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11월, 2017의 게시물 표시

11월 하순 농사 작업 요약

11월 하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깊이갈이 실시 2. 모래논 찰흙객토 및 규산질 비료주기 3. 동계작물(보리,밀) 배수로 정비 4. 고구마 저장관리 : 온도 12~15℃, 습도 80~90% 5. 밭작물 우량품종 고르기 : 콩, 참깨, 땅콩, 고구마 등 6. 녹비작물 월동관리 : 포장진압 7. 정부보급종(벼, 옥수수, 감자) 종자신청 : 읍면동 농업인지소(상담소) 8.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원푸드인증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토마토, 오이촉성 재배 아주 심기 2. 느타리버섯 겨울재배  - 종균접종 및 균기르기 : 온도, 습도, 환기 철저 3. 마늘, 양파 보온설치 완료 4. 화훼 구근 저온저장 5.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축산 1. 축사의 보온환기 및 가축사양 관리 철저 2.젖소에 담근먹이 등 양질 조사료의 충분한 급여 3. 논 뒷그루 사료작물 포장 진압 등 월동관리 4. 축산미생물 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5. 월동대비 축사 전기 안전점검 6.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7. AI, 구제역 상황실 운영

11월 중순 농사 작업 요약

11월 중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논 볏짚깔기 및 깊이갈이 실시 : 미숙논, 볏짚넣은 보통논 2. 모래논 찰흙객토 및 규산질 비료주기 3. 밭작물 우량품종 고르기 : 콩, 참깨, 땅콩, 고구마 등 4. 밭작물 수매 5. 고구마 저장관리 : 온도 12~15℃, 습도 80~90% 6. 정부보급종(벼, 옥수수, 감자) 종자신청 : 읍면동 농업인지소(상담소) 7.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원푸드인증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시설채소 하우스 설치 2. 김장채소 수확 및 저장 3. 마늘, 딸기 등 월동채소 관리 : 비닐, 볏짚피복 4. 마늘, 양파 보온자재 준비 5. 화훼 구근 채취 후 소독 6.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7. 과수 밑거름 시용완료 : 완효성 비료 등 축산 1. 축사의 보온시설 설치 2. 깔짚 충분히 넣기 3. 환절기 가축관리 잘하기 및 호흡기 질병예방 4. 비육우 체중에 맞는 사료 먹이기 5.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6. 축산미생물 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7. AI, 구제역 상황실 운영

11월 상순 농사 작업 요약

11월 상순 해야 할 농사 작업 요약 입니다. 식량작물 1. 벼 우량품종 자율교환 2. 깊이갈이 실시 : 미숙논, 볏짚 깔은 보통논 3. 밭작물 수매 : 선별, 정선, 출하 4. 모래논 찰흙객토 및 규산질 비료 사용 5. 정부보급종 종자 신청 : 읍면동 농업인지소(상담소)  - 벼 : 11.26 ~ 12.20  - 옥수수 : 11.10 ~ 12.30  - 봄감자 : 11.10 ~ 12.6 6. 토양 분석 및 정보활용  - 토양검정 : 친환경, GAP, 원푸드인증  - 정보활용 : 흙토람(soil.rda.go.kr), 비료사용처방서 확인 원예ㆍ특용작물 1. 김장배소 수확 2.시설채소 하우스설치(기존하우스 비닐피복) 3. 시설 엽 -근채류 관리 4. 사과, 배 저장관리 5. 장미, 목련 등 짚으로 싸매주기 6. 황기, 사삼 수확 및 조제 7. 느타리버섯 겨울재배준비 : 볏짚, 폐면, 종균 등 8. 표고원목 월동관리 및 불시재배 9. 토양검정의뢰 : 토양개량제시용, 객토실시 10. 화훼 구근 채취 11. 농업미생물 활용 -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축산 1. 가축의 깔짚 준비하기 : 톱밥 및 볏짚 2. 가축의 내부기생충 구제약 먹이기 : 연 2회 정기구제 3. 논뒷그루 사료작물 포장 배수로 설치 4. 가축분뇨 처리 및 축사주변 소독실시 5. 전국 일제 소독의 날 운영(수요일) 6. 축산미생물 활용 -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7. AI, 구제역 상황실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