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낚시 용어 사전



낚시 용어 사전 

Action(액션) : 릴(reel)로 루어의 동작을 천천히 또는 빠르게 감는 행동. 로드(rod)의 taper로 휘어짐과 펴짐을 반복하는 행동. 루어를 놀리는 행동.

Active(액티브) : 배스의 활성도가 높은 상태.

Adaptation(어댑테이션) : 배스가 주어진 환경에 적합하게 적응하는 과정.

Adapted(어댑티드) : 환경에 맞게 적응한.

Alley(앨리) : 물 속에 나있는 수초와 수초사이의 소로. 해안선과 수초사이의 물속 소로.

Ambush(앰부쉬) : 매복전술에 의한 먹이사냥 방법으로, 배스의 대표적인 먹이사냥 방식.

Angler(앵글러) : 릴(reel) 그리고 폴(pole)로 이루어진 낚시도구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낚는 사람.

Antireverse(앤티리버스) : 스피닝 릴(spinning reel)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장치.

Appetite moods(애피타이트 무드) : 먹이활동을 하려는 배스의 기본상태.

Approach(어프로치) : 포인트에 접근하는 것.

Aquaculture(아쿠아컬쳐) : 사료로 물고기를 양식하는 방법.

Attracting lure(어트랙팅 루어) : 배스의 공격 습성을 자극해 유인하는 기능의 루어.

Backlash(백래시) : 베이트 릴(bait reel)에서 스풀(spool)이 라인이 풀려나가는 속도보다 빨리 회전하면서 라인이 엉키는 현상.

Backtrolling(백트롤링) : 루어를 캐스팅하고 난 뒤 로드를 고정시키고 보트(boat)를 서서히 후진시키면서 루어를 움직이는 보트 컨트롤 시스템(boat control system).

Backwater(백워터) : 강의 본류에서 벗어난 후미진 곳. 또는 새로이 침수된 얕은 지역.

Bag limit(백 리미트) : 낚시꾼이 하루에 잡을 수 있는 물고기의 마리 수와 길이에 대한 규정으로, 길이에 대한 최소크기는 미국의 경우 12inch(30cm)로 상향되는 추세이며, 한국은 JB 한국지부 25cm(운암호), 30(안동호), K-Top 안동 경우 30cm임.

Bait(베이트) : 미끼.

Baitfish(베이트피시) : 포식성 어종의 먹이가 되는 작은 물고기.

Bank(뱅크) : 절벽 등 경사도 60˚ 정도의 둑이나 제방.

Bar(바) : 모래나 돌, 식물 등에 의하여 형성된 본류를 길게 가로·세로지르는 보 형태나 연안으로 형성된 등성이.

Bassing zone(배싱 존) : 수심이 깊은 지역, 딱딱한 바닥의 끝지점.

Bay(베이) : 강이나 큰 저수지의 가장자리를 따라 오목하게 생긴 만의 모양.

Bell sinker(벨 싱커) : 황동으로 만들어진 서양배(종)형상의 봉돌 = 총알형(bullet)싱커.

Bell lift(벨리 리프트) : 배스를 랜딩시키는 고급기술로서, 배스의 힘을 완전히 뺀 후 뱃전에 배스의 몸을 붙이고 손을 배스의 배에 대고 랜딩함으로써 상처를 적게 하는 방법.

Bite(바이트) : 배스가 루어를 빨아들이는 동작.

Blade(블 레이드) : 스피너(in-line spinner) 또는 스피터베이터(spinnerbait)등에 부착된 회전하는 날개로, 대표적으로 콜로라도(Colorado),인디애나(Indiana).윌로우 리프(willow leaf)의 3가지 모양이 있다.

Boil(보일) : 낚시 대상어종이 작은 미끼를 먹기 위하여 수면으로 쫓아나오는 현상.

Boron rod(보론 로드) : 보론이라는 재질로 만든 낚싯대, 위아래로 붙여 만든 것으로 탄력이 좋으나, 약간 무거운 단점도 있음.

Bottom(바텀) : 물 속 바닥 또는 바닥에 가까운 부분.

Bottom bumper(바텀 범퍼) : 바닥을 두드려서 사용하는 루어(lure) 또는 리그(rig).

Bottom content(바텀 컨텐트) : 바닥의 조성.

Braided line(브레이드 라인) : 여러 가닥을 꼬아서 만든 라인 = 합사.

Break(브레이크) : 여러 종류의 크고 작은 은폐물, 구조물들.

Breakline(브 레이크라인) : 층계식으로 얕은 곳에서 갑자기 깊은 곳으로, 수초에서 갑자기 잡목으로 바뀌는 부분, 또는 물의 온도, 밀도, 산도, 탁도, 빛의 투과도 등이 갑자기 변하는 층. 일정하게 지속되던 형상이나 성질이 급격히 변하는 층.

Breakilne secondary(브레이크라인 세컨더리) : 브레이크라인(breakline)이 두 번째로 발생되는 부분.

Brushline(브러시라인) : 잡목의 안쪽 또는 바깥쪽 부분.

Bump(범프) : 루어를 바닥의 장애물에 부딪히는 기술.

Bumping lure(범핑 루어) : 스푼(spoon), 지그(jig), 스피너(spinner)등 무거운 것들을 바닥 장애물에 부딪쳐 배스를 낚는 루어들.

Bush(부쉬) : 수면위로 자라난 수생 잡목 또는 잔가지가 덩어리진 수출더미.

Butt action(버트 액션) : 손잡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부터 휘는 로드의 표시.

Buzzbait(버즈베이트) : 수표면 위에서 사용하는 루어로, 스피너베이트(spinnerbait)와 비슷하나 블레이드(blade)대신 바람개비 형상의 돌개가 있는 루어.

Buzzing(버징) : 루어를 감을 때 스피너베이트(spinnerbait) 또는 버즈베이트(buzzbait)가 물위에서 내는 소리.

Carloina rig(캐롤라이나 리그) : 스위블(도래)를 이용하여 리더 라인을 연결하는 채비로, 봉돌과 훅이 멀리(60~100cm)떨어져 있는 채비.

Casting(캐스팅) : 루어를 던지는 행동.

Catch and release(캐치 앤 릴리즈) : 낚은 고기를 최소의 상처로 살려서 놓아주는 방법.

Channel(채널) : 인공호수를 만들기 전에 강 또는 수로가 흘렀던 자리(물골).

Channel band(채널 밴드) : 물고량이 커브를 그리며 휘어지는 부분.

Chugger(처거) : 루어의 입이 컵(cup)처럼 움푹 파였으며, 비드(bead)가 들어 있는 탑워터 플러그(Topwater plug)로 스틱베이트(stickbait)와 포퍼(popper)의 혼합형태.

Chugging(처깅) : 사람이 물 따위를 마실 때 목에서 나는 꼴깍꼴깍 같은 소리.

