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2월, 2015의 게시물 표시

(GAME) Mame 기본키 및 단축키

게임 시작 Key (키보드) 내용 1 Player 1 시작 버튼 2 Player 2 시작 버튼 3 Player 3 시작 버튼 4 Player 4 시작 버튼 5 Player 1 동전넣기 버튼 6 Player 2 동전넣기 버튼 7 Player 3 동전넣기 버튼 8 Player 4 동전넣기 버튼 게임 컨트롤 Key (키보드) 내용 방향키 플레이어 조종 Ctrl A 버튼 Alt B 버튼 Space C 버튼 Shift D 버튼 Z E 버튼 X F 버튼 -게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1Player 기준이며 2Player 의 경우 바뀔수 있습니다. -게임에 따라 보다 적은키, 많은키를 사용할수도 있고 갬블류 건슈팅과 같이 장르에 따라 다릅니다. 게임 중 Key (키보드) 내용 ESC 게임 종료 F1 건슈팅 게임에서 표적표시 On/Off F2 게임 설정 (게임에 따라 다름) F3 게임 재시작 F4 색상 팔레트 보기 F6 치트 On/Off Shift + F7 강제 세이브 게임 (누른후 0~9까지 슬롯 선택) F7 로드 게임 (누른후 0~9까지 슬롯 선택) F8 프레임 생략비율 내리기 F9 프레임 생략비율 올리기 F10 프레임 자동제한 On/Off F11 프레임 수치 표시 F12 스크린샷 저장 ~ 사운드 볼륨조절/감마조절/화면 밝기조절/오버 클럭킹 TAP 게임중에 마메 설정 메뉴 열기 P 일시정지

2015년 강원도 한옥 건축 지원 사업

2015년 강원도 한옥 건축 지원 사업 아름다운 경관의 전통 건축문화를 계승하고 한옥체험 활동 등 관광활성화를 위해 한옥 건축을 지원 합니다. ■ 사업개요 -사업량 : 15동 -신청자격 : 신청일 이전 도내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자 ※신청인이 법인,단체인 경우 한옥전문위원회에서 지원 여부 결정 -지원기준 : 건축 바닥면적 60㎡ 이상 -지원내용 : 호당 보조금 3천만원 (신축기준,규모에 따른 차등지원) ■ 지원신청 접수(시,군) -접수기간 : 2015.1.19 ~ 2.27 -접수처 : 시,군 건축부서 -제출서류 : 지원신청서, 대지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서류, 위치도 및 현황사진, 설계도서, 사업비 지출계획서 ■ 도에서 신청서 검토 후, 강원도 건축위원회 한옥 전문위원회에서 심사, 지원대상자 선정 및 보조금 금액 등을 결정 합니다. ■ 지원대상자 선정결과 통보 -심사일 : 2015년 4월중 -통보방법 : 도 -> 시군 -> 지원신청자 ■문의 -강원도청 건축과(☏033-249-2372)  평창군의 경우 종합민원과 건축부서 (033) 330-2472,2473,2474

캠핑장(야영장) 야영장업 신설 (허가,등록)

캠핑장(야영장) 야영장업 신설 (관광진흥법 시행령 제2조) 야영객들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야영장을 이용할 수 있도록 ' 자동차야영장업 '외 ' 일반양영장업 '도 관광사업으로 등록합니다. 등록신청 및 경과조치  제출서류 -사업계획서 -신청인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한 서류 -부동산의 소유권 또는 사용권을 증명하는 서류 -시설의 평면도 및 배치도 경과조치 -야영장업 등록 시행(2015.1.29) 당시 야영장업을 경영하고 있는 자는 등록요건을 갖추어 2015년 5월 31일까지 등록하여야 함. ※ 공통기준 (가) 침수, 유실, 고립, 산사태, 낙석의 우려가 없는 안전한 곳에 위치 (나) 시설 배치도, 이용방법, 비상 시 행동 요령등을 이용객이 잘 볼 수 있는 곳에 게시 (다) 비상 시 긴급 상황을 이용객에게 알릴 수 있는 시설 또는 장비 (라) 야영장 규모에 따른 소화기 확보, 배치 (마) 야영장 내부 또는 외부에 대피소와 대피로 (바) 비상 시 대응요령 숙지, 관리요원 상주 ※ 개별기준 (가) 일반야영장업 -천막 1개당 15제곱미터 이상 공간 확보 -하수도 및 화장실 시설 -긴급상황 발생 시 이용객 이송 가능 차로 (나) 자동차야영장업 -차량 1대당 50제곱미터 이상의 공간 확보 -수용인원에 적합한 상하수도,전기,화장실,취사시설 -야영장 입구까지 1차로 이상 확보, 차량 교행(交行) 가능 공간 확보 강원도 평창군 - 등록처리 및 심의 등 기타문의 문화관광과 관광개발부서 (033) 330-2751

가족간의 호칭 정리

친가호칭(親家稱號) 관계수 촌수 寸數 내가부를 때 칭호 稱號 내가남에게 말할 때 기지친속 己之親屬 내가나를 말할 때 친속자칭 親屬自稱 칭호의이유 연유 緣由 남의가족을 말할 때 인지친속 人之親屬 1촌 아버지 부친, 가친, 엄친 父親, 家親, 嚴親 아버지 父 나를 낳아 주신 어른 존대인 尊大人 1촌 어머니 모친, 자친 母親, 慈親 어머니 母 나를 낳아 주신 어른 자당, 훤당 慈堂, 萱堂 부모양친(父母兩親, 부모 모두)이 생존(生存)하면 구경하(具慶下) 모친(母親, 어머니)만 별세(別世, 돌아가심)하면 엄시하(嚴侍下) 부친(父親, 아버지)만 별세(別世, 돌아가심)하면 자시하(慈侍下) 양친(兩親, 부모)이 다 별세(別世)하면 영감하(永感下)라 합니다. 나의부친 별세 후(父親別世後) 아버지를 선친(先親), 선인(先人) 또는 선고(先考)라 합니다. 나의모친 별세 후(母親別世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