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당귀(當歸) 재배 방법

약효 뛰어난 당귀, 참당귀와 왜당귀의 차이부터 재배법, 병해충 관리, 수확까지 누구든 알기 쉽게 정리한 한방약초 재배 안내입니다.

당귀(當歸) 재배



당귀(當歸) 재배

1. 분포와 이용

당귀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참당귀(국내 자생)와 왜당귀(일본 도입종)가 그것입니다. 참당귀는 주로 강원도, 경상도, 경기도의 산간 계곡 등 습윤한 고지대에서 자생하는 23년생 초본류로, 키는 1~2m에 이릅니다. 줄기에는 자주색 무늬가 있으며, 향이 강한 굵은 뿌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7~9월 사이에는 자색의 꽃이 피며, 잎은 복잡한 깃 모양으로 갈라집니다.

왜당귀는 일본이 원산지인 다년생 식물로, 키가 약 40~90cm 정도 자라고, 잎은 마주 나며 길쭉한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한 형태입니다. 꽃은 6~8월경 흰색으로 피며, 따뜻한 지역에서 주로 재배됩니다.

약효 성분으로는 쿠마린 유도체(데쿠신, 데쿠시놀, 노다케닌)와 정유 성분(α-피넨, 리모넨 등)이 포함되어 있어, 진통, 진정, 자궁 건강 개선, 항균 작용 등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부인병 치료에 사용됩니다. 어린순은 식용으로도 가능하며, 참당귀는 왜당귀보다 약리 효과가 뛰어나고 가격도 더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2. 재배 방법

(1) 재배지 조건
기후 면에서는 참당귀는 중부와 북부 고랭지에서, 왜당귀는 중남부의 온난한 지역에서 성장이 양호합니다. 일교차가 큰 지역에서 더욱 품질 좋은 뿌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토양은 배수가 잘 되는 비옥한 양토나 사양토가 적합합니다. 점토질 토양에서는 뿌리 성장에 제약이 있고, 모래 성분이 너무 많으면 품질이 떨어지므로 적절한 물리성의 토양이 필요합니다. 동일한 밭에 연속으로 심는 것은 피하고, 최소 2~3년은 다른 작물을 재배한 후 다시 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ib612.com

(2) 품종 선택
국내에서는 시험재배를 거친 공식 품종은 아직 없습니다. 참당귀는 국내 자생종의 씨앗을 채취해 재배하고 있으며, 왜당귀는 일본에서 유래한 종자를 들여와 주로 계약 재배 및 수출용으로 재배됩니다.

(3) 번식 방법
참당귀는 주로 육묘 후 이식 방식으로 재배되며, 왜당귀는 남부 지역에서 직파 방식으로 재배됩니다.

㉠ 참당귀 육묘 및 이식
모판 설치는 10a 기준으로 흩어뿌림 시 약 5~6평, 줄뿌림 시 약 10평의 면적이 필요합니다. 모판은 동서 방향으로 만들고, 부드러운 질참흙을 깊게 갈아 1~1.2m 너비로 두둑을 조성한 후 종자를 뿌립니다. 종자 위에는 상토나 부엽토를 얇게 덮고, 흙을 가볍게 눌러 수분 손실을 방지합니다. 가을에 모를 수확할 때는 크기에 따라 선별 후 작은 묘는 저장해 이듬해 봄(3~4월경)에 이식합니다.

㉡ 참당귀 정식
정식 시기는 3월 하순에서 4월 중순이 적기이며, 흐리고 바람 없는 날을 택합니다. 40~45cm 간격의 이랑을 만든 뒤, 18~20cm 간격으로 묘를 눕혀 심고, 흙을 덮어 건조 방지를 위한 덮개를 씌웁니다.

㉢ 비료 및 시비 관리
질소 비료 과다 시 줄기만 무성해지고 꽃대가 올라와 약효가 떨어지므로, 비료는 후기 위주로 시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비료 조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시비량 (kg/10a) 비고
퇴비 1,125~1,500 밑거름
닭똥 75 밑거름
용과린 37 밑거름
초목회 56 밑거름

㉣ 왜당귀 직파
3월 하순, 1.2~1.5m의 두둑을 만들고 줄뿌림 후 흙을 덮은 뒤 보온을 위한 덮개를 씌웁니다. 파종량은 10a당 4.5~5.4ℓ입니다. 웃거름은 8~9월경 인분뇨와 유기질 비료를 활용해 줍니다.


3. 주요 관리 포인트

꽃대 제거 - 추대(꽃대가 올라오는 현상)된 개체는 약재로서 품질이 떨어지므로 초기에 제거해야 합니다.

제초 - 2~3회 실시하고, 직파재배의 경우 파종 직후 제초제를 활용하면 효율적입니다.


4. 병충해 대책

균핵병 - 장마철 발생 빈도가 높으며, 병든 식물은 즉시 제거하고, 구덩이에 소독제를 살포합니다.

해충 - 진딧물, 붉은응애, 도둑나방 등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특히 붉은응애는 눈에 띄지 않게 퍼지므로 잎 뒷면을 수시로 확인하여 조기 방제가 필요합니다.ib612.com


5. 수확과 건조 방법

수확은 늦가을 줄기잎이 누렇게 변할 때 실시하며, 뿌리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뿌리는 흙을 털고 다발로 묶어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건조시킵니다. 반건조 후 물에 담갔다가 세척하고, 다시 온수에 데친 뒤 건조를 반복합니다. 수량은 생근 기준으로 10a당 750~1,125kg, 건근은 190~270kg 정도 수확됩니다.


6. 품질 기준

좋은 당귀는 뿌리가 굵고 연하며, 황백색의 육질과 특유의 향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겉은 약간 붉은색을 띠는 것이 이상적입니다.


댓글 쓰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