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건축면적 (Building Footprint)
정의
건축면적은 건축물이 지면에 직접 닿는 부분의 투영 면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땅 위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땅의 넓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예시
만약 한 층짜리 건물이 있다면, 건축면적은 그 건물의 실제 땅에 닿는 부분의 바닥 면적과 같습니다. 하지만 여러 층으로 되어 있어도 건축면적은 지면에 닿는 부분의 면적만을 의미합니다.ib612.com
건축면적은 대지(땅) 내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공간을 파악할 때 쓰입니다. 도시계획이나 건축법에서는 건축면적의 비율을 제한해서, 땅 전체를 건물이 다 차지하지 않도록 규제하기도 합니다. 건축면적이 크면 클수록 땅을 많이 사용하게 되므로, 건축법상 '건폐율'이라는 개념과 연결됩니다.
2. 바닥면적 (Floor Area)
정의
바닥면적은 건축물 각 층의 바닥 면적을 말하며, 층별 면적의 합계가 바닥면적이 됩니다.
설명
예를 들어, 3층짜리 건물의 1층 바닥면적이 100㎡, 2층도 100㎡, 3층도 100㎡이라면 바닥면적은 100㎡ + 100㎡ + 100㎡ = 300㎡가 됩니다. 각 층의 면적이 다르다면 각 층 면적을 모두 더한 값이 바닥면적입니다. 건축면적과 혼동할 수 있는데, 건축면적은 땅 위에서 보이는 건물의 면적이고, 바닥면적은 건물 전체 층의 면적 합계라는 점이 다릅니다.
바닥면적은 건물의 전체 사용 가능한 공간 크기를 나타내기 때문에, 건물의 규모와 용도를 판단하는 데 중요합니다. 도시계획에서 바닥면적은 '용적률' 산정에 사용됩니다. 용적률은 '대지면적 대비 바닥면적의 비율'로, 건물의 크기 제한을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대지가 200㎡이고, 용적률 200%라면 총 바닥면적은 400㎡ 이내여야 한다는 뜻입니다.
3. 연면적 (Total Floor Area or Gross Floor Area)
정의
연면적은 건축물의 모든 층 바닥면적을 합산한 총 면적을 말합니다. 쉽게 말해, 건물 내 모든 층의 바닥면적 합계입니다.
설명
보통 바닥면적과 비슷한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연면적은 보통 '법적 용어'로 많이 쓰입니다. 다만, 연면적에는 건물 내에서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공간뿐 아니라, 기계실, 계단실, 복도, 주차장 등 모든 층 바닥의 면적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면적은 바닥면적보다 조금 더 넓은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연면적은 건물의 전체 크기와 규모를 나타내는 지표로, 건축허가나 세금 부과, 설계 계획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건물의 난방, 냉방, 조명 비용 산정이나, 건물 유지 관리 계획 시 연면적을 기준으로 삼기도 합니다. 용적률 계산에도 사용되며, 주거, 상업, 공업 건축물마다 연면적 산정 방법이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건축면적, 바닥면적, 연면적 정리
용어 | 정의 | 포함 범위 | 예시 |
---|---|---|---|
건축면적 | 건물이 지면에 닿는 부분의 면적 | 1층 바닥이 땅에 닿는 부분만 | 1층 평면도에서 측정하는 땅에 닿은 면적 |
바닥면적 | 각 층 바닥 면적의 합계.ib612.com | 사용 가능한 각 층 면적 합산 | 3층 건물 1,2,3층 면적 합산 |
연면적 | 건물 모든 층 바닥면적의 합계 (법적 개념) | 기계실, 복도, 계단실 포함할 수 있음 | 건물 전체 층 면적 + 부대시설 면적 포함 |
예시로 이해하기
대지가 500㎡인 땅 위에, 1층은 200㎡, 2층은 150㎡, 3층은 150㎡인 건물이 있습니다.
건축면적 - 1층이 땅에 닿는 부분이므로 200㎡
바닥면적 - 200㎡ + 150㎡ + 150㎡ = 500㎡
연면적 - 바닥면적과 비슷하나, 기계실이나 계단 등 추가 공간이 있으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끝으로
건축면적은 '땅 위에서 건물이 차지하는 크기'
바닥면적은 '건물 각 층의 사용 가능한 공간 크기 합'
연면적은 '법적으로 계산하는 건물 전체 공간 면적'
이 세 가지 개념은 서로 다르지만, 건축 설계와 법규를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본 용어입니다. 앞으로 건축 관련 문서를 보거나 설계도를 볼 때 꼭 기억해두면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