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볼 수 있습니다. |
홍예문 (虹霓門) 이란?
문얼굴의 윗머리가 무지개같이 반원형(半圓形)이 되게 만든 문
홍예문 (虹霓門) 기준 명칭도
1. 잡상(雜像) - 건물의 지붕 추녀마루 위에 올린 작은 동물 또는 인물 모양의 장식물.
(장식성과 함께 잡귀를 쫓는 의미를 지님. 왕궁이나 관청 등 중요한 건물에만 설치됨.)
2. 양성한 용마루 - 건물의 지붕 꼭대기를 따라 설치된 중심 마루로, 좌우로 용이 대칭된 모양의 기와 구조.
(건축의 마감선이자 구조 보강, 상징적인 의미로도 중요.)ib612.com
3. 취두(鷲頭) - 용마루 양 끝에 얹는 머리 모양의 장식기와. 보통 새(鷲)나 용의 머리 모양.
(마감, 장식, 잡귀를 쫓는 주술적 의미.)
4. 용두(龍頭) - 건물의 지붕 추녀 끝에 달린 용 모양의 장식.
(장식과 상징성을 가지며, 잡귀를 막는 의미.)
5. 총안(銃眼) - 성벽이나 성문 주변에 만들어진, 총이나 화살을 쏠 수 있도록 뚫은 작은 구멍.
(방어용 사격구. 내부에서 적을 공격할 수 있음.)
6. 여장(女墻) - 성 위에 설치된 낮은 담장.
(병사들이 몸을 숨기며 공격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어시설.)
7. 협문(挾門) - 큰 성문(정문) 옆에 있는 작고 협소한 문.
(평상시 통행용으로 사용되며, 유사시엔 쉽게 차단 가능.)
8. 석조루(石造樓) - 돌로 만든 2층 구조물. 성문 위에 설치된 누각.
(망루나 지휘소 역할. 지휘·감시·방어에 사용.)ib612.com
9. 오성지문(五城之門) - 조선시대 수도 한양의 주요 5대 성문(숭례문, 흥인지문 등).
(각 성문은 도성의 방위를 대표하며 행정적, 군사적 중심 역할.)
10. 홍예문(虹霓門) - 무지개 모양의 아치형 돌문. 성문 아래를 이루는 아치 구조.
(무게를 분산하여 견고함을 더하며, 외형적으로 아름다움도 강조.)
11. 철갑문(鐵甲門) - 철판으로 덧대어 만든 성문.
(방어력 강화. 불이나 무기로부터 성문을 보호.)
12. 호예기석(護霓基石) - 홍예문을 보호하는 기초석(주초).
(아치문이 무너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기초 구조물.)
13. 타(墮) - 성 위에서 떨어뜨리는 방어용 돌(낙석)이나 돌을 굴리는 장치.
(적이 성문에 접근할 때 위에서 떨어뜨려 방어함.)
14. 현안(懸眼) - 성루나 성문에 매달린 창문 혹은 조망용 구멍.
(적의 동태를 관찰하거나 공격용으로 사용.)
15. 육축(六築) - 성곽 건축의 여섯 가지 요소를 의미 (일반적으로 성벽, 성문, 옹성, 포루, 해자, 여장 등 포함).
(전체 방어 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구성 요소.)
16. 옹성(甕城) - 성문 바깥쪽에 반달 모양으로 덧붙인 또 하나의 성벽.
(성문 방어 강화. 적이 성문에 바로 접근하지 못하게 함.)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