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겨울 시설감자 재배 매뉴얼 - 고소득을 위한 재배부터 관리까지

겨울철 고소득 작물 감자. 시설재배 장점부터 병해 관리, 품종별 재식거리까지 여러 재배에 관한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겨울감자는 시설 내에서 재배할 경우 재배 기간이 비교적 짧고, 관리에 드는 노동력이 적은 편입니다. 채소류나 딸기 등에 비해 넓은 면적의 재배가 가능하며, 4월 중순부터 5월 초 사이의 공급이 적은 시기에 출하가 가능해 높은 가격 형성이 기대되어 농가 소득 증대에 유리합니다.


겨울 시설 재배 감자 수확


재배 시 주의할 점

시설 내 무가온 환경에서 감자를 재배할 경우, 초기 저온으로 인해 싹이 다시 휴면 상태에 빠지는 이차휴면 현상이 발생하거나 생육이 늦어질 수 있습니다. 생육이 본격화되는 시기에는 주간 고온과 야간 저온이 반복되어 환기와 온도 조절이 번거롭고, 병해 발생(특히 역병) 위험도 커집니다.


씨감자 선택 및 처리 방법

가장 이상적인 씨감자는 여름철에 생산한 채종용 감자(예: 조풍, 수미, 대서, 대지 등)입니다. 남부지역에서 가을에 채종한 대지 품종도 활용 가능하며, 9~10월 사이에 구입하여 충분한 산광처리(빛에 노출시켜 싹을 틔움)를 실시한 후 육아상에서 본격적으로 싹을 키웁니다.ib612.com


정식 시기 및 방법

정식 시기 - 12월 하순부터 1월 중순 사이에 육아상에 씨감자를 놓고 약 3~4주간 발아시킨 후 본포에 옮겨 심습니다.

싹 상태 - 길이 3~5cm, 뿌리가 잘 자란 감자를 선택해 심습니다.

심는 방법 - 퇴비를 충분히 넣어 토양을 비옥하게 하고, 두둑을 만든 후 감자를 심습니다. 이후 투명한 0.02~0.03mm PE필름으로 멀칭 처리합니다.

정식 시 유의사항 - 감자의 뿌리나 싹이 시들지 않도록 조심하고, 싹이 빨리 자라도록 노지보다 얕은 깊이(7~9cm)에 심습니다.ib612.com

재식 거리 - 조간 20~30cm, 주간 20cm로 다소 밀식하여 재배합니다.


시설 내 생육관리

가. 온도관리
감자 싹이 트는 시점에 밤 기온이 너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생육기인 3~4월에는 주간에 환기하고 야간엔 보온해 줄기와 잎이 튼튼하게 자라도록 관리합니다. 지하수가 깨끗한 지역이라면 수막재배 방식도 보온에 효과적입니다.

나. 광 관리
시설 내 이중 또는 삼중 피복으로 인해 광량이 부족해질 수 있으므로, 낮에는 터널과 커튼을 걷어 햇빛을 최대한 받아들입니다. 토양 표면은 습해 보여도 내부는 건조할 수 있어 오후에 수분 상태를 점검해 필요 시 관수하고, 수확 전에는 토양을 건조하게 유지하여 감자 품질을 높입니다.

다. 병해충 방제
초기 저온 환경은 흑지병 발생 가능성을 높이므로 온도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또한 시설 내 높은 습도는 역병 발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예방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6. 남서 품종의 적정 재식거리
남서 품종은 1995년 겨울 시설재배용으로 개발된 품종으로, 고랭지 여름재배 → 남부지역 겨울 시설재배 → 남부 가을재배 → 다시 고랭지 여름재배 순으로 씨감자 생산 순환이 이뤄집니다.

재식거리 실험 결과 - 15cm 거리로 심었을 때 수량이 크게 증가했습니다.

채종용(씨감자용)에서는 15cm 거리에서 34% 증수.

식용감자도 동일 거리에서 28% 증수 효과 확인.

씨감자 처리 방식 차이 - 육아 후 정식한 감자가 산광처리만 한 감자보다 병해 발생(예: 더뎅이병)이 적었으며, 상품성에서도 우위를 보였습니다.


표. 씨감자 처리 및 재식거리에 따른 수량 비교

처리 방법 재식 거리(cm) 식용감자 수량 (kg/10a) 수량지수 씨감자 수량 (kg/10a) 수량지수
육아 후 정식 100×15 3,947 128 2,691 100
100×20 3,088 100 2,582 100
산광최아 후 파종 100×15 3,956 128 3,462 134
100×20 2,846 92 2,639 102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