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리무는 일반적인 가을무(조선무, 배추무 등)와 달리 뿌리 끝이 둥글게 ‘알’ 형태로 뚜렷히 비대되는 small‑type 무입니다. 뿌리뿐 아니라 잎도 김치 소재로 사용되며,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한 잎이 총각김치 등의 활용을 높여 줍니다. 이름의 유래는 ‘알달이’에서 ‘알타리’로 변화했다는 설이 있으며, 서울봄무 등에서 조기에 뿌리 끝이 굵어지는 개체를 선발한 것이 알타리 계통으로 발전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작형(재배 시기·형태)과 품종 선택
1. 재배 작형 유형
하우스 재배
남부지역은 12월 하순 파종 → 3월 중순부터 수확
중부지역은 1월 상순 파종 → 4월 상순 수확
파종 후 약 85~90일 후 수확 가능 → 김치 수요가 높은 고가 시기 수확
시설비가 있어 주로 소면적 재배에 적합합니다.
터널 재배(폴리에틸렌 터널)
남부지역 - 2월 하순 파종 → 4월 하순 수확
중부지역 - 3월 상순 파종 → 5월 상순 수확
땅이 풀린 후 파종하며, 해마다 날씨에 따라 조정해야 합니다.
봄 노지 재배
남부 - 3월 하순 파종 → 5월 중순~6월 상순 수확
중부 - 4월 상순 파종 → 5월 중순~6월 상순 수확
시설비 없음, 넓은 면적으로 재배 가능 → 저가격 시기 수확
고랭지 여름재배
해발 300~500m - 6월 상순 파종 → 7월 하순 수확
해발 600~800m - 6월 하순 파종 → 8월 중순 수확
한여름엔 평지에서 재배 어렵기 때문에 고랭지에서 고품질·고가 출하 가능
가을 재배
추석 출하용 - 이른 파종
김장용 - 늦은 파종.ib612.com
전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는 재배 기간이며, 한파 위험에 대비해 적기 파종 중요
2. 품종 선택 시 유의사항
추대(꽃대 생장) 지연 품종
봄 재배 시 저온기와 긴 일장 조건에서 추대 위험이 높으므로, 서울봄알타리, 사철알타리 계열처럼 추대 염려가 적은 품종을 선택합니다.
뿌리가 균일하고 밑이 빨리 드는 품종
봄 노지 재배에서는 출하 시기의 2~3일 차이에 따라 가격 차가 크므로, 저온 조건에서도 밑이 빨리 들고 숙기가 빠른 균일한 품종이 중요합니다.
근피가 곱고 육질이 아삭한 품종
무의 품질은 근피 상태와 아삭한 육질이 핵심. 서울봄알타리, 참맛알타리 품종처럼 근맵시가 곱고 육질이 딱딱하지 않으며 바람들이(갈변)가 늦은 품종이 총각김치용으로 적합합니다.
토양 조건 및 준비
토양 유형
알타리무는 사질토나 사양토, 또는 깊은 황토땅에서 잘 자랍니다. 유기물이 지나치게 많거나 습한 땅은 뿌리 밑이 늦게 들고 뿌리가 비대되는 경향이 있어 배수가 잘 되고 지나치게 비옥하지 않은 토양이 이상적입니다.
토양 준비 과정
파종 10~15일 전에 소석회 또는 용성인비를 표면에 뿌리고 깊게 경운
파종 5~7일 전에 완숙 계분을 고르게 살포 후 다시 경운
파종 1~2일 전에는 요소 또는 유안, 염가, 붕사 등을 혼합해 뿌리고, 부드럽게 쇄토
토양살충제(10a당 3~4kg)를 사용하고, 휴폭은 120~150cm 정도의 이랑을 만듦
시비(비료) 요령
1. 비료량 가이드라인
알타리무는 생육 기간이 짧아 시비량이 많지 않으며, 가을무 시비량의 약 2/3 수준이면 충분합니다.
