면 깨짐이나 흠집이 증가하여 완전미율이 떨어집니다. 특히 이삭의 90% 이상이 황색으로 변하고, 쌀알이 단단해진 시점에 수확하는 것이 보다 더 좋은 품직의 쌀을 얻을 수 있습니다. 벼 출수 후 적산온도 1,100~1,200℃에 도달했을 때 수확하면 수량과 완전미율이 높아집니다
-----------------------------------------------------------------------------------------
- 적산온도 란? <농경 전문용어>
적산온도란 벼(작물)의 생육기간중 0℃이상의 일 평균기온을 합계한 값을 말하며, 벼 품종과 이앙시기에 따라 달라지나, 대략 범위는 2,500∼4,000℃이다. 파종전에 종자를 물에 침종시키는 데에도 적산온도 기준으로 100℃가 필요하다. 즉, 수온이 25℃이면 4 일, 20℃이면 5일 침종하면 종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수분을 흡수하게 된다. 영양 생장기에는 한매의 잎이 출현하는데에 요구되는 적산온도는 약 100℃이며, 생식생장기에는 170∼180℃가 소요된다. 지엽의 추출완료로부터 이삭패는 시기까지는 약 200℃, 이삭팬 후 성숙기 까지는 800∼880℃의 적산온도가 필요하다.
-----------------------------------------------------------------------------------------
지역별 쌀 수확 시기
지역 구분 | 재배 품종 | 수확 시기 예시 | 주요 포인트 |
---|---|---|---|
남부 지방 (전남·경남 등) |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 | 8월 하순 ~ 9월 초 (조생종 기준) | 따뜻한 기후로 이른 출수가 가능하며, 9월 중순까지 수확 분산 가능 |
중부 지방 (경기·충청 등) | 중생종·중만생종 | 9월 중순 ~ 10월 초 | 남부보다 약간 늦어, 적정한 중간 생육기간 확보 가능 |
강원 고랭지/북부 | 중만생종·만생종 | 10월 초 ~ 중순 | 일교차 큰 고랭지에서 천천히 익으며 품질 유지 가능 |
전국 일반 기준 | 조생종 40일, 중생종 45일, 만생종 50일 | 이삭 팬 후 40~55일 내 | 40~55일은 재배 환경 따라 달라지는 범위.ib612.com |
강화군 사례
강화군에서는 조생종 품종인 강들미, 여르미를 8월 하순에 수확하고 있으며, 중생종·중만생종(나들미·삼광)은 10월 이후 수확합니다. (노동력 분산과 기후 변화 대응)
수확 판단 방법 & 확인사항
이삭 색 변화
이삭 알이 90% 이상 황색으로 변했을 때 수확해야 품질이 높습니다.
촉감 테스트
이삭을 손으로 문질렀을 때 쌀알이 쉽게 떨어지지 않고 찰기가 느껴진다면 적기입니다.
적산온도 확인
벼 출수 후 1,100~1,200℃ 누적되면 수확 시점이며, 수량과 도정률 향상에 효과적입니다.
기상 조건 고려
장마나 태풍 예보가 있는 경우 미리 수확하면 수발아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간단요약 및 설명
벼는 출수(이삭이 나옴) 이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잘 여뭅니다.
40~55일 후, 특히 적산온도 1,100~1,200℃를 달성하면 밥맛 좋은 쌀이 됩니다.
남쪽은 8~9월, 중부는 9~10월, 북쪽과 고랭지는 10월까지 천천히 수확합니다.
외관(황색 이삭), 손맛(찰기), 기후(비·태풍) 모두 확인.ib612.com
끝으로
한국의 쌀 수확 시기는 기후, 품종, 지역별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남부·중부·북부의 기온 차와 출수 시점 후 적산온도 누적 여부가 품질에 큰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이삭 색깔, 촉감, 날씨 예보를 복합적으로 살펴보고, 너무 이르거나 늦지 않게 적절한 시점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