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SK텔레콤(SKT)의 대규모 해킹 사고 이후, 정부는 SKT에 대해 위약금 면제 조치를 권고했고, SKT는 이에 따라 한시적 면제 기간을 설정했습니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온·오프라인에서 별도지원금을 받고 번호이동(번이) 또는 기기변경(기변)한 가입자들이 회선 의무사용기간을 지키지 않고 타 통신사로 이동할 경우, 판매자(대리점)가 지원금 환수 조치를 당하고, 그 피해가 가입자에게 금전적 패널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SKT 위약금 면제 조건과 기간
적용 기간 - 2025년 4월 19일 ~ 7월 14일
대상자 - 2025년 4월 18일 기준 SKT 약정 가입자 중, 해당 기간 내 해지 또는 번호이동한 고객
면제 항목 - 단말기 공시지원금 반환금, 선택약정 할인 반환금
제외 항목 - 단말기 할부금은 면제 대상 아님
신청 방법 - 7월 15일부터 T월드 앱, 홈페이지, 매장, 고객센터를 통해 신청 가능
* 이 면제는 SKT의 귀책사유로 인한 정부 권고에 따른 조치이며, 모든 해지나 번호이동에 자동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반드시 T월드에서 환급 대상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
SK텔레콤 통신 위약금 바로가기 링크 :
▶ [통신 위약금 환급 안내] 바로가기
▶ [통신 위약금 환급 조회] 바로가기
▶ [통신 위약금 환급 FAQ] 바로가기
--------------------------------------------------------------------------
별도지원금과 회선 의무사용기간의 관계
대리점이나 온라인 판매처에서 단말기 구매 시, SKT의 공시지원금 외에 추가 지원금(리베이트)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판매자는 가입자에게 일정 기간 동안 고가 요금제, 부가서비스 유지를 조건으로 지원금을 제공합니다.
의무사용기간 - 일반적으로 3~6개월 (요금제, 부가서비스 포함)
위반 시 - 판매자가 지원금 환수 대상이 되며, 가입자에게 패널티 청구 또는 민원 발생 가능성 있음
주의사항 - SKT의 위약금 면제 기간이라도, 판매자와의 약속된 조건을 지키지 않으면 금전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음
타 통신사로 이동 전 반드시 확인할 사항
SKT 공식 면제 기간 내 해지/번호이동인지 확인
판매처와의 의무사용기간 조건 충족 여부 확인
단말기 할부금 잔액 확인
T월드에서 위약금 환급 대상 여부 조회
유심기변 또는 확정기변 여부에 따른 서비스 제한 여부 확인
기억하세요
유심기변은 약정과 무관하게 자유롭게 가능하지만, 지원금 수령 시 최소 6개월 유지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습니다
확정기변은 통신사 시스템에 기기 등록이 필요하며, 중고 거래나 제조사 서비스 이용 시 유리합니다
요금제 변경은 알뜰폰으로 이동 시 자유롭게 가능하지만, SKT에서 받은 지원금 조건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끝으로
SKT의 위약금 면제 정책은 가입자에게 유리한 조건이지만, 판매자와의 별도지원금 계약 조건은 별도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타 통신사로 이동하기 전에는 반드시 회선 의무사용기간이 종료되었는지, 요금제 및 부가서비스 유지 조건을 충족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패널티로 인한 금전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나 하나 잘 확인하시면 큰 문제는 없을 겁니다. 오늘도 좋은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