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작물별 주요 농사작업] 9월 하순

9월 하순 벼·고구마 수확, 김장채소·버섯 관리, 가축 예방접종 등 필수 농사 작업 정리. 다음 작기 대비 관리 요령 포함.
 9월도 어느덧 하순에 접어들면서 수확과 동시에 다음 작기를 준비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벼와 고구마 수확, 김장채소와 과수 관리, 버섯 재배 등 작목별로 알맞은 관리가 중요합니다. 축산 분야에서도 질병 예방과 사료작물 파종 등 여러 작업이 요구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체계적인 농사 계획을 세워보세요.

9월 하순 수확

식량작물 관리

1. 벼 수확 및 논 관리

종자 채종용 논에서는 이삭에서 잡이삭을 골라내야 합니다.
중·만생종 벼는 수확 전 물을 완전히 빼주세요.
벼는 제때 수확해야 품질 저하를 막을 수 있으며, 수확 시 콤바인 속도는 목적에 따라 조절합니다.
종자용 - 분당 400회
수매용 - 분당 500회
콤바인 작업 중 볏짚은 잘게 절단해 논에 고르게 분포시켜 주세요.


2. 고구마 수확 시작

조기 출하를 위한 고구마 수확이 이 시기에 시작됩니다.ib612.com


3. 토양 상태 점검

GAP 인증 및 친환경 재배를 위해 토양검정을 실시하고, '흙토람(soil.rda.go.kr)'에서 비료사용처방서를 참고하세요.


원예·특용작물

1. 김장채소 재배지 관리

병해충 방제를 철저히 하고, 생육 촉진을 위해 충분한 물을 공급합니다.


2. 과수 관리

수확이 끝난 과일나무는 가을철 가지치기(전정)와 시비(거름주기)를 병행합니다.
사과의 경우, 착색을 돕기 위해 잎 따기와 반사필름 피복을 진행합니다.


3. 시설하우스 준비

하우스 재배를 위한 비닐 씌우기 준비를 미리 해두세요.


4. 버섯 재배 환경 관리

느타리버섯은 온도(23~29℃)와 습도(70% 이하), 환기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세요.
표고버섯은 균 발생과 원목 상태를 점검하며 철저히 관리합니다.


5. 인삼 수확기

인삼은 수확기에 들어가므로, 뿌리 상태와 날씨를 고려해 수확 시기를 결정하세요.


6. 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유산균, 고초균, 복합균 등을 활용하여 작물 생육과 토양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습니다.


축산 분야

1. 사료작물 파종

벼 수확 후 논에 사료용 작물 파종을 시작하세요.ib612.com


2. 젖소 건강 관리

유방염을 예방하기 위한 위생 관리와 환경 점검이 중요합니다.


3. 가축의 건강한 사육

사양관리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여주세요.


4. 예방접종 일정 확인

돼지열병, 구제역, 개 광견병 등의 예방접종을 계획에 맞춰 실시합니다.
특히 구제역 백신은 전국 일제접종 대상이므로, 빠짐없이 시행해야 합니다.


5. 축산 미생물 활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의 미생물을 적절히 활용하면 가축의 장 건강 및 사료 소화에 도움이 됩니다.


6. 소독의 날

매주 수요일은 전국 공통 가축 방역 소독의 날입니다. 축사 주변과 장비를 철저히 소독하세요.


계절이 바뀌는 시기에는 작물과 가축 모두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작업별로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고, 농업미생물과 정보시스템도 적극 활용하세요. 한 해 농사의 마무리를 잘 준비하면서, 다음 농사도 건강하게 이어갈 수 있도록 꼼꼼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