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복분자(산딸기) 재배 방법 – 묘목부터 수확까지

복분자(산딸기) 재배 방법. 묘목 만드는 법부터 정식, 덕 설치, 수확까지 정리했습니다.
복분자와 산딸기


1. 번식 방법

1) 묘목 증식
복분자의 줄기는 4~5m까지 자라며, 생장점이 지면에 닿으면 그 부위에서 뿌리가 내려 독립된 식물체가 됩니다. 이를 이용해 묘목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줄기가 유인줄 높이만큼 성장한 뒤 끝을 자르면 측지가 3~5개 정도 자라는데, 이들이 땅에 닿아 다시 뿌리를 내립니다. 뿌리 발생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흙이 부드럽고 수분을 잘 유지하는 상태여야 하며, 볏짚 등을 이용한 멀칭이 도움이 됩니다.

2) 종자 번식
복분자는 씨앗을 통한 번식률이 낮고, 발아도 어렵기 때문에 일반 농가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주로 신품종 개발 시 교배를 통해 얻은 종자를 활용합니다.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황산 처리 후 호르몬(예: 시토카이닌) 처리 실험도 시도되었으나, 결과는 제한적입니다.

3) 삽목
1년생 줄기(직경 0.3~1.5cm)를 15~20cm 길이로 절단 후 하루 정도 음건하고 발근호르몬을 도포합니다. 수분 손실 방지를 위해 상단은 밀납으로 밀봉하며, 발근을 위해 2~3개의 잎눈이 흙에 묻히도록 심습니다. 이상적인 삽목 시기는 3월 중 4월 초이나, 저온 환경에서는 보온 관리가 필요합니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마사토와 펄라이트를 섞은 상토를 사용합니다.


2. 정식

1) 재배에 적합한 토양 조건
복분자는 대부분의 뿌리가 지표면 30cm 이내에 퍼지기 때문에, 과습에 약하고 배수가 잘되는 유기질이 풍부한 사양토나 양토가 적합합니다. 지하수가 낮고 통기성이 좋아야 하며, pH는 5.5~6.5의 약산성이 바람직합니다. 추위에 민감하므로 한랭한 지역은 피해야 합니다.ib612.com

2) 토양 준비
정식 전 해에 10a 기준 유기질 퇴비 2,000~3,000kg과 석회 150~200kg을 골고루 뿌린 후, 최소 30cm 깊이로 여러 번 경운합니다. 식재 2~3주 전에는 이랑을 만들어 토양의 모세관 형성과 뿌리 활착을 유도합니다.

3) 심는 시기
가을보다 봄에 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가을 식재는 습해와 동해로 인한 고사 위험이 큽니다. 3월 중~하순경 해빙 후 심는 것이 적기입니다. 너무 늦어 새순이 자란 후에 식재하면 생육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식재 간격
기존에는 이랑 간격 150~180cm, 포기사이 40~50cm였으나, 햇볕 투과와 작업 편의를 위해서는 이랑 너비 200~220cm, 포기사이 30~40cm가 적절합니다.


3. 덕(지지대) 설치

1) 관리 및 지지대 설치 시기
심은 후 충분히 관수하고 짚 등으로 피복하여 수분 유지 및 잡초 억제를 합니다. 신초가 나면 원줄기를 잘라 신초의 생장을 유도합니다. 지지대는 식재 후 되도록 빨리 설치하여 자라는 줄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킵니다.

2) 지지대 구조
I자형 덕 - 설치가 간편하지만 통풍과 채광이 부족해 병해와 수량 저하 위험이 큼.

T자형 덕 - 일반 농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식으로, 채광과 통풍에 유리하며 생산성과 품질이 좋음.

∩자형 덕 - T자형보다 지지력이 뛰어나 태풍 피해에 강하나, 자재 소요량은 많음.


4. 전정(가지치기)

1) 하계 전정
신초가 30~40cm 정도 자랐을 때 적심하여 결과모지 확보를 유도합니다. 신초가 가늘 경우 결과지로 활용이 어려우므로 굵은 줄기(0.7cm 이상)만 남기고 제거합니다. 수확이 끝난 결과지는 자연 고사되므로 여름철 하단 절단 후 봄에 제거합니다.

2) 동계 전정
해빙 직후 새순이 돋기 전 가지치기를 실시합니다. 덕의 높이보다 20~30cm 위에서 자르고 지지대에 고정합니다. 병든 가지나 동해 피해 가지도 함께 제거합니다.


5. 비료 관리

질소비료는 전체 시비량의 70%를 기비로, 나머지를 개화기인 5월경 추비로 줍니다. 인산은 전량 기비로, 복합비료(예: 21-17-17)를 자주 사용하며, 유기물 투입이 장기적 생산성에 중요합니다. 수확 후에도 나무 생장을 지속시키기 위해 늦가을까지 추비를 소량 시용하되, 너무 늦거나 과량 시 신초가 연약해져 동해 피해가 커질 수 있습니다.ib612.com


6. 잡초 방제

볏짚을 피복하여 잡초 생장을 억제하며, 이랑은 손제초, 고랑에는 비선택성 제초제를 활용합니다. 청정 재배를 목표로 한다면 제초제를 최소화하고, 봄에 토양 처리제를 1~2회 뿌린 후 필요시 추가 제초제를 시용합니다.


7. 병해충 대책

복분자는 유리나방, 박쥐나방, 점무늬병, 탄저병 등의 피해를 받을 수 있으며, 유리나방이 가장 큰 피해를 주는 해충입니다. 눈에 엽이 침상으로 발달하고 결실이 되지 않는 병해가 나타나며, 심할 경우 수확이 불가능할 정도로 피해가 확산됩니다. 예방적 방제 및 위생적인 포장 관리가 필요합니다.


8. 수확 시기 및 방법

개화 후 25~30일 지나면 착색되며, 이후 4~5일 이내 성숙합니다. 과실의 색, 향, 단맛 등을 확인해 수확 시기를 결정하며, 생과 유통 시에는 완숙 2~3일 전, 90% 정도 익었을 때 수확합니다. 기온이 낮은 오전에 손으로 부드럽게 따며, 햇빛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관리합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