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중년 남녀 복부비만, 내장지방이 부르는 건강경고를 알려드립니다.

중년 남녀 복부비만, 방치하면 당뇨·심장병 위험! 원인과 예방법까지 쉽게 정리한 건강정보 가이드입니다.

 중년이 되면 갑작스럽게 내장지방이 쉽게 쌓이고, 허리둘레가 불어나기 시작합니다. 야근, 야식, 음주, 담배, 스트레스와 운동부족등 여러가지 요인들이 복부비만을 만들고 있습니다. 복부비만은 단순한 뱃살이 아닌 허리 둘레(복부 지방)가 증가하여 건강을 위협하는 상태입니다. 주로 내장지방이 증가하여 심혈관 질환, 당뇨병, 고혈압, 심지어 일부 암까지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뱃살’의 문제가 아닙니다. 여러가지 성인병의 시작, 건강을 잃을 수 있는 위험의 시작인 것입니다.


내장지방

복부비만의 기준

남성 - 허리둘레 ≥ 90cm
여성 - 허리둘레 ≥ 85cm
(한국비만학회·WHO 기준) 

BMI(체질량지수) 25 이상도 일반 비만으로 분류되지만, 허리둘레로 보는 복부비만이 건강에 더 민감합니다.ib612.com

몸 속 지방
몸 속 지방

중년 남녀 복부비만 현황

1. 남성

2009년 대비 2019년 복부비만 유병률 상승 - 20.7% → 29.3% 
2021년 기준 비만(전체)는 남성 49.2%, 복부비만 증가 추세 
특히 30·40대 남성의 복부비만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2. 여성

2019년 여성 복부비만율 - 약 19% 
50대 중반 이후 복부비만율이 남성보다 더 높아지는 경향 
2021년 기준 전체 여성 비만율은 27.8%, 복부비만 꾸준 상승 중 

중년기에 복부비만이 심해지는 이유

호르몬 변화
남성 - 테스토스테론 감소로 인한 근육량 저하와 지방 축적 증가
여성 - 폐경 후 에스트로겐 감소 → 하체 지방이 복부로 이동 

활동량 감소
사무직 중심의 중년, 하루 5시간 이상 앉아 있다 보니 복부비만 위험 1.5배 증가 

수면 부족
주말에도 7시간 미만 수면 시 복부비만 위험 1.4배 높아짐 

복부비만이 건강에 미치는 나쁜 영향

만성 질환 위험 증가
2형 당뇨 - 비만, 복부비만 모두 ~2.6배 위험 증가 
심근경색, 뇌졸중도 유의미하게 증가 

암 발병 가능성
간·대장암, 갑상선암 등 복부비만 시 발생 가능성 증가 

정신건강에도 영향
허리 둘레 큰 남성은 우울증 위험 9%↑, 여성은 3%↑ 

몸 속 노란지방 - 성인병

몸 속 노란지방 - 성인병2

Play버튼을 눌러 시청하세요.


Play버튼을 눌러 시청하세요.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운동 습관 만들기 (중강도 운동) - 주 150분 이상 또는 고강도 75분 이상 추천 

앉아 있는 시간 줄이기 - 휴식마다 5분씩 몸 풀기, 서서 일하기 등 적극적으로 움직이기

수면 습관 유지 - 주중·주말 포함 매일 7~9시간 수면이 좋습니다.

균형 잡힌 식사 - 정제탄수화물 줄이고, 단백질·채소 중심 식단으로 전환

과당·트랜스지방 섭취 줄이기 - 복부 지방 축적 주요 요인 ib612.com

스트레스 관리 - 과도한 스트레스 → 코티솔 분비 → 복부 지방 축적 → 우울증 유발 악순환 끊기

기초대사량 유지 - 근력운동 병행으로 근육량 유지·기초대사량 유지


건강한 심장, 건강에 해로운 심장
어떤 심장이 좋아보이세요?


정리하자면...

항목 내용
 정의  남 ≥90cm, 여 ≥85cm 허리둘레
 현황  남성 30대·40대 초 고위험 / 여성 50대 중반 이후 증가 
 주요 위험   심장질환, 당뇨, 암, 우울증 등
 개선 방법   운동, 수면, 스트레스 관리, 식단 개선, 활동량 높이기 

끝으로

중년은 건강을 맹신할 수 없는 시기입니다. 특히 허리둘레의 변화는 외모 변화 뿐 아니라 몸 속 건강 위험을 알리는 경고 신호인 것입니다. 규칙적인 운동, 수면, 식단 관리, 스트레스 해소등의  습관을 들이도록 노력해야하는 시기입니다. 누구나 아는 사실 하나 말씀드립니다.
 
"건강한 몸, 아픈 몸, 건강은 내가 만든겁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 꼭 이루시고 그렇게 되도록 기원해드리겠습니다.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