Clicking noise(클리킹 노이즈) : 비드와 싱커가 부딪치면서 내는 소리. 가재가 도망치면서 작은 돌들의 마찰로 나는 소리.

Closed face reel(클로즈드 페이스 릴) : 스핀캐스팅 릴(spincasting reel)과 같은 말로, 릴의 전면이 가려져 스풀(spool)이 보이지 않는 릴.

Cold front(콜드 프론트) : 한랭전선.

Combinatiom lure(콤비네이션 루어) : 스피너(in-line spinner)와 미노우(minnow)등 2가지 루어를 혼합한 루어.

Contact(컨택) : 루어가 바닥 또는 장애물 등에 닿는 것Contact point(컨택 포인트) : 모든 고기가 깊은 곳에서 이동하면서 처음으로 거치는 바닥의 스트럭처 포인트.

Constantly Reeling(콘스턴트리 릴링) : 끊임이 없이 일정하게 라인을 감는 방법.

Count down(카운트다운) : 루어를 물속에 적당한 깊이로 가라 앉히는 방법.

Cove(커브) : 배스가 선호하는 곳으로, 호수나 저수지의 해안을 따라 들어간 U자형의 지형.

Cover(커버) : 강, 호수 등의 바닥에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장애물, 특히 배스의 행동양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엄폐, 은폐물.

Crankbait(크랭크베이트) : 몸을 뒤틀면서 헤엄치는 동작을 일으키는 플러그 루어(plug lure)의 한 종류.

Crawfish(크로피시) : 가재 또는 그와 비슷하게 생긴 배스낚시용 루어.

Creek(크리크) : 호수의 본류로 이어지는 지류.

Creek channel(크릭 채널) : 지류의 물고랑.

Creel limit(크릴 리미트) : 하루에 잡을 수 있는 물고기의 수와 종류를 제한한 규정.

Current(커런트) : 유속, 물이 흐르는 방향.

Cut(커트) : 포이트(곶부리)의 반대로, 옆으로 움푹 들어간 곳.

Cutter(커터) : 줄을 잘라내는 라인 커터.

Dart(다트) : 루어의 급격한 움직임.

Dark-Bottom bay(닥바텀 베이) : 이른 봄 수온의 상승이 가장 빠르게 일어나는 바닥, 검은색을 띠고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 이어져 나온 곳.

Dash(대시) : 배스가 루어를 물고 도망가기 위해 차고 나가는 것.

Debris(데브리) : 물 속에 자연적 또는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장애물.

Deck(데크) : 보트의 갑판.

Deep diver(딥 다이버) : 립(lip)이 커서 물 속 3m 이상 깊숙이 잠수하는 플러그(plug).

Deepwater(딥워터) : 2.5~3m 이상의 수심지역.

De gas(디 가스) : 깊은 물에서 잡아낸 배스의 부레에 가스를 빼주는 것.

Dense cover(덴스 커버) : 장애물이 매우 빽빽한 상태 = 해비 커버(heavy cover)Depthfinder(뎁스파인더) : 초음파를 이용한 수심탐지기.

Dissolved oxygen(디솔브드 옥시전) : 용존산소, 바람이나 수생식물에 의해 생성된 산소로서 물고기의 생존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

Dock(도크) : 선착장, 보트 탑승 시설인 잔교.

Doodlong(두 들링) : 황동 싱커(brass sinker)와 유리구슬(bead)를 통과시킨 텍사스 리그를 사용하여 찰칵찰칵 소리를 연속 나게 함으로써 루어가 가재, 지렁이, 뱀장어 등이 땅속으로 숨는 것 같은 모습과 소리를 연출하여 배스를 유인하는 고급 기술.

Down fishing(다운피싱) : 낚시 대상어의 감소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은 낚시 상태.

Down shot rig(다운 샷 리그) : 라인 끝에 스플릿 tit을 달고 그 20~50cm 앞에 바늘을 묶어 작은 플라스틱 웜을 꿰어 사용하는 채비. =일명 언더 리그라고도 함.

Drag(드래그) : 역회전방지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동안 라인이 끊어지지 않도록 릴(reel)에서 라인이 풀려나가는 정도를 조절하는 장치.

Drop & lift(드롭 앤 리프트) : 지깅(jigging)과 같은 뜻으로, 루어를 수직(상하)으로 놀려주는 방식, 고패질이라고도 함.

Drop-off(드롭 오프) : 수심이 급격히 변하는 지역.

Drop Shot rig(드롭 샷 리그) : 미국에서 스몰마우스 배스낚시 채비에서 발전하여 맑은 물, 깊이 머문 배스에 적합한 낚시채비(스위블을 사용한 것이 특징)로 언더리그의 발전임.

Edge(에지) : 모서리, 면, 장애물 지대의 경계선, 서로 다른 성질의 요소가 만나는 지점.

Electric motor(일렉트릭 모터) : 엔진이 아닌 배터리로 움직이는 모터.

Epilimnion(에필림니언) : 서모클라인 상층부에 놓여지는 따뜻하고 가벼운 성질을 가진 수온층.

Exciting time(엑사이팅 타임) : 골든 타임(golden time)이라고도 하며 아침, 저녁 고기가 잘 잡히는 시간대를 말함.

Falling(폴링) : 푸어를 가라앉히는 도중에 배스가 루어를 공격하게 하는 기술.

Fan casting(팬 캐스팅) : 부채꼴 모양으로 여러방향 꼼꼼히 캐스팅하는 방법.

Fecundity(피컨더티) : 배스의 산란능력, 한 시즌에 암놈이 낳는 알의 수Feeding(피딩) : 어식성 어종이 고기를 잡아먹는 현상.

Feeder crd아(피더 크리크) : 새 물이 유입되는 작은 지류.

Feeding area(피딩 에리어) : 먹이활동을 하는 장소.

Ferrule(패럴) : 로드의 이음매 부분.

Fighting(파이팅) : 배스와의 대결.

Finesse tactics(피네스 택티스) : 가는 라인과 작은 베이트를 이용한 테크닉의 총칭.

Finesse worm(피네스 웜) : 루어가 가늘고 끝이 일자로 뾰족하게 생긴 4inch이하의 소프트 플라스틱 웜.

Fingerling(핑거링) : 보통 1~3inch의 어린 고기.

Fisherman(피셔맨) : 도구를 사용하여 물고기를 잡는 사람.

Fish eater(피시 이터) : 작은 물고기를 먹고 사는 어식성 어종.

Fish eaten(피시 이튼) : 낚시 중 작은 물고기가 모인 상태에서 큰 물고기가 작은 물고기를 먹다 바늘에 걸리는 현상. 덮치기라도 함.

Fishing perssure(피싱 프레셔) : 불안정한 외부의 요인들에 인해 물고기의 활성도가 매우 나빠지는 현상으로, 세련된 접근방법이 요구되는 상태.

