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변비약 종류 1. 자극성 변비약 : 위나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으로 와서 대장 근육을 직접 자극, 운동시켜 변이 아래로 내려가게 하여 배설 시키는 변비약. 비사코딜, 센노사이드 성분이 대표적. ex) 둘코락스, 비코그린, 아락실 2. 팽창성 변비약 : 약 속에 포함된 식이섬유가 부풀어 올라 변의 양을 증가시켜 변을 밀어내는 원리의 변비약. ex) 아기오, 무타실 3. 삼투성 변비약 : 위나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장에서 삼투 작용을 일으켜 대장 내로 수분을 끌어들여 변이 나오게 하는 변비약. ex) 염류성 하제 : 마그밀 / 당류성 하제 : 장쾌락, 듀파락 4. 연하성 변비약 :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지방과 수분을 섞이게하여 변을 연하게 만드는 변비약. 도큐세이트 성분이 대표적. 단독으로 쓰이기 보다는 다른 성분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음. 변비 약물 분류 분 류 원내 약풀(원외) 팽창성 하제(bulk-forming laxatives) 아기오 웰콘(실콘) 삼투성 하제(Osmotic laxstives) 포탈락산(락티롤) 듀파락(lactulos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마그밀(magnesium hydroside) 자극성하제(stimulant laxatives) 듀오락스 둘코락스 좌약 (senna 아락실, 알로에) 단계별 요법 ■ Firstline agent-팽창성 하제(Bulk lasatives) ↓ ■ Second-line agent-삼투성 하제(Osmotic laxati...
도시를 떠나 자연과 함께 짓고 살아가는 삶—해달바람비는 나의 마지막이자 가장 진심 어린 선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