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는 우리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채소로, 기후와 재배 시기에 따라 다양한 품종이 있다. 각각의 특성과 관리 방법을 알면 더 맛있고 건강한 무를 수확할 수 있다.
무우의 기본 정보
학명 - Raphanus sativus L.
원산지 - 중국, 코카서스 남부 지역
영명 - Radish
무는 예로부터 우리 밥상에서 빠지지 않는 대표적인 채소로, 품종에 따라 모양과 크기가 다양하다. 조선무, 궁중무, 미농조생, 연마무, 사철무, 성호원, 서울봄무 등은 뿌리 형태의 특징으로 구분할 수 있다.ib612.com
생육 환경과 특성
무는 서늘한 날씨에 잘 자라며, 파종은 늦봄이나 초가을이 알맞다. 어린 시기에 기온이 12℃ 이하로 오래 유지되면 꽃눈이 분화되기 쉬우며, 이후 기온이 오르고 낮이 길어지면 꽃대(장다리)가 올라온다. 재배 시에는 배수가 잘 되면서도 적당히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사질양토가 가장 적합하다.
품종 선택 요령
재배 시기와 활용 목적에 맞추어 품종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다.
봄무 - 백광무, 춘하무, 만백무, 천하대형봄무, 백옥무
가을무 - 청운무, 단청무, 토광무, 팔광무, 서호무, 의암무
소형무 - 동자무, 소옥무, 초롱무, 새롬무, 수지무, 초동2호무
알타리무 - 신진봄알타리무, 풍악알타리무, 보석알타리무, 한성알타리무, 예쁜알타리무, 미진알타리
열무 - 청다복열무, 곱단이열무, 새색시열무, 귀한열무, 진한열무, 청송열무
비료 주기
알타리무, 열무 - 생육 기간이 짧으므로 대부분 밑거름으로 공급한다.
무, 소형무 - 솎아내는 시기에 맞추어 웃거름을 더해주면 좋다.
파종 및 관리법
무, 소형무, 알타리무 - 점뿌림을 하며, 한 구멍에 씨앗 6~7립을 넣고 2~3cm 정도 흙을 덮는다.
열무 - 줄뿌림을 한다. ㎡당 4~5㎖의 종자가 필요하다.
솎아주기 요령
건강하고 떡잎이 제대로 난 모종을 남긴다.ib612.com
봄·가을 무 - 본엽 1장일 때 3포기, 34매 때 2포기, 67매가 되었을 때 최종 1포기를 남긴다.
소형무 - 본엽 23매 시기에 2포기, 이후 45매 때 1포기만 남긴다.
알타리무 - 본엽 23매일 때 구멍마다 23주씩 두고, 이후 수시로 솎아낸다.
수확 시기
수확을 늦추면 무에 바람이 들어 품질이 떨어지므로 알맞은 시기에 캐내야 한다.
무 - 파종 후 약 90~100일째 수확
소형무 - 파종 후 50~60일째 수확
열무 - 파종 후 약 20일부터 차례로 수확 가능
적절한 품종 선택과 시기별 관리는 무 재배에서 정말 중요합니다. 파종·솎기·수확 시기를 지켜준다면 아삭하고 신선한 무를 잘 키울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