Fitness(피트니스) : 동물이 번식과 생존을 영위하는 능력.

Flat(플랫) : 저수지, 강, 호수에서 깊이의 변화가 거의 없는 평평한 바닥.

Flipping(플리핑) : 5~8m정도의 거리에 장애물이 밀집되어 있는 좁은 곳으로 루어를 던지는 기술.

Flipping stick(플리핑 스틱) : 헤비 액션 로드(heavy action rod) 로서, 비교적 긴 7~8ft의 배스전용 로드이며, 일반적인 로드보다 길다.

Folater(플로터) : 낚시용으로 만들어진 투브로 밸리보트라고도 함.

Folating(플로팅) : 물에 뜨는 루어나 라인 또는 현상.

Folating fig(플로팅 리그) : 찌를 사용하여 매우 작은 루어를 던지거나 루어를 띄우는 리그로, 베이트 릴로 플라이를 던질 수도 있는 채비.

Food chain(푸드 체인) : 생태계의 먹이사슬.

Forage(퍼리지) : 먹이 또는 먹이를 찾는 것.

Frog(프로그) : 개구리나 개구리의 형상 루어.

Fresh water(프레쉬 워터) : 강, 계곡 등 민물.

Front(프론트) : 날씨현상으로, 기상전선.

Gear ratio(기어 래티오) : 릴(reel)을 감을 때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핸들(handle)을 한바퀴 돌릴 때 스풀(spool)이 도눈 수와의 비율을 말함.

Graphite(그래파이트) : 로드의 주요 재료로 쓰이는 탄소섬유, 가볍고 강도가 강한 것이 특징.

Grub(그럽) : 굼뱅이 형상의 몸체에 꼬리가 달린 소프트 플라스틱 루어(soft plastic lure).

Guide(가이드) : 로드에 라인을 끼워 통과되는 링(ring).

Hard bottom(하드바텀) : 모래, 점토, 바위, 자갈 등으로 이루어진 딱딱한 바닥.

Hard lure(하드 루어) : 플라스틱, 나무, 금속으로 만든 단단한 루어.

Head shaking(헤드 쉐이킹) : 배스가 히트(hit)되어 라인을 감아들일 때, 끌려오던 배스가 물 위로 점프(jump)하여 머리를 흔드는 동작으로, 송어낚시에서는 '바늘털이'로 통용됨. 정확한 배스용어는'헤드 쉐이킹'이라고 하며, 배스낚시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임(tail walking).

Heavy calorina rig(헤비 캐롤라이나 리그) : 20g 이상의 무거운 싱커를 이용한 웜 채비.

Heavy cover(헤비 커버) : 밀도가 높은 장애물.

Hit(히트) : 배스가 루어에 걸린 것.

Hole(홀) : 수면 장애물 지대의 물구멍 또는 움푹 패인 바닥.

Hook(훅) : 낚시바늘.

Hook keeper(훅 키퍼) : 로드에 부착된 훅걸이로, 이동시 훅을 꽂아서 사용하는 부분.

Hook set(훅 세트) : 고기가 낚시에 걸렸을 때 힘껏 챔질하여 훅이 확실히 꽂히게 하는 행동.

Hopping(호핑) : 싱커(sinker)가 바닥에 닿은 후 로드(rod)의 끝을 들어 조금 앞으로 들고 놓아주기를 반복하면서 서서히 라인(line)을 감아주는 기술(바닥뛰기)로, 가재가 도망치는 모습에서 유래됨.

Hump(험프) : 물 속 둔덕.

Hypolimnion(하이폴림니엄) : 서모클라인 하층부에 놓여지는 차갑고 무거운 성질을 가지고 있는 수온층.

I.G.F.A(International Game Fishing Association) : 게임피싱(game fishing)에 대한 규칙 및 각종 기록을 총괄하는 국제 낚시 단체.

Invisible cover(인비저블 커버) : 수면에서 보이지 않는 수중의 장애물.

Imitation lure(이미테이션 루어) : 개구리, 쥐, 물고기 등의 형상을 본따서 실물과 비슷하게 만든 루어.

Jerk(저크) : 로드를 강하고 격력하게 주욱 당기고 멈추는 동작을 반복하여 루어를 급하게 움직여주는 것.

Jerkbait(저크베이트) : 손목을 이용하여 순간 움직임이나 길게 끌어 사용하는 루어.

Jig(지그) : 훅에 둥근 납을 부어 만든 것으로, 털이나 스커트(skirt)따위를 달아서 사용하는 루어.

Jigging(지 깅) : 루어 액션의 일종으로 미끼를 위 아래 수직으로 움직이는 낚시방법. 고패질Jig head(지그헤드) : 일반적으로 라운드 지그헤드(found jig head)를말하며, 웜(worm),이나 그럽(grub)을 달기 위해 훅에 납을 둥글게 부어 만든 훅의 형태.

Johnboat(존 보트) : 뱃전의 바닥이 낮고 평평한 형태로 된 알루미늄 보트.

Ju,pbait(점프베이트) : 릴을 감을 때 불규칙한 움직임을 갖도록 만들어진 시가담배 형상의 탑워터 플러그(topwater plug).

Keeper size(키퍼 사이즈) : 토너먼트 또는 낚시규정에 의해 일단 살려서 보관할 수 있는 제한된 크기 이상의 물고기(미국 B.A.S.S 마스터대회는 12inch이고 아칸소주에선 15inch임).

Kevlar(케블러) : 낚시대의 소재중의 한 종류 이름(예:위스커,보론...등).

kneeling&reeling(닌링 앤 릴링) : 깊은 수심공략을 위해 무릎을 꿇고 로드가 물에 잠긴 상태로 릴링하는 행위.

Knot(너트) : 매듭 법. 라인과 라인 또는 라인과 바늘을 잇는 이음방식.

Lake(레이크) : 자연 또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호수.

Landing(랜딩) : 낚시에 걸린 고기를 손으로 잡아 물 바깥으로 끌어내는 것.

Lateral line(래터럴 라인) : 물고기의 측면에 나있는 옆줄(감각기관). 4~200Hz 정도의 소리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함.

Leader(리더) : 훅(hook) 과 싱커(sinker) 사이의 라인, 리더 라인.

Length limit(렝스 리미트) : 잡을 수 있는 고기의 최대·최소길이를 규정한 규칙으로, 최소크기로는 12inch(30cm)에서 15inch(38cm)로 상향되는 추세임.

Lift and fall(리프트 앤 폴) : 로드를 세워서 루어를 들어올린 후 로드를 낮추어 자연스럽게 루어를 떨어뜨리는 동작.

Light tackle(라이트 태클) : 섬세한 패턴의 낚시 도구, 피네스 피싱태클.

Life jacket(라이프 자켓) : 구명조끼.

