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월, 2017의 게시물 표시

귀뚜라미 CTR-5000 보일러 사용법 - 고장코드, 온도조절, 에러 해결

난방수 수온 확인 - 전원 버튼을 5초간 눌러주면 난방수 온도가 깜박이며 표시 됩니다. (연탄보일러/화목보일러 겸용시 난방수 온도를 알 수 있어 편리 합니다.) 급탕(목욕) 온도 조절 - 목욕 버튼을 5초간 눌러주면 현재 설정된 급탕수 온도가 표시 됩니다. 온도 변경을 원할시 실내버튼과 목욕버튼을 이용하여 원하는 급탕수 온도로 조정 할 수 있습니다. 원하는 온도 설정후 5초 후 자동으로 설정 됩니다. (80~83℃ 정도가 적당 합니다.) 에러코드 발생시 조치 사항 귀뚜라미 보일러 고장신고 : 1588-9000   #CTR5000 #귀뚜라미보일러 #보일러사용법 #보일러온도조절 #난방수온도 #급탕온도조절 #목욕온도 #연탄보일러 #화목보일러 #보일러설정법 #보일러설명서 #보일러에러 #에러코드 #보일러고장 #보일러수리 #15889000 #보일러관리 #겨울준비 #보일러온도체크 관련링크 - 귀뚜라미 보일러 에러코드 및 조치내용, 서비스 접수처 귀뚜라미 보일러 에러코드 여름철 보일러 꺼뒀는데 왜 돌아가지? 온수전용 모드 소음 원인 알려드립니다. 기름 및 가스 보일러 효율 높이는 자가 점검과 관리법

9월 하순 농사 작업 요약

9월 하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본답관리  - 종자받을 논 잡이삭 뽑기  - 중만생종 완전 물떼기  - 적기벼 수확작업   ㆍ콤바인 알맞는 속도 지키기 : 종자용 400회/1분, 수매용 500회/1분   ㆍ콤바인 수확시 볏짚 잘라깔기 2. 고구마 조기 수확 및 출하 3.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김장채소 병해충 방제 및 관수실시 2. 과실 수확 후 가을 전정 및 거름주기 3. 사과잎 따기 및 반사필름 피복 4. 시설채소 하우스 비닐씌우기준비 5. 느타리버섯 균기르기 환경관리  - 온도 23~29℃, 습도 70%이하 (온도, 습도, 환기) 6. 표고버섯 발생 및 원목관리 7. 인삼 수확 8.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축산 1.논뒷그루 사료작물 파종 2. 젖소 유방염 예방 3. 가축의 합리적 관리로 생산성 향상 4, 돼지열병 예방접종 5. 개 광견병 예방접종 6. 축산미생물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7. 구제역 예방백신 일제접종 8.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9월 중순 농사 작업 요약

9월 중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본답관리  - 종자받을 논 잡이삭 뽑기 및 피사리  - 중생종 완전 물떼기 : 이삭팬후 30~40일경  - 조생종벼 수확작업   ㆍ콤바인 알맞는 회전속도 지키기 종자용 400회/1분, 수매용 500회/1분   ㆍ콤바인 수확시 볏짚 잘라깔기 2. 밭작물 적기수확 및 건조 3. 농업기술보급사업 종합평가회참석 4. 양질퇴비 만들기 및 가을 녹비작물재배  준비(호맥) 5.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딸기 아주심기 : 반촉성재배 2. 비닐하우스 촉성재배 채소 씨뿌리기 3. 과실 숙기별 적기 수확 및 출하 4. 느타리버섯 균기르기 환경관리 : 온도 23~29℃, 습도 70%이하 5. 표고버섯 발생 및 원목관리 6. 치악산 큰송이버섯 생육관리 : 온도 15~18℃ 7. 약용작물 수확 : 당귀,황기,도라지 8. 인삼 수확 작업 : 해가림 시설 철거 9.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축산 1. 알낳는 닭 점등사육 2. 닭의 뉴켓슬병 예방 및 가축의 기생충 구제 3. 소,돼지 접붙이기  - 적기종부 1차 : 발정개시후 12-18시간             2차 : 1차종부후 12시간 4. 구제역 예방백신 일제접종 5. 축산미생물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6.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지역별 쌀 수확시기

제목 : 쌀 지역별 수확시기 질의내용 안녕하십니까? 홈쇼핑에 농협과 연계하여 쌀을 판매대행하는 업체입니다. 국내 지역별 쌀 수확시기를 알고 싶습니다. 인터넷 자료는 출처가 불분명하여 농촌진흥청에 의뢰합니다. 답변내용 ○ 벼 수확 시기는 품종의 조만에 따라 다릅니다. ○ 일반적으로 극조생종은 이삭 팬 후 40일, 조생종은 이삭 팬 후 40∼45일, 중생종은 45∼50일, 중만생종은 50∼55일이 수확 적기입니다. ○ 지역별로는 북부지역은 극조생∼조생종, 중부지역은 중생종, 남부지역은 중만생종을 주로 재배하나 현재에는 조기 출하를 목적으로 남부지역에도 조생종을 재배하는 농가가 많습니다. ○ 일반적으로 벼 수확을 가장 많이 하는 시기는 북부 지역(한강 이북, 강원도 지역)은 9월 하순∼10월 상순, 중부지역(경기 남부, 충정도 지역)은 10월 상순∼중순, 남부 지역(영호남 지역)은 10월 중순∼하순에 주로 수확 작업을 합니다. ○ 중부지역과 남부지역에서도 조생종을 재배한 논은 이 보다 더 일찍 수확하는 논도 있습니다. 출처 - http://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Sub.ps;jsessionid=CJYEf63PPPHH2AFnU1mPXfzmi8Gx5rtrL55VrIGfu5JxPHrP9PQsdjWScVHQB9Lm.nongsaro-web_servlet_engine1?menuId=PS00078&pageIndex=1&pageSize=10&cntntsNo=207071&sType=sCntntsSj&sText=

9월 상순 농사 작업 요약

9월 상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본답관리  - 중만생종 물걸러 대기  - 조생종 완전 물떼기 : 이삭팬 후 30~40일경  - 종자받을 논 잡이삭 뽁기 및 피사리  - 벼멸구 밀도 높은 필지 보완방제 2. 밭작물 적기수확 3. 녹비작물 종자 신청 : 10월말까지 읍면동 사무소 4.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배추 아주심기 2. 과실 숙기별 적기수확 출하 및 가을 전정실시 3. 느타리버섯 가을재배준비 및 관리  - 볏짚, 폐면이용 종균접종 : 3.3㎡당 5.4~6.8kg  - 균기르기 환경 4. 표고버섯 발생 및 원목관리 5. 약용작물 수확준비 : 당귀, 황기 등 6. 내한성 양파 육묘관리 : 잘록병예방, 웃자람 억제 7.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 태풍피해대비 시설하우스, 과원 정밀관리 축산 1. 초지조성을 위한 목초파종 2. 축사 청결유지 및 소독 3. 닭 인플루엔자 예방 4. 구제역 예방백신 일제접종 5. 소 기립불능증 질병예방 및 방역 소독 6. 축산미생물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7.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