하우스·터널 재배 시 (사질토 기준, 10a당)
질소 약 15kg, 인산 10kg, 칼리 13kg
양토/황토에서는 질소 14kg, 인산 10kg, 칼리 약 12kg
노지재배 시 (사질토 기준, 10a당)
질소 18kg, 인산 12kg, 칼리 16kg
양토에서는 질소 16kg, 인산 12kg, 칼리 14kg
기타 - 소석회 80~100kg, 붕사 1.5kg, 계분 200kg 등
단, 하우스·터널 환경에서는 암모니아 피해 가능성이 있어 요소 대신 유안 사용이 바람직하며, 마그네슘 비료도 적절히 보충 필요
2. 추비
생육 기간이 매우 짧아 기비 중심 시비가 원칙이며, 과도한 시비는 뿌리 비대는 하지만 밑이 너무 늦게 들고 상품성 저하
본엽 5~6매 시기에 10a당 요소 10kg을 물 0.5% 이하 농도로 희석해 액비로 시비
강우 직후 시비는 농도 손상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
파종 및 재식밀도
1. 파종 방법
점파(구멍에 3~4립씩 파종).ib612.com
하우스 - 간격 10~12cm ×10~12cm
터널/노지 - 15cm ×15cm
파종 후 냄새나는 살충제와 왕겨 섞어 보습 및 방제
멀칭(0.02mm 폴리에틸렌 필름) 사용 가능 → 보습, 온도 조절, 출하 조기화 효과
조파(줄뿌림)
이랑 상면에 20cm 간격 줄뿌림 후 복토, 왕겨 깔아 보습
산파(산파종)
이랑 평평하게 정리한 후 산파 → 복토
쉽지만 재식거리 불균일 → 뿌리 고르지 않게 자랄 수 있음
2. 재식밀도 및 솎음
재식거리 영향
넓으면 뿌리 커지지만 밑이 늦게 들고, 좁으면 뿌리가 작고 밑이 빨리 들지만 잎이 무성해져 뿌리 발달 느려짐
솎음 시기 및 방법
하우스 - 본엽 2~3매 시기에 한 포기당 2주 → 본엽 5~6매 때 1주 남기기
노지 - 파구당 2~3주 유지
조파 - 본엽 2~3매 시기에 3~4cm 간격 → 본엽 4~5매 시기에 6~8cm
산파 - 본엽 4~5매 시기에 포기사이 9×9cm 되게 솎음
일반 관리 요령
1. 온도 관리
하우스 재배 초기 - 본엽 34매까지 주간 2427℃, 야간은 3℃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보온
이후 생육 중기에는 주간 온도가 25℃ 이상 올라가지 않도록 철저한 환기
터널 재배 - 초기엔 끝만 열고, 생육 중기부터 옆면을 열거나 환기구 설치
2. 수분 관리
무는 적당한 습도가 필요하지만, 과습한 토양은 산소 부족·뿌리 기근 등의 원인
반대로 너무 건조하면 칼슘 결핍 증상 유발
따라서 수시 관수로 토양 적습 유지 필요
3. 병해충 방제
병해 종류 - 흰녹병(White rust), 뿌리썩음병 등
흰녹병 방제 - 클로로탈로닐, 만코제브, 구리수화물 등 사용 가능
해충 - 진딧물, 깍지벌레, 풀라이트비틀, 씨벌레 등
중증 시 말라티온, 네엠 소프, 퀴날포스 등 적용 가능하며, 소규모면 수작업 제거 권장
수확 및 출하
생육기간은 재배 작형별로 다름.
하우스 - 약 90일, 터널: 60일, 봄 노지: 50일, 여름/가을: 45~50일
멀칭재배 활용 시 - 토양 보습 강화 → 뿌리 비대 속도, 상품성 향상
출하 형태 - 단으로 묶어(15~20개) 출하
조파 또는 산파 시 먼저 자란 것부터 솎아서 출하, 어린 것은 나중에 추출
품질 기준 - 근피가 고르고, 수분 적당, 아삭한 식감, 잎이 부드러운 것이 이상적
계절별 맛 차이 및 화합물 구성
알타리무는 계절에 따라 매운맛과 단맛의 비율 변화가 있으며, 특히 봄에 재배된 무가 가을에 재배된 무보다 더 매운 경향이 있음. 이는 글루코라파사틴(glucoraphasatin) 또는 그 가수분해산물 라파사틴(raphasatin) 농도뿐 아니라, 당 성분(설탕류)과의 비율 변화 때문입니다. 즉, 가을에 자란 알타리무는 당이 상대적으로 많아 매운맛이 단맛에 의해 마스킹(masking)되어 덜 자극적으로 느껴집니다.
총정리
적절한 작형 선택 - 재배 시기와 시설 투자, 시장수요를 고려해 하우스, 터널, 노지, 고랭지, 가을 재배 중 선택
품종 선택 기준 - 추대 지연, 균일생장, 아삭한 육질, 근피 양호한 품종 중심
토양 준비 - 배수 잘되는 사질토 또는 황토, 적절한 비옥도
시비 요령 - 과하지 않은 기비 중심, 추비는 본엽 5~6매 시기에 요소 액비
파종과 솎음 - 점파·조파 방법 선택, 재식거리 및 솎음 시기 철저하게 관리
환경 관리 - 온도와 습도 철저히 조절, 병해충 방제 병행
수확 시점 - 재배 기간에 맞춰 출하, 단 묶음 출하
상품성 고려 - 아삭한 질감, 고른 근피, 부드러운 잎, 계절별 매운맛 균형 고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