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목을 구매할 때, H×B, H×W, H×R 등 생소한 표기가 나옵니다. 이는 나무의 높이, 굵기, 폭 등을 나타냅니다.
나무 규격 표기
H (높이, Height) - 지면에서 나무 꼭대기까지의 수직거리
B (흉고직경, Caliper/Breast Diameter) - 지상 1.2m 지점에서 줄기 지름, cm 단위
W (수관폭, Width) - 나무 가지가 펼쳐지는 폭, m 단위
R (근원직경, Root Collar Diameter) - 뿌리 근원부의 줄기 지름, cm 단위 ib612.com
그 외 L (수관길이, lateral branch length) 같은 항목도 있지만, 일반 소비자에게는 위 네 가지가 가장 기본적입니다.
나무의 종류와 상태에 따른 규격 표시
H × B
직립형 교목(은행나무, 자작나무 등)에 사용
예) H3.0×B12 → 높이 3m, 흉고직경 12cm
H × W
관목이나 일부 침엽수(소나무 제외)
예) H0.4×W0.3 → 높이 40cm, 폭 30cm
H × R
흉고와 근원부 차이가 큰 활엽수
예) H3.0×R12 → 높이 3m, 근원직경 12cm
H × W × R
다양한 조건을 고려해야 하는 종류(소나무, 동백 등)
예) H5.0×W3.0×R15 → 높이 5m, 폭 3m, 근원직경 15cm
*이 표기법은 구매 전에 나무의 크기와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묘령(나무 나이) 표기
실생묘 (씨앗 묘목)
'1‑0 묘' = 씨 뿌리고 1년, 이식 없이 그대로.
'2‑1 묘' = 3년생 – 파종 후 2년, 이식 후 1년.ib612.com
'2‑1‑1 묘' = 4년생 – 파종 2년, 이식 후 1년, 다시 이식 후 1년
삽목묘 (꺾꽂이 등)
'1/1 묘' = 줄기, 뿌리 각각 1년생.
'1/2 묘' = 뿌리 2년, 줄기 1년 (줄기 자르고 1년 키움)
*이 표기를 보면 묘목의 실제 생장 이력과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수출·수입·프로 수준 규격은 어떻게?
미국의 ANSI Z60.1 기준에서는 컨테이너 크기(#1, #5 등)와 최소 크기 기준을 설정하며 칼리퍼 측정법, 교목·관목 구분, 뿌리볼 크기 등도 규정합니다.
예) 칼리퍼 <=4″일 때는 6인치에서, >4″일 때는 12인치에서 측정
구매 시 체크리스트
항목 | 설명 |
---|---|
높이 (H) | 수치와 함께 "H3.0m" 같은 형태로 표기되어 있는지 |
굵기 (B/R) | 흉고직경이나 근원직경이 나와 있는지 |
폭 (W) | 수관폭 정보 포함 여부 |
묘령 | ‘2‑1 묘’, ‘1/1 묘’처럼 나이 표기가 있는지 |
이식 횟수 | 수종에 따라 좋음/나쁨 판단 가능 |
뿌리 및 줄기 상태 | 뿌리볼과 줄기 건강 여부 확인 |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