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건축의 문 구조와 용어,명칭
전통 한옥 문과 기둥 구조의 명칭과 역할을 쉽게 정리한 글입니다.

집에가고싶다0 mins read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볼 수 있습니다. |
문 기본 구조 부재 및 용어
용어 |
설명 |
목기연(木技椽) |
‘연(椽)’은 지붕의 기와를 받치는 부재로, ‘목기연’은 나무로 만든 연을 뜻합니다. 처마 끝에 위치해 기와를 지탱하는 구조입니다. |
주심포(柱心包) |
기둥 위에 간단하게 공포(포작)를 얹는 형식. 고려·조선 시대 불전이나 문루 등에서 쓰이며, 간결하고 실용적인 구조입니다. |
종보(宗栱) |
대들보와 같은 주요 구조를 받치기 위한 중요한 보. ‘종(宗)’은 중심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 중심축에 놓이는 보입니다. |
대들보 |
건축물의 가로 방향 중심을 지지하는 가장 큰 보. 기둥 위에 걸쳐서 건물 전체 무게를 지탱하는 핵심 부재입니다.ib612.com |
맞배기와지붕 |
양쪽 경사면이 평행하고 박공면이 있는 기와지붕 형태. 가장 단순하고 흔히 볼 수 있는 전통 지붕 구조입니다. |
박공판(垂直板) |
맞배지붕 끝의 삼각형 벽면에 세우는 수직 판재. 바람막이 또는 장식 기능을 겸함. |
홑처마 |
처마가 한 겹으로 된 구조. 이중 처마인 ‘겹처마’에 대비되는 간단한 형태입니다. |
귀기둥 |
건물 네 귀퉁이에 위치한 기둥.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이고, 외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평기둥 |
일반적인 직선 형태의 기둥. 별도의 장식이나 곡선 없이 수직으로 세워지는 기본 기둥입니다. |
문 구성 요소
용어 |
설명 |
원초(元礎) |
기둥 밑에 놓이는 가장 기본적인 초석. 건물의 하중을 지면에 고르게 전달하는 기초 역할을 합니다. |
방초(方礎) |
네모난 형태의 초석. 원초와 달리 모양이 각진 것이 특징이며, 시각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줍니다.ib612.com |
문지방 |
문 아래 가로로 놓인 나무나 석재 부재. 출입 시 밟고 넘어가는 부분이며, 경계를 상징하는 역할도 합니다. |
신방목(身枋木) |
문틀 양옆을 지탱하는 수직 목재. 문의 구조적 틀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 중 하나입니다. |
외벌대 |
문틀이나 창틀에서 단일 방향으로 설치된 가로 목재. 가로 지지를 제공하며, ‘내벌대’와 대비됩니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