Light rig(라이트 리그) : 텍사스 리그(Texas rig)나 캐롤라이나 리그(Carolina rig)등 웜(worm)을 사용하는 채비에서 기본 1/8oz보다 가벼운 싱커를 사용하는 채비.

Lilly pad(릴리 패드) : 수면을 덮고 있는 연, 연꽃 종류의 식물.

Limit(리미트) : 낚시대회 또는 토너먼트(tournament)에서 규정한 제한된 마리수.

Line(라인) : 라인의 통칭.

Line capacity(라인 캐피시티) : 스풀(spool)에 감을 수 있는 라인의 양.

Line slack(라인 슬랙) : 라인이 느슨하게 처져 있는 현상.

Line thumbing(라인 서밍) : 베이트릴(bait reel)로 캐스팅(casting)할 때 백클래시(backlash)를 방지하기 위하여 스풀(spool)에 엄지손가락을 얹어 회전을 조절하는 기술.

Lipless Crankbait(립리스 크랭크베이트) : 립이 없는 크랭크베이트. 일명 바이브레이션 크랭크베이트.

Lipping(립핑) : 배스의 아래턱을 잡아 들어올리는 랜딩방법.

Livebait(라이브베이트) : 생미끼.

Live well(라이브 웰) : 잡은 물고기를 살아 있는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보트에 장착된 방수 칸막이.

Locomotion(로코모션) : 물고기의 회유.

Log(로그) : 쓰러진 나무, 통나무.

Loose-action plug(루즈 액션 플러그) : 죽어가는 물고기가 비실거리는 것처럼 움직이도록 만든 루어.

Lure(루어) : 인조미끼의 통칭.

Marker buoy(마커 부이) : 타겟(스폿)을 표시하기 위해 투입되는 물에 뜨는 작은 부표.

Mesotrophic(메소트로픽) : 부영양(old)과 빈영양(young)사이의 중간상태의 물.

Metal jig(메탈 지그) : 무게감을 위주로 사용하는 금속 루어.

Micro jig(마이크로 지그) : 가볍고 작은 사이즈의 지그.

Micro plug(마이크로 플러그) : 작은 사이즈의 플러그.

Micro spinner(마이크로 스피너) : 작은 사이트의 스피너.

Migration(마이그레이션) : 고기의 다른 부분으로의 이동을 말하며, 이는 수평적인 이동보다는 수심변화의 이동을 말한다.

Migration route(마이그레이션 루트) : 고기가 어로를 따라서 얕은 곳에서 깊은 곳으로 또는 깊은 곳에서 얕은 곳으로의 이동통로.

Minnow bait(미노우베이트) : 물고기를 닮은 형상에 길고 얇은 피라미 형상의 나무나 플라스틱(plastic)루어. 일명 트위치 베이트(twitch bait).

Minnow plug(미노우 플러그) : 피라미 형태를 띤 작은 물고기 모양의 루어.

Moon phase(문 페이즈) : 달의 형상과 변화단계Movement(무브먼트) : 배스의 활동 또는 이동,Muddy water(머디 워터) : 혼탁한 흙탕물.

Negative feeding mood(네가티브 피딩 무드) : 물고기의 식욕이 떨어진 상태.

Neutral feeding mood(뉴드럴 피딩 무드) : 활동적으로 먹이활동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유혹될 경우 먹이활동을 할 수 있는 상태.

Noisy(노이지) : 소음을 내는 루어 종류.

Non kiiper(논 키퍼) : 배스토너먼트 기준에 미달하는 크기의 소형어.

Nymph(님프) : 불완전한 변태를 하는 곤충의 유충을 총칭.

Off-set hook(옵셋 훅) : 바늘귀 부분이"ㄱ"자 형태로 꺽인 훅.

Off structure(오프 스트럭쳐) : 절벽, 직벽 등 급격하게 턱이진 지형.

One hand rod(원 핸드 로드) : 한손 사용의 캐스팅 로드(casting rod)를 말하며, 손잡이가 긴 투 핸드 로드(tow hand rod)도 있음.

Open-water(오픈 워터) : 수생식물의 성장대보다 깊은 지역, 즉 쉘로 워터의 밖.

Original lure(오리지날 루어) : 낚시인 자신이 만든 루어.

Over hang(오버 행) : 아래쪽이 90˚이상 푹 파여 있는 돌출지형 또는 위가 덮인 형태.

Over head casting(오버 헤드 캐스팅) : 로드가 머리 위로 지나도록 일직선으로 들어 루어를 던지는 방법.

Over wintering area(오버 윈터링 에리어) : 겨울 배스의 월동장소.

Oxvow(옥스보우) : 강의 흐름이 변화된 곳으로 우각호(牛角湖)를 말함.

Paddle tail(패들 테일) : 배젓는 노와 비슷한 형태의 웜(worm) 꼬리 또는 비슷하게 생긴 소프트 플라스틱 웜(soft plastic worm).

Pattern(패턴) : 물고기를 잡기 위해 고기의 회유와 자연적인 조건, 물 속 상태를 규정하여 낚시도구, 루어, 리트리브 방식, 루어의 운용속도 등을 결정하는 것.

Permanent(퍼머넌트) : 스피닝 릴(spinning reel)에서 스풀(spool)에 라인이 느슨하게 감겨 엉키는 현상.

PH(피 에이치) : 수소이온 농도 표시기호. 배스낚시에서는 물의 산소를 의미함.

Phyto plankton(파이토 플랑크톤) : 식물성 플랑크톤↔동물성 플랑크톤.

Pin on reel(핀 온 릴) : 가는 쇠줄 또는 끈으로 된 줄로,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스프링에 의해 원상태로 돌아가는 장치임, 낚시용 조끼 또는 상의에 매달아서 소품들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든 도구.

Pinpoint(핀 포인트) : 협소하고 좁은 돌출지형.

Pit(피트) : 웅덩이, 연못.

Piching(피 칭) : 웜(worm) 또는 지그(jig)를 6½~7½ft 베이트 캐스팅 로드(bait casting rod)를 사용하여 10m정도 거리의 장애물로 덮힌 타겟을 겨냥해 언더핸드(under hand) 진동방식으로 던지는 기술.

Plug(플러그) : 딱딱한 나무나 플라스틱 같은 재질로 만든 작은 물고기, 개구리, 가재, 곤충등을 닮은 인조미끼.

Pocket(포켓) : 바위나 암반사이 또는 지형적으로 움푹 파여진 좁은 포인트.

Point(포인트) : 돌출되어 물로 이어진 지역, 곶부리Polarized(플로라이즈드) : 편광안경, 물에 반사되는 반사광선을 막아 물 속을 잘 보이게 만든 낚시용 안경.

Pond(폰드) : 자연적 또는 인공적으로 만든 웅덩이로 피트(pit)보다는 작은 것으로 분류되며, 미국의 경우 6,000평 미만을 말함.

