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름(섞어띄움비)을 만들 때, 미생물의 다양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는 산의 부엽토만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여기에 바닷물까지 활용하면 미생물층이 훨씬 더 풍부하고 균형 잡힌 거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바닷물, 미네랄과 미생물
해수는 단순히 염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미네랄과 해양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어, 거름 속 미생물 생태계의 균형을 잡아주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해수 표면 약 3cm 정도는 미생물과 미네랄이 밀집된 층으로 알려져 있어, 이 부분을 채수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다만, 해수는 깊어질수록 염도가 높아지므로, 표면수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수는 기수 지역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다대포 해안처럼)에서 채수하면 미생물 다양성 측면에서도 더 유리합니다. 채취한 바닷물은 하루 정도 넓은 그릇에 담아 공기 중에 노출시키면 공중 미생물과 산소가 흡수되어 더욱 활성화됩니다.ib612.com
거름 제작 시 바닷물은 민물과 30:1 비율로 희석해 사용합니다. 수분 함량은 전체 혼합물 기준 65~70% 수준으로 맞추는 것이 적절합니다.
----------------------------------------------------
바닷물 채취 및 활용법
장소 -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기수 지역 (예: 다대포 해안)
방법 -
표면 3cm 정도의 바닷물만 채취
하루 정도 넓은 용기에 담아 공기 중에 노출 → 공중 미생물과 산소 흡수로 미생물 활성↑
사용 시 희석 비율 - 민물 : 바닷물 = 30 : 1
전체 수분 함량: 퇴비 전체 기준 65~70%
----------------------------------------------------
좋은 부엽토 채취 방법
부엽토는 말 그대로 산림 속에서 분해가 진행 중인 낙엽과 유기물이 섞인 흙입니다. 하지만 아무 부엽토를 쓰는 것보다, 아래 조건을 고려해 채취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텃밭 근처의 야산 - 지역 토양에 맞는 미생물들이 정착해 있어 적응력이 뛰어납니다.
남향과 북향 모두에서 채취 - 따뜻한 성질(양)과 서늘한 성질(음)의 미생물을 고루 확보할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척박한 환경(텃밭보다 100~150m 높은 곳) - 이런 환경의 미생물은 생존력이 강해 토양 개량에 도움을 줍니다.
최소 3군데 이상에서 채취 - 다양한 미생물군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활엽수 우세 지역이 적합 - 침엽수보다는 활엽수 숲이 미생물 다양성에 유리합니다.
대나무 뿌리 주변 - 단맛 나는 작물이 자라는 환경과 비슷한 미생물 환경을 제공합니다.
벼 그루터기나 논 근처 흙 - 고초균, 메주균 등 유용한 발효 미생물이 풍부합니다.
----------------------------------------------------
부엽토 채취
채취 위치 -
텃밭 근처 야산 (그 지역 토착 미생물 확보)
남향 + 북향 골고루 (양/음 미생물 균형)
텃밭보다 100~150m 위 척박한 곳 (활동성 높은 미생물)
활엽수가 많은 지역 (미생물 다양성 ↑).ib612.com
대나무 뿌리 주변, 벼 그루터기 근처 흙도 추천
채취 개소 - 최소 3곳 이상에서 채취 (다양성 확보)
흙 구성 - 밭흙 50% + 산흙 또는 황토 50% 또는 밭흙 50% + 생흙 50%
----------------------------------------------------
거름 만들 때 함께 쓰면 좋은 보조재료
막걸리 소량 - 발효를 도와주는 효모균이 포함되어 있어 거름의 숙성 속도를 높여줍니다.
현미식초 희석액(500배) - 초산균이 포함되어 살균과 부패 억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흙 구성 - 밭흙 50% + 산흙 또는 황토 50% / 또는 밭흙과 생흙을 1:1로 혼합
끝으로
육지의 부엽토와 바다의 표면수를 적절히 활용하면 미생물의 균형 잡힌 건강한 퇴비를 만들 수 있습니다. 미생물 다양성은 토양의 생명력을 키우고 작물의 생장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