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크기로 볼 수 있습니다. |
1. 서까래
지붕 경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지는 가느다란 목재 부재. 지붕재(기와, 슬레이트 등)를 직접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지붕의 뼈대를 이루며, 지붕하중을 아래 구조로 전달한다.)
2. 중도리
서까래 위쪽에서 여러 서까래를 받쳐주는 긴 수평 목재. 지붕 중앙을 따라 길게 설치된다.(서까래 하중을 받아서 양쪽 기둥이나 대들보로 전달한다.)
3. 홍실
전통 한옥에서 구조 부재를 고정할 때 사용하는 붉은색 실(끈). 구조물을 묶거나 연결하는 데 쓰인다.(못이나 못 대용으로 구조물을 견고하게 묶음.)ib612.com
4. 중장여
장여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설치하는 긴 수평 보이며, 중장여는 그 중간 부분을 의미한다.(기둥 사이의 하중을 분산하고 연결하는 역할.)
5. 별창방
창방은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재인데, 별창방은 그중 특별히 보강이나 장식 목적 등으로 덧붙인 창방을 뜻한다.(구조적 보강 또는 미관을 위한 추가 창방.)
6. 별장여
주 장여 외에 보조적으로 설치하는 장여.(구조 보강 및 무게 분산.)
7. 종량
기둥 위에 가로로 놓여 지붕 하중을 받는 보. 보통 종보보다 더 크거나 중요한 역할을 한다.(지붕 하중을 기둥으로 전달.)
8. 대량
매우 굵은 보로, 기둥 바로 위에 위치하며, 건물의 주요 구조 골격을 이룬다.(건물의 무게를 견디고 하중을 기둥에 전달.)
9. 소로
대량 위에 설치되는 비교적 작은 보.(서까래를 받쳐주고 하중을 분산.)
10. 종보
종량과 비슷하게 기둥 상부에 설치되며, 하중 분산과 보강 역할을 하는 보.(하중 전달 및 구조 안정성.)
11. 충방
기둥 사이에 보조적으로 설치하는 짧은 수평 보.(기둥 간 연결 및 구조 보강.)
12. 우미량
처마 끝 부분에서 지붕을 받치는 보.(처마 무게 지탱 및 처마 형태 유지.)ib612.com
13. 대들보
건물에서 가장 아래 기둥 위에 수평으로 놓이는 굵고 긴 보.(전체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중요 부재.)
14. 산기둥
처마 모서리에 설치되는 기둥으로, 지붕 모서리를 받친다.(처마 모서리 하중 지지 및 안정성 제공.)
15. 간주
두 기둥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 또는 경사진 보.(구조 보강 및 장식 역할.)
16. 문설주
문틀 좌우에 세우는 기둥.(문짝 걸기 및 지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