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상순은 수확과 파종이 겹치는 시기로, 작물별로 적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량작물, 원예작물, 축산 분야별로 꼭 해야 할 작업들을 정리하였으니 농장 관리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식량작물 관리
벼 수확 및 건조
출수 후 50~53일 사이에 벼를 수확하는 것이 품질 유지에 유리합니다.
수확 후 건조는 수분이 15% 이하가 되도록 관리하며, 종자용 벼는 40℃ 이하의 낮은 온도로 건조기를 활용합니다.
저장 시 통풍이 잘 되는 망사 시설, 개량 저장고 등을 이용하면 좋습니다.
볕짚정리
콤바인 수확 시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 볏짚을 균일하게 절단하고, 깔아주는 작업이 중요합니다.
밭작물 수확
고구마, 콩 등 밭작물도 수확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유의합니다.ib612.com
보리,밀 파종
월동을 위한 동계작물(보리,밀)은 적기에 파종하여 뿌리 활착을 돕습니다.
녹비작물 파종
토양 개량을 위한 헤어리베치 등을 10a당 6~9kg 정도 파종합니다.
토양 상태 진단
유기농이나 GAP 인증을 위해 토양검사를 실시하고, '흙토람(soil.rda.go.kr)'을 통해 비료처방서 등을 참고합니다.
원예 및 특용작물
김장채소밭 관리
배추와 무는 병해충 방제와 웃거름 주기를 조절해 건강하게 자라도록 관리합니다.
마늘 파종
마늘을 심기 전, 토양 내 병원균을 억제하기 위해 소독제를 활용해 예방합니다. (예 - 테라피, 다아라 등)
양파 정식
줄 간격 15cm x 포기 간격 15cm로 심으며, 10월 20일 전까지 마치는 것이 좋습니다.
과수 병해 방제
복숭아나무에는 석회보르도액(4~12식)을 이용해 세균성 병해(세균구멍병 등)를 1차 방제합니다.
화훼 구근류 관리
꽃 구근은 수확 후 건조하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 보관해 다음 재배에 사용합니다.
버섯재배사 환경 유지
느타리와 표고버섯은 온도,습도,환기를 철저히 관리해 발아율을 높입니다.ib612.com
인삼 수확
생육 연도에 맞춰 인삼을 캐며, 뿌리 손상 없이 채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익 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등을 작물에 적용해 생육 촉진 및 병해 예방에 도움을 줍니다.
축산 관리
외부기생충 방제
파리, 진드기, 모기 등 가축 해충을 제거해 스트레스 및 전염병 위험을 줄입니다.
예방접종
돼지는 전염성 위장염, 소는 호흡기 질병(전염성 비기관염 등)에 대한 예방접종을 실시합니다.
방목지 관리
초지는 3~4주 간격으로 휴지기를 주며 방목하며, 목초 생산량을 높이기 위해 적절히 관리합니다.
사료작물 파종
논을 수확한 후, 뒷그루 사료작물(호밀, 이탈리안라이그래스 등)을 파종합니다.
가축 방역
매주 수요일은 '전국 일제 소독의 날'로 지정해 축사 주변 및 장비 등을 철저히 소독합니다.
축산 미생물 이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을 급여해 장 건강과 사료 효율을 개선합니다.ib612.com
전염병 대비
AI(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등에 대한 감시체계를 유지하며, 유사 증상 발견 시 즉시 신고합니다.
기온 변화가 큰 시기이니 작물 생육 상태를 자주 점검하고, 병해충 예방과 저장 관리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합니다. 계획에 맞춘 철저한 작업으로 안정적인 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