Pool(폴) : 수로나 강의 깊은 수심 층.

Popping(포핑) : 표층 루어를 수면 위로 퐁퐁 소리나게 운용하는 행위.

Popper(포퍼) : 움직일 때 루어 머리의 패인 부분에 물이 닿아 소리를 내도록 만든 탑워터(topwater)루어.

Pork rind(포크라인드) : 지방질이 많은 돼지껍질을 화학처리하여 만든 소프트 베이트(softbait).

Post spawn(포스트 스폰) : 본산란 직후에서 초여름의 기간, 산란후의 행동.

Pound-Test(파운드 테스트) : 라인 등의 파괴강도를 표시하는 단위.

Power(파워) : 로드의 파워와 같은 말로, 사용할 수 있는 라인과 루어의 무게한계.

Practice(프랙티스) : 토너먼트(tournament)직전에 대회장소에서 행하는 사전연습.

Perdator(프레데터) : 포식성 물고기나 동물.

Prespawn(프리스폰) : 본산란전 행동.

Pressure(프레셔) : 압력, 배스가 외부의 환경 요인에 의해 받는 스트레스 또는 경계심.

Presentation(프리젠테이션) : 루어, 낚시도구, 채비 등을 포괄하는 낚시운용술.

Prey(프레이) : 어식성 어종의 먹이.

Propbait(프로프베이트) : 앞 또는 뒤에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프로펠라를 가진 탑워터 플러그(topwater plug).

Pumping(펌핑) : 격렬하게 저항하는 물고기를 끌어내는 요령으로, 로드를 상하 또는 좌우로 움직이며 라인을 감아들이는 랜딩 방법.

Rattle(래틀) : 배스의 청각을 자극하기 위하여 루어에 내장되거나 장착된 구슬.

Rattlebait(래틀베이트) : 속이 빈 몸체에 래틀(rattle)이 들어있어 구슬소리가 나면서 물 속에 가라앉는 립리스 크랭크베이트.

Reaction bite(리액션 바이트) : 반사적 입질.

Records(레코드) : 기록, 최대어 기록.

Reed(리드) : 수중 수초가 아닌 갈대, 부들 같은 반 육상 수생식물군.

Reef(리프) : 모래톱(sand bank), 암초 또는 뾰족하게 돌출된 지형.

Reel(릴) : 낚시줄을 감는 도구.

Reelseat(릴시트) : 릴(reel)을 로드에 고정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있는 로드의 부분Reeling(릴링) : 루어를 캐스팅(casting)한 후 릴(reel)의 핸들을 돌려 라인을 회수하는 행위.

Reflex action(리플렉스 액션) : 루어를 일정하게 놀려주다 갑자기 불규칙한 변화를 주는 동작, 반사동작, 동의어→리액션(Reaction)Release(릴리즈) : 낚은 고기를 놓아주는 것Reservoir(리저버) : 물의 이용을 위하여 인공으로 만든 커다란 저수지.

Resting spot(레스팅 스포트) : 배스가 휴식하고 있는 장소.

Retrieve(리트리브) : 릴(reel)을 감아 라인과 루어(lure)를 회수하는 것.

Rig(리그) : 루어, 훅, 리더 라인, 싱커, 스위블, 비드(bead) 등의 요소 결합방식.

Ripping(리핑) : 이는 저킹 (jerking)과 유사한 동작으로 루어를 좀더 깊이, 좀더 길게 물 속에서 끌어주는 방법(깊이 1~1.5m를 유지하면서).

Riprap(리프렙) : 축대, 석축Rise(라이즈) : 송어 따위의 물고기가 수면 위나 바로 아래에서 먹이활동을 하면서 생기는 물의 파동, 배스낚시에 서는 일반적으로 피딩이라 부름.

Rod(로드) : 낚싯대.

Rod blank(로드 블랭크) : 반제품 상태의 로드의 몸체부분.

Rod case(로드 케이스) : 낚싯대 보관통.

Rod lenth(로드 랭스) : 낚싯대의 길이.

Rod work(로드 웍) : 로드를 만들어내는 기술적 동작을 통칭하는 말.

Round head(라운드 헤드) : 훅에 둥근 납이 달린 지그헤드(jig head)의 한 종류.

Rubber jig(러버 지그) : 고무 또는 소프트 플라스틱(soft plastic)으로 만든 스커트(skirt)를 장착한 지그헤드(jig head)로, 미국에서는 러버 스커티드 지그라고 부른다.

Run(런) : 약간 깊은 수심을 가진 곳의 바닥으로부터 직선적으로 깊어지는 부분.

Salinity(쌜리너티) : 물 속에 녹아있는 염분의 정도를 1000으로 나눠 비율로 나타낸 표시.

Salty lure(솔티 루어) : 소금을 첨가한 루어.

Sanctuary(센추어리) : 고기가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과 같은 곳으로서 물의 한 부분.

Sandbar(샌드바) : 모래로 형성된 돌출지형.

Sack line(슬랙 라인) : 루어에 장력이 실리지 않는 상태로 늘어진 라인.

Scatter point(스캐터 포인트) : 깊은 곳에서 무리에서 분산 또는 작은 그룹으로 헤어져 분산되는 지점.

School(스쿨) : 동일한 무리의 물고기가 떼로 모여 있는 그룹.

Secondary breakline(세컨더리 브레이크라인) : 브레이크라인(breakline)이 두 번째로 발생되는 부분.

Sensory organ(센서리 오간) :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 또는 측선을 포함한 생물학적 감각기관.

Shad(섀드) : 미국 호수에 서식하는 배스의 중요한 먹이로, 전어와 비슷한 미국 고기.

Shake(쉐이크) : 웜(worm)이나 러버 스커티드 지그(rubber skieted jig)를 아주 조금씩 움직이도록 하기 위해 로드 초리를 미세하게 떠는 기술.

Shallow runner(쉘로우 러너) : 얕은 수심에서 사용하는 루어.

Shallow water(쉘로우 워터) : 호수나 저수지에서 0m에서 수심 2.5~3m 이내로 얕은 지역.

Sharpener(샤프너) : 훅을 가는 숫돌, 훅 혼(hook hone)이라고도 함.

Shoreline(쇼어라인) : 물과 육지가 맞닿는 연안선.

Short bite(쇼트 바이트) : 배스가 루어를 물었다가 순간적으로 내뱉는 동작.

Shot(샷) : 작고 둥근 추로써 라인에 직접 조여 달아 사용하는 싱커.

Side casting(사이드 캐스팅) : 로드를 옆으로 던지는 캐스팅(casting) 방법.

Sight-fishing(사이트 피싱) : 물이 맑은 곳에서 고기를 보면서 행하는 낚시.

