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0월, 2017의 게시물 표시

부동산 경매절차

1.경매법원의 경매개시 결정. 법원은 채권자가 채무명의에 근거하거나, 담보권에 근거해서 경매개시신청이 있으면 타당한지 검토를 한 후 경매개시결정을 하고 이를 등기소에 촉탁하여 등기한다. 2. 배당요구 종기결정 및 공고. 종기결정 및 공고는 압류의 효력이 생긴 때부터 1주 이내로 하여야 한다. 3. 집행관의 현황조사명령. 법원은 경매개시결정을 한 뒤에 바로 집행관에게 부동산의 현상, 점유관계, 차임 또는 보증금의 액수, 그 밖의 현황에 관하여 조사하도록 명하여야 한다. 4. 감정평가명령. 법원은 감정인에게 부동산을 평가하게 하고 그 평가액을 참작하여 최저매가격을 정하여야 한다. 통상은 감정인 평가액을 최저매각가격으로 결정한다. 5.매각기일과 매각결정기일. 법원은 직권으로 매각기일과 매각결정기일을 정하여 대법원 규칙이 정하는 방법으로 공고한다. 최초 매각기일의 지정, 공고는 배당요구종기로 부터 1월안에 한다. 최초매각기일은 공고일로부터 2주후 20일안의 기간으로 정한다. 6. 매각물건명세서 작성 및 비치. 매각물건명세서의 사본은 매 매각기일마다 1주일 전까지 비치한다. 7. 매각실시. 매각 당일 진행괴며, 기일입찰과 기간입찰와 구분할 수 있다. 입찰은 매각기일에 본인 또는 대리인이 매각장소에 출석하여 입찰표를 집행관에게 제출하는 방식에 의하여 진행된다. 8. 매각 결정기일. 매각기일과 함께 공고한다. 매각허부결정은 매각절차나 기타 권리관계에 하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따져보고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허가를 하게된다. 9. 매각허가확정. 매각허부결정에 이의가 들어오지 않으면, 매각허부결정기일로부터 7일내에 매각을 확정한다. 10.대금지급기일. 대금지급기일제도에서 신법에서는 대금지급기한제도로 바뀌었다. 매각결정 확정기일로 부터 3일 이내에 대금지급기한을 정한다. 통상 매각결정 확정기일로 부터 1개월 이내로 정한다. 11.대금완납. 대금은 지급기한중 어느때나 법원에서 진행하면된다. 12.배당기일. 법원은 매...

제1종 근린생활시설과 제2종 근린생활시설의 차이점은?

제1종 근린생활시설 슈퍼마켓, 일용품(식품, 잡화, 의류, 의약품, 완구, 서적 등) 등의 소매점, 휴게음식점, 이용원, 미용원, 목욕장, 세탁소,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침술원, 접골원 및 조산소, 지구대, 소방서, 우체국, 보건서, 마을회관, 변전소 등 우리 생활에서는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시설들을 말합니다. 제2종 근린생활시설 일반음식점, 기원, 테니스장, 체력단련장, 에어로빅장, 볼링장, 당구장, 실내낚시터, 골프연습장, 종교집회장 및 공연장, 비디오물 감상실, 금융업소, 부동산중개업소, 제조업소, 수리점 등 즉 우리 생활에서 제1종보다 약간 친숙하고 덜 필요한 시설을 말합니다. 제1, 2종 근린생활시설의 차이점은 우리의 생활과 얼마나 친숙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관련링크 : 가정집을 음식점으로 바꾸는 법. 용도변경 절차부터 허가까지 A to Z 토지이용계획확인서의 이해

