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절기 - 소서(小暑), 7월의 문턱

소서는 본격적인 여름의 시작으로, 민어·호박 등 제철 음식과 장마 전 준비, 농사 풍속이 살아 숨 쉬는 절기입니다.

 소서(小暑): 더위가 발돋움하는 계절의 문턱 푸르름이 절정을 향해 나아가는 시기. 나무는 잎을 짙게 드리우고, 들녘은 초록의 물결로 가득 찹니다. 햇빛은 어느덧 작물의 뺨을 붉히며, 고추와 가지는 뜨거운 기운을 품습니다. 이즈음이면 장마와 태풍 소식도 고개를 내밀죠.

小 작을 소
暑 더울 서


7월의 밭

소서(小暑)는 이십사절기 중 열한 번째 절기로, 하지와 대서 사이에 자리합니다.

양력 7월 7일 무렵, 태양이 황경 105도에 도달할 때를 말하며, 본격적인 한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지표입니다.

‘소서(小暑)’는 ‘작은 더위’라는 뜻이지만, 실상으로는 뜨거움이 갈수록 기세를 높이는 시점입니다.


기후와 농사

장마 전선이 머물며 공기는 눅눅해지고, 기온과 습도 모두 상승합니다. 농민들은 이 시기를 대비해 토양 관리를 하거나, 병충해 예방에 힘씁니다. 예를 들어 작물에 자연친화적 방제(목초액, 현미식초, 효소액 등)를 사용, 호박 구덩이에 거름 보충, 토마토와 고추에 웃거름 추가, 모내기 40일 후 벼의 생육 점검과 논의 일시적 물빼기.


제철 먹거리와 풍속

여름 채소와 과일이 풍성한 시기로, 애호박부터 오이, 참외, 복숭아까지 맛이 절정에 이릅니다.

민어는 단연 최고 인기의 생선. 회, 찜, 조림으로 다양하게 즐기지만, 특히 애호박을 곁들인 민어고추장국은 땀을 뻘뻘 흘리며 한 입 떠먹게 하는 여름 보양식입니다.

음력 5월 단오 무렵 먹는 밀가루 음식도 이 시기 가장 깊은 맛을 냅니다.


옛 생활의 지혜

장마철을 대비해 곡물과 나물을 자주 햇빛에 말리고, 장독 점검도 잊지 않았습니다. 밤꽃에 벌레가 많으면 오히려 그해 풍년이 든다는 옛말도 있습니다. 지금은 기계화되었지만, 예전엔 손으로 김을 매고 논두렁 풀을 깎으며 계절을 체감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