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세책례(洗冊禮)와 단자수신(單字修身)

책 한 권을 뗄 때마다 열던 조선의 교육 의식, 세책례. 스승의 덕목 한 글자에 담긴 인성과 배움의 철학을 되새겨보세요.
단원 김홍도<서당>
단원 김홍도<서당>

 조선 시대의 서당에서는 아이가 책 한 권을 마칠 때마다 작은 의식을 열었습니다. 이 의식은 단순한 기념이 아닌, 스승과 동문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고 자신의 배움에 대한 다짐을 새롭게 다지는 뜻깊은 자리였습니다.

-----------------------------------------------------------------------------------------------------------

세책례(洗冊禮)

- 오래 학문에 정진하라는 뜻의 국수와학문을 가득 채우라는 뜻의 송편으로 차린 소박한 상.

- 조선 시대 서당에서 책 한 권을 뗄 때마다 어김없이 했던 예식.  스승과 동문수학하던 벗들에게 음식을 차려 감사를 표하던 조촐한 잔치.ib612.com


단자수신(單字修身)

-하나의 한자로 몸과 마음을 닦는다. / 하나의 글자로 수양한다.

즉, 게으른 학생에게는 부지런함을 뜻하는 '勤(근)'자를, 성급한 학생에게는 참을성을 뜻하는 '忍(인)'자를 봉투에 담아 선물하였습니다.


단자의 예)

글자 음(훈) 간단한 뜻
인(참을 인) 고통과 분노를 견디는 마음
경(공경할 경) 사람과 하늘을 공손히 대하는 마음
성(정성 성) 거짓 없음, 진심에서 우러나는 태도
정(고요할 정) 번잡한 마음을 가라앉히는 고요함
화(화할 화) 조화와 평화를 지키는 삶
서(용서할 서) 남을 이해하고 용서하는 마음
의(옳을 의) 의로움, 마땅함을 따르는 자세
렴(청렴할 렴) 욕심 없이 바르고 청렴한 삶
근(부지런할 근) 게으름 없이 성실히 임함
중(가운데 중) 치우치지 않는 중용(中庸)의 덕

-----------------------------------------------------------------------------------------------------------

상 위에는 국수와 송편이 놓였습니다. 국수는 오래도록 학문에 정진하라는 뜻을 담고, 송편은 학문이 알차게 영글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 있었습니다. 겉보기에 소박하지만, 속뜻은 그보다 깊었습니다.

스승은 학생의 성향에 따라 한 글자를 골라 봉투에 담아 선물했습니다. 게으른 아이에겐 ‘勤(근)’이라 적어 부지런함을 일깨웠고, 조급한 아이에겐 ‘忍(인)’을 써서 인내를 배우게 했습니다. 성적이 아닌 인품과 태도를 가늠하여 전한 ‘단자수신(單字修身)’ — 한 글자를 통해 몸과 마음을 닦는 공부를 강조한 교육이었습니다.ib612.com

이때의 ‘세책(洗冊)’에서 ‘세(洗)’는 단순히 씻는다는 의미가 아니라, 책을 통해 자신을 갈고 닦는다는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다. 스승은 단정한 자세로 공부에 임하라는 뜻을 이 의식을 통해 전했습니다.

세책례는 단지 공부의 진도를 기념하는 자리가 아니라, 학문보다 더 중요한 ‘사람됨’과 배움의 태도를 되새기게 하는 선조들의 교육 철학이 담긴 아름다운 풍속입니다.


댓글 쓰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