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8월, 2016의 게시물 표시

전압, 암페어, 전류 계산방법

옴(Ohm)의 법칙 V = IR 여기서, V=전압, 단위는 V(볼트) I=전류, 단위는 A(암페어) R=저항, 단위는 Ω(옴) 간단한 예제하나 써보면, '100V의 전원에 어떤 저항을 연결하였더니 2A의 전류가 흘렀다면 이 때 도선의 전기저항은 몇 Ω인가?' 라는 문제라면 V = IR, R = V/I = 100/2 = 50Ω ------------------------ 이 다음 부분이 저항의 연결(직렬,병렬)일 겁니다. 무조건 외울라고 하지 마시고, 조금만 생각해보면 간단합니다. 그림까지 올리기는 힘들고... 1)직렬연결일 경우엔, 전류 I = 일정, V=V1+V2+V3+.....+Vn 입니다. 옴의 법칙 V = IR 에서 I가 일정하므로 V는 R에 비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R=R1+R2+R3+....+Rn 이 됩니다. 2)병렬연결일 경우엔 전압 V = 일정, I=I1+I2+I3+....+In 입니다. 옴의 법칙 V = IR (I = V/R) 에서 V가 일정하므로 I는 1/R에 비례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1/R = 1/R1 + 1/R2 + 1/R3 + ....+ 1/Rn이 됩니다. ------------------------ 질문제목을 보면 님께서는 기호와 단위를 헷갈려하시는 듯 합니다. 전류의 기호는 V, 단위는 V(볼트) 전류의 기호는 I, 단위는 A(암페어) 저항의 기호는 R, 단위는 Ω(옴) (기호는 그냥 써진대로 영어로 읽으면 됩니다....브이,아이,알) ------------------------ (전류) = V(전압) ÷ R(저항) 인것은 위에 글에 있죠..? 방정식을 헷갈려 하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하도 많이 봐서..각각으로 풀어서 쓸께요.. R(저항) = V(전압) ÷ I(전류) V(전압) = R(저항) X I(전류) 입니다.. ^^* 그리고 위에분 말씀처럼 직렬일때 저항은 다 더하면 되고요.. 병렬일때의 공식은 1/R1 + 1/R2 + 1/R3.... 이런식이 되는데.. 문제 낼때.. 세개 이상의 병렬저항은 잘 안나...

한전규정에 따른 용량과 허용전류와 전선굵기와 차단기선정방법

한전규정에 따른 용량과 허용전류와 전선굵기와 차단기선정방법 참고사항 1.단상 P1 = V(전압) x I(전류) x 역률 (KW)에서   I = P1 ÷ V ÷ 역률 (A)  3삼 P3 = 1.732(루트3) x I(전류) x 역률 (KW)에서 I = P3 ÷ V ÷ 역류 (A) 부하전류는 단상 220 (V)는  1 (KW)당 4.5 (A)로 계산되고 3상380/220 (V)는  1 (KW)당 1.5 (A)로 계산된다. 2. 메인차단기(정격전류) 용량은 단상220 (V)는  1 (KW)당 6 (A)로 계산되고 3상380/220 (V)는  1 (KW)당 2 (A)로 계산된다. 3. 분기차단기(정격전류) 용량은 단상에서는 1(KW)당 5(A)로 계산된다. EX) 단상 220(V) 용량10(KW)라고 가정하면 10(KW) x 5(A) = 50(A) ... 차단기 50(A) 선정 EX) 3상 380(V) 용량10(KW)라고 가정하면 10(KW) x 1.7(A) = 10.7(A)... 차단기 15(A) 또는 20(A) 선정. 4. 단상용량(KW) x 3 = 3상4선식용량(KW) 단상220(V) , 계약전력 24(KW)이상은 CT계량기 설치함. 3상380/220(V) , 계약전력 72(KW)이상은 CT계량기 설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