Skin hook setting(스킨훅세팅) : 플라스틱 웜에 훅을 장치할 때, 웜에 완전히 관통시킨 후 걸림방지를 위하여 훅의 끝을 살짝 웜에 묻어두는 방식.

Sinker(싱커) : 루어나 미끼를 가라앉히기 위해 사용하는 여러 가지 형상의 봉돌.

Skipping(스키핑) : 좌대나 보트도크 밑 같은 좁은 지역으로 루어를 던지는 기술로, 수면 위로 튀겨 캐스팅하는 방법.

Skirt(스커트) : 러버 스커티드 지그(rubber skirted jig)나 스피너베이트(spinnerbait)에 달린 여러 가닥의 가는 실리콘 또는 소프트 플라스틱 고무줄.

Slip sinker(슬립 싱커) : 라인이 자유롭게 들어갈 수 있는 구멍이 있는 봉돌.

Slow roll(슬로우 롤) : 스피너베이트(spinnerbait)로 물 속 장애물 지역을 서서히 그리고 부드럽게 통과시키면서 운용하는 고급기술.

Snag(스내그) : 강이나 수로에 있는 나무나 잡목, 수초들Snap-set(스냅 셋) : 순간적으로 손목을 움직여 훅 세팅하는 기술.

Soft plastic lure(소프트 플라스틱 루어) : 플라스틱 웜(worm)처럼 고무나 소프트 플라스틱(soft plastic)으로 만든 부드러운 루어의 총칭.

Spawn(스푼) : 많은 배스의 산란의 뜻으로의 본산란.

Spawning bed(스포닝 베드) : 산란장.

Spawning moon(스포닝 문) : 봄철 배스의 산란이 이루어지는 음력 15일의 보름.

Spinner(스피너) : 몸체, 블레이드(blade), 훅(hook)으로 구성된 미끼로, 블레이드가 60도 각도로 회전하면서 고기를 유혹하는 미끼임, 정확한 명칭은 인 라인 스피너(In-line spinner)임.

Spinnerbait(스피너베이트) : 스피너(spinner)보다는 일반적으로 크며, V형 철사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회전날개를 달고 납으로 된 머리에 바늘을 붙여만든 배스낚시 루어.

Split shot(스플릿 샷) : 둥근 모양에 가운데가 갈라진 납으로 된 봉돌.

Split shot rig(스플릿 샷 리그) : 라인의 맨 끝에 훅을 달고 20~50cm 앞쪽에 스플릿 샷(split shot)을 고정시킨 채비.

Spool(스풀) : 릴(reel)에서 라인이 감기는 실패.

Spoon(스푼) : 스푼처럼 생겼으며, 여러 종류의 금속, 플라스틱, 나무에 훅을 달아 만든 루어.

Spoon-shaking(스푼 쉐이킹) : 스푼 루어를 흔들어 배스를 유혹하는 행위.

Spot fishing(스포트 피싱) : 구체적인 포인트를 표적으로 한 낚시패턴.

Sportsfish(스포츠피시) : 루어 낚시인이 대상어로 삼은 물고기.

Stain water(스테인 워터) : 탁한 물.

Standing timber(스탠딩 팀버) : 수직으로 서있는 수몰 고사목.

Steady retrieve(스테디 리트리브) : 특별한 변화 동작없이 일정하게 릴링하는 것.

Stickbait(스틱베이트) : 막대형 소프트 플라스틱 슬러고, 또는 시가 담배 모양의 플러그 = 자라스프크.

Strike(스트라이크) : 고기가 미끼를 물은 현상, 히트(hit).

Stop & go(스톱앤고) : 루어를 끌어오다가 멈추고 다시 움직이는 것을 반복하는 릴링방식.

Stream(스트림) : 물이 흐르는 수로.

Stress(스트레스) : 주위의 여러 요인에 위해 발생되는 생태학적 불안정 상태.

Structure(스트럭처) : 강, 호수, 저수지위 바닥에 고기들이 몸을 숨기기 좋게 만들어진 조금이라도 다른 여런 형상의 변화가 많은 구조물로, 바닥의 모든 변화도 이에 포함됨. 이는 배스 활동에 많은 영향을 준다.

Surface lure(서피스 루어) : 표층에서 사용하는 루어, 탑워터 루어라고도 함.

Suspend(서스펜드) : 배스나 루어가 수중에 떠있는 상태.

Suspending lure(서스펜딩 루어) : 물에 서서히 가라앉아 어느 깊이에서는 부력이 조정되어 뜨지도 가라앉지도 않는 루어.

Suspended fish(서스펜디드 피시) : 바닥으로부터 떠 있는 상태의 물고기.

Stump(스텀프) : 수몰, 고사목 또는 그 밑둥.

Sweep(스위프) : 수면을 쓸 듯이 로드를 쭉 끌어주는 행위.

Swivel(스위블) : 도래.

Taking position(테이킹 포지션) : 배스가 먹이를 공격하기 위해 장애물에 기대고 있는상태.

Tackle(태클) : 로드, 릴 등 낚시도구의 통칭.

Tackle box(태클박스) : 여러 가지 낚시도구를 넣을 수 있는 상자.

Tactics(택티스) : 낚시기법.

Tail(테일) : 웜의 꼬리부분.

Tailspinner(테일스피너) : 꼬리에 블레이드가 달린 지깅(jijjing)용 스푼.

Tailwater(테일워터) : 댐 아래 물이 떨어져 휘감기면서 이루는 정수지역.

Taper(테이퍼) : 로드가 손잡이 부분부터 초리까지 점점 가늘어지는 형상 또는 로드의휨새. 물 속 지형의 경사도.

Tension(텐션) :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는 장력.

Terminal tackle(터미널 태클) : 바늘, 봉돌, 도래, 라인을 포함하는 낚시장비.

Texas rig(텍사스 리그) : 총알형 유동싱커(sinker),비드(bead), 훅(hook), 소프트 플라스틱 웜(soft plastic worm)이 기본적으로 한 조가 된 낚시 채비.

Thermocline(서모클라인) : 물 속의 수온이 급격히 변하는 층으로, 특히 상층과 하층 사이에서 수온이 빠르게 변하는 중간층(경계층)을 말하며, 수온약층 이라고 함.

Tight-action plug(타이트 액션 플러그) : 짧고 변화가 뚜렷하고 사이드 투 사이드(side to side)로 움직이는 루어.

Timber(팀버) : 물 속에 잠긴 나무, 고사목.

Tip(팁) : 로드의 끝부분.

Topwater(탑워터) : 수면, 표층.

Topwater fishing(탑워터 피싱) : 표층을 공략하는 낚시.

Topwater plug(탑워터 플러그) : 수면에서 사용하도록(물에 뜨도록) 만들어진 플러그.