10월 하순 농사 작업 요약

10월 하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벼 말리기  - 수분함량 15%이내  - 건조기 알맞는 온도지키기 : 수매용 50℃, 종자용40℃이하  - 망사, 개량곳간 이용 벼말리기 2. 벼 우량품종 자율교환 3. 볏짚 깔기 및 가을 깊이갈이 4. 고구마 수확 후 저장관리  - 저장전 상처처치(7일이내) 온도 : 30~33℃, 습도 90~95% 4일간  - 햇빛 잘 들지 않는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15일간 예비점검  - 본저장 : 12~15℃, 습도 80~90% 5.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원푸드인증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김장배추, 무 추비시용 및 병해충방제 2. 가을느타리버섯 재배관리 및 겨울재배 준비 3. 시설원예농작물 환경관리 : 보온대책 등 4. 과원 초생재배용 종자 파종 5. 표고버섯 발생 및 원목관리 6. 토양검정의뢰 : 토양개량제시용, 객토실시 7. 인삼종자 파종 : 1,740알/칸 8.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9. 과수 밑거름 사용 : 유박, 퇴비, 복합비료 등  - 과수 조피, 잡관물 제거 등 병해충 전염원 제거 축산 1.담근먹이, 건초 먹이기 시작 2. 산란계 점등시간 연장 3. 축사의 보온시설 손질 및 설치 4. 새로 조성한 초지의 월동전 방목관리 실시 5. 축산미생물 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6.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7. AI, 구제역 상황실 운영

10월 중순 농사 작업 요약

10월 중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벼 적기수확 및 조제  - 출수후 50~53일  - 벼 말리기   · 수분함량 15%이내   · 건조기 알맞는 온도지키기 : 수매용 50℃, 종자용40℃이하   · 망사, 개량곳간 이용 벼말리기 2. 콤바인 수확시 볏짚 잘라깔기 : 콤바인 속도지키기 3. 녹비작물 파종 (헤어리베치 6~9kg/a) 4. 동계작물(보리,밀) 적기파종 5. 친환경 토양관리를 위한 토양검정 실시(시료채취) 6.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원푸드인증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김장배추, 무 병해충방제 2. 복숭아 세균구멍 방제 : 4~8식 석회보르도액(2회) 3. 신고배 예건작업(7일~10일)후 저장고 입고(과피흑변방지) 4. 과채류 억제재배 적기수확 출하 : 오이, 토마토, 등 5. 느타리버섯 발생 및 재배관리 : 온도 10~16℃, 습도 80~90% 6. 마늘파종, 양파정식 완료(10.15일전) 7. 인삼 2년생 보식 실시 8. 적정 시비를 위한 토양검정 실시(시료채취) 9.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축산 1.파리, 모기, 진드기 등 가축의 외부기생충 구제 2. 돼지 전염성 위장병, 소 전염성비기관염 예방접종 3. 초지의 방목 및 목초이용 : 방목간격 3~4주 4. 논뒷그루 사료작물 파종 5.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6. 축산미생물 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7. AI, 구제역 상황실 운영

10월 상순 농사 작업 요약

10월 상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벼 적기수확 및 조제  - 제때 벼베기 : 출수후 50~53일  - 벼 말리기   · 수분함량 15%이내   · 건조기 알맞는 온도지키기   · 망사, 개량곳간, 건조기(종자용 40℃ 이하)이용 2. 콤바인 수확시 볏짚 잘라깔기 : 콤바인 속도지키기 3. 밭작물 적기수확 4. 동계작물(보리,밀) 적기파종 5. 녹비작물 파종 - 헤어리베치 6~9kg/10g 6.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원푸드인증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김장배추, 무 배추밭관리 2. 마늘심기 : 토양소독(테라피, 다아라, 싸이메트 등) 3. 양파 정식 : 15X15cm(정식한계기 10월20일) 4. 복숭아세균구멍방제 : 석회보르도액 4~12식(1차) 5. 화훼 구근류 수확 저장 6. 느타리버섯재배사 환경관리 :  온도, 습도, 환기 철저 7. 표고버섯 발생 및 원목관리 8. 인삼 수확 9.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축산 1.파리, 모기, 진드기 등 가축의 외부기생충 구제 2. 돼지 전염성 위장병, 소 전염성비기관염 예방접종 3. 초지의 방목 및 목초이용 : 방목간격 3~4주 4. 논뒷그루 사료작물 파종 5.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6. 축산미생물 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7. AI, 구제역 상황실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