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3월, 2015의 게시물 표시

변비, 변비약의 종류 및 약물요법

- 변비약 종류 ​ 1. 자극성 변비약 : 위나 소장에서 분해되지 않고 대장으로 와서 대장 근육을 직접 자극, 운동시켜 변이 아래로 내려가게 하여 배설 시키는 변비약. 비사코딜, 센노사이드 성분이 대표적. ex) 둘코락스, 비코그린, 아락실​ 2. 팽창성 변비약 : 약 속에 포함된 식이섬유가 부풀어 올라 변의 양을 증가시켜 변을 밀어내는 원리의 변비약. ex) 아기오, 무타실​ 3. 삼투성 변비약 : 위나 소장에서 흡수되지 않고 대장에서 삼투 작용을 일으켜 대장 내로 수분을 끌어들여 변이 나오게 하는 변비약. ex) 염류성 하제 : 마그밀 / 당류성 하제 : 장쾌락, 듀파락 4. 연하성 변비약 :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지방과 수분을 섞이게하여 변을 연하게 만드는 변비약. 도큐세이트 성분이 대표적. 단독으로 쓰이기 보다는 다른 성분과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음. 변비 약물 분류 ​    분   류 원내 약풀(원외)     팽창성 하제(bulk-forming laxatives) 아기오 웰콘(실콘)  삼투성 하제(Osmotic laxstives) 포탈락산(락티롤) 듀파락(lactulose) 산화마그네슘(magnesium oxide) 마그밀​(magnesium hydroside) 자극성하제(stimulant laxatives) 듀오락스 둘코락스 좌약 (senna 아락실, 알로에)​ ​단계별 요법 ​ ​ ■ ​Firstline agent-팽창성 하제(Bulk lasatives)                            ​ ↓ ■ ​Second-line agent-삼투성 하제(Osmotic laxati...

상사화

벌써 상사화가 올라왔다. 며칠전 아내가 알려줬다. 작은 구근 하나 넣었을 뿐인데 몇 년이 지난 지금 많이도 올라온다. 다시 봄인가 보다. 예쁜 상사화 꽃 필 땐 난 어떤 모습을 하고 있을까?

입산통제

봄 철 : 2.1 ~ 5.15. 가을철 : 11.1 ~ 12.15 기상여건 등에 따라 통제기간 변동될 수 있습니다. 동부지방산림청 . .. ... .. . 산림청에서 걸어두고간 입산통제 안내문. 그래도 아랑곳 하지 않는다. 누군지도 모르는 약초꾼,나물꾼,등산객. 외지사람 그리고 다른 마을 사람들. 마치 제 것인냥 아무 꺼리김이 없다. 내가 가져가지 않으면 남에게 빼기기라도 할 듯 미친듯이 채취한다. 고로쇠며 약초며 나물을 캐 간다. 곧 두릅이 나면 더더욱 환장들 하겠지? . .. ... .. . 꽃 피는 봄이 오면 관광버스가 오기 시작한다. 전혀 부부일 수 없는 애교와 교태, 그리고 남자다움을 뽐내며 마을 길을 걸어 다닌다. 산악회? 동호회? 그저 늙음이 추악해 보이는 몸뚱아리 들이다. 돈 2~3만원에 나물여행이라고 싣고온 관광버스는 떡차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 .. ... .. . 멋있게 늙을 수 있는 법. 멋있게 늙을 수 있는 방법. 멋있게 늙을 수 있는 사람. 멋있게 늙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