Trailer(트 레일러) : 스커트(skirt), 그럽(grub), 포크 라인드(pork rind), 생미끼 등을 스피너베이터(spinnerbait)나 러버 스커티드 지그(rubber skirtde jig)등에 덧다는 소프트 베이트(soft bait)의 통칭.

Trailre hook(트레일러 훅) : 루어에 붙어 있는 훅에 덧다는 훅.

Transition(트랜지션) : 물 속 바닥의 성분이 변하는 부분.

Travel pack rod(트레블 팩 로드) : 여행용 낚싯대 세트.

Treble hook(트레블 훅) : 후어용으로 쓰이는 세발짜리 훅.

Trigger(트 리거) : 물고기의 여러 감각기관을 자극하여 흥미를 유발하도록 만들어진 루어나 미끼의 특성(액션, 색깔, 크기, 형태, 냄새, 소리, 떨림, 변화성)Trolling(트롤링) : 보트를 움직여 루어나 미끼를 눌리게 하는 낚시방법.

Trolling motor(트롤링 모터) : 직류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전진과 후진을 할 수 있는 모터.

Trophy bass(트로피 배스) : 빅 배스(big bass)와 같은 말로 10pound(4.5kg)이상의 커다란 배스. 우리나라는 55cm에 3.5kg의 큰 배스.

Tube(튜브) : 몸통 속이 비어 있는 소프트 플라스틱베이트(soft plastic bait)=튜브베이트.

Turnover period(턴오버 피리어드) : 외부의 온도변화에 의해 찬물과 따뜻한 물이 섞이거나 뒤바뀌면서 따뜻한 물 위로 찬물이 놓이게 되기까지의 기간. 턴오버(turnover)는 여름에 형성되었던 호수의 용 존산소와 부영양화를 섞어 균질화시키는 역할을 함.

Twist(트위스트) : 라인이 꼬이는 현상.

Twitching(트위칭) : 로드를 순간적으로 반복해 톡톡 쳐주어 루어를 움직여주는 테크닉.

Twitchbait(트위치베이트) : 물표층에서 사용하기 위해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만들어진 길고 얇은 형상의 미노우 루어(minnow lure)로, 순간적으로 톡톡 쳐주어 사용할 수 있는 미끼를 말함.

Vertical jigging(버티컬 지깅) : 루어를 사용할 때 수직적으로 상하 움직임을 연출하는 기법.

Vibration lure(바이브레이션 루어) : 떨림이 심한 루어로. 립(lip)이 없는 크랭크베이트 (clankbait)등이 있음.

Wader(웨이드) : 물 속에 들어가 낚시할 때 착용하는 고무로 된 방수 바지장화.

Water clarity(워터 클리어리티) : 묽의 맑기.

Water color(워터 칼라) : 물색, 물의 청명도.

Water temperature(워터 템퍼레이쳐) : 수온.

Weapon(웨폰) : 배스낚시 도구들.

Walking the dog(워킹 더 독) : 스틱베이트(stickbait), 처거(chugger) 등을 사용할 때 주로 쓰이는 기술로서 지그재그 방식의 놀림방식.

Weed(위드) : 수생식물.

Weedbed(위드베드) : 수초군락.

Weed guard(위드 가드) : 훅이 장애물에 걸리지 않도록 고안된 장치.

Weedline(위드라인) : 수심 또는 바닥지형의 변화 등으로 인하여 수초 가장자리가 급변하는 곳.

Wigger(위글) : 플랫(Flat) 크랭크베이트를 리트리브할 때 루어가 움직이는 작은 폭의 액션.

Winterkill(윈터킬) : 늦은 겨울 결빙된 얼음 아래 산소의 고갈로 인하여 물로기가 폐사하는 것.

Wobble(워블) : 팻(fat)크랭크베이트를 리브리브할 때 루어가 움직이는 크고 고요한 큰 폭의 액션.

Worm(웜) : 지렁이 또는 지렁이 형상의 소프트 플라스틱 루어.

Yearing(이어링) : 3년 미만의 작은 고기.

Yo-Yoing(요 요잉) : 지깅(jigging), 드롭 앤 리프트(drop&lift)와 같은 말로, 루어를 수직으로 들고 놓아줌의 놀림 낚시방법, 고패질.

Zoo plankton(주 플랑크톤) : 동물성 플랑크톤.

댓글

Most Popular

10월 14일 윈도우10 지원 종료! 무료로 ESU(확장 보안 업데이트) 1년 더 연장하는 방법 안내

  Windows 10 은 2025년 10월 14일부로 공식적인 지원(보안 업데이트, 기능 개선, 기술 지원 등)이 종료됩니다. 즉, 그날 이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더 이상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 위협에 더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Windows 11 로 넘어가기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소비자용 ESU( Extended Security Updates , 확장 보안 업데이트) 제도가 있습니다.  ESU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나요? ESU(확장 보안 업데이트)는 Windows 10 지원 종료 이후에도 '중요 보안 패치(크리티컬 또는 중요한 보안 업데이트)'만을 계속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새 기능 추가나 결함 수정, 일반 기술 지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ESU는 임시 방편, 즉 Windows 11로 전환할 시간을 벌어주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ESU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조건들 소비자용 ESU를 사용하려면 다음 조건들이 꼭 맞아야 합니다. 조건 상세 설명 Windows 버전 Windows 10 버전 22H2 여야 합니다. 에디션 Home , Pro , Pro Education , Workstation 에디션이 대상입니다. 최신 업데이트 적용 지원 종료 이전의 모든 Windows 업데이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관리자 권한 & Microsoft 계정 ESU 라이선스는 Microsoft 계정에 연결되며, 관리자 권한 계정이어야 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기업용은 제외 Active Directory 도메인 소속, MDM(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등록된 기기 등은 소비자 ESU에 등록할 수 없습니다. 등록 기간 ESU 등록은 2026년 10월 13일까지 가능합니다. 즉, 모든 조건이 맞아야만 ESU를 통해 연장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용과 신청 방식 – “무료 + 포인트 + 유료” 3가지 옵션 소비자용 ESU 신청 방...

시멘트 블록 규격 (4,6,8인치)

 건축의 기본은 튼튼하고 제대로 된 재료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시멘트 블록과 조적 벽돌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좌우하는 중요 스펙입니다. 블록의 두께와 규격을 정확히 이해하면 시공 효율을 높이고,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건축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록과 벽돌의 규격 정리입니다. ib612.com_해달바람비 시멘트 블록 규격 4인치 : 190 × 390 × 100 mm 6인치 : 190 × 390 × 150 mm 8인치 : 190 × 390 × 190 mm *가로와 세로 치수는 일정하며, 차이는 두께에서 발생합니다. 조적 벽돌 규격 90 × 190 × 57 mm 시멘트 블록과 조적 벽돌은 건축의 뼈대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규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장 여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은 품질 좋은 시공의 시작입니다. 작은 차이가 큰 결과를 만드는 만큼, 자재 선택에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기본을 이해하는 것이 최고의 완성도를 만듭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시멘트블록 #블록규격 #4인치블록 #6인치블록 #8인치블록 #조적벽돌 #벽돌규격 #건축자재 #건설기초 #건축상식 #벽체시공 #건축재료 #시멘트블럭 #건축정보 #건설현장 #ib612 #건축디자인 #건축엔지니어링 #건축자료 #건축기초 관련링크 - 오래된 시멘트 마당 관리방법: 청소, 보수, 그리고 방수까지 직접 만들어보는 우리집 울타리 스타코(Stucco)란? 견적, 자재, 시공방법등 알려드립니다. 외부마감재 특징 (목재 사이딩 / 시멘트 사이딩 / 비닐 사이딩)

돈 되는 나무! 오디, 은행나무, 산초나무로 고소득 농사 시작하기

 돈이 되는 나무작목, 왜 지금 주목해야 할까요? 농업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 웰빙 수요 증가, 농촌 인력 부족 등 여러 도전 속에서도 나무 작목(tree crops)은 안정적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디(뽕나무 열매), 은행나무, 산초나무 같은 품목들이 기능성과 수익성 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들 작목의 최신 정보와 재배 팁, 수익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오디(뽕나무 열매) - 기능성과 시장성 두마리 토끼 기능성 효능  최근 농촌진흥청,동의대,서울대 공동 연구에서, 오디 동결건조 분말이 위장관 이송률과 평활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소화기능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예컨대 생과보다 동결건조 분말 3g 투여시 사람 기준으로 약 10~40g 생오디 또는 4~8알 정도 섭취하는 효과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재배 및 사례 충남 공주 지역의 오디 농가들은 넓은 면적을 단독으로 운영하면서 '수확과정이 간단하고 노동 투입이 적다'는 장점을 강조합니다. 태안군은 오디 재배 기술교육, 품종 특성 비교, 당도 향상 및 병해방제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농가 소득을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ib612.com 시장 및 가격 오디는 기존에 비교적 적은 원료생산량으로 인해, 원료 수요가 많은 가공업체들(음료, 잼, 건강식품등)이 원료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소비자 인식이 '건강,기능성' 중심으로 바뀌면서, 오디 제품 개발 및 판로 확대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입ㄴ디ㅏ. 가격 측면에서는 오디의 수매가 또는 시장 거래 단가가 지역,품질에 따라 다르지만, 최근 기능성 연구 등의 발표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정확한 전국 단일 가격 통계는 아직 상시로 업데이트되는 것은 아닙니다.) 2. 은행나무 - 장기 투자와 안정적 수익 특성 및 장점 은행나무는 생육 속도가 매우 빠르지는 않지만, 한번 자리를 잡으면 수십 년, 심지어 수백 년 동안 꾸준히 열매를 수확할 수 있어 '노후 보장 작목'으로 ...

귀뚜라미 보일러 온수 온도 설정법 – 모델별 간편 가이드

 귀뚜라미 보일러의 온수 온도는 일반적으로 35도에서 80도 사이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델에 따라 조절 방식이 다릅니다. 귀뚜라미 보일러의 온수 온도 조절 방법은 사용하는 조절기 모델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모델별 설정 방법입니다. NRS-5100HD 모델 설정 버튼을 10초간 누르기: 온도 조절 화면이 나타납니다. 다이얼 돌리기: 오른쪽으로 돌리면 온도가 올라가고, 왼쪽으로 돌리면 내려갑니다. 설정 버튼 다시 누르기: 원하는 온도로 맞춘 후 설정을 완료합니다. CTR-5700 PLUS 모델 목욕 버튼 누르기: 온수 모드로 진입합니다. 위/아래 버튼으로 온도 조절: 35도에서 60도 사이로 1도 단위로 설정 가능합니다. NCTR-70 모델 – 다이얼 방식 온도 조절 온수 설정 방법 온수 버튼을 누릅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중앙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원하는 온도를 설정합니다. 다이얼을 눌러 저장하면 우측 LED창에 설정 온도가 표시됩니다. 주의사항 설정 후 반드시 다이얼을 눌러야 적용됩니다. 온수 온도는 일반적으로 45~55도 사이가 적절합니다. NCTR-200WIFI & NCTR-100C WIFI – 스마트폰 앱 원격 조절 앱 설치 및 연결 스마트폰에 귀뚜라미 보일러 전용 앱 설치 (iOS/Android 지원). 보일러와 Wi-Fi 연결 후 앱에서 기기 등록. 온수 온도 조절 방법 앱 실행 후 연결된 보일러 선택. 온수 메뉴로 이동. 슬라이더 또는 숫자 입력 방식으로 희망 온도 설정. 설정값 저장 시 보일러에 즉시 적용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추가 기능 외출 모드, 예약 가동, 실시간 상태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앱에서 제어 가능. 기타 모델 (온수전용 모드) 난방 버튼을 5초간 누르기: 온수전용 모드로 전환됩니다. 온수 온도 설정 범위: 55도에서 80도까지 설정 가능하며,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Tip. 샤워나 세면 시 - 일반적으로 40~45도가 적당합니다. 설정 후에도 물이 차가울 경우 ...

자동차 시동 안 걸릴 때 스타트 모터 점검 및 응급조치 요령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운전자는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특히 "딸깍딸깍" 소리만 들리고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스타터 모터(세루모터)와 관련된 문제일 수 있습니다.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스타터 모터 고장 증상과, 긴급하게 시동을 걸어야 할 때 시도해볼 수 있는 응급조치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시동을 걸면 '딸깍' 소리만 나고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때 이 증상은 주로 마그네틱 스위치(솔레노이드) 불량일 때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응급조치 요령 스타트 모터의 단자를 확인해보세요. 보통 굵은 전원선 두 개와 얇은 키 신호선 하나가 있습니다. 절연된 금속 도구(예: 드라이버)를 사용해 굵은 단자 두 개를 잠시 접촉시켜 보세요. 이때 '윙~' 하는 소리와 함께 모터가 헛돌 수 있습니다. 단, 금속 도구가 다른 부품(특히 고압 파이프 등)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불꽃이 튀거나 부품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후 차량 안에서 키로 다시 시동을 걸면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예 소리조차 나지 않는 경우 이 경우는 전원 공급 자체가 끊겼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퓨즈 단락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다음을 확인해 보세요.ib612.com 점검할 내역 키를 ON으로 했을 때, 본선 단자에 전기가 들어오는지 확인 키를 START 위치로 돌렸을 때, 키 신호선에도 전기가 흐르는지 확인 퓨즈 박스의 메인 퓨즈(전원선), 스타터 릴레이 퓨즈(키선)를 모두 점검 간혹 스타터 모터 쪽 커넥터가 느슨해져 접촉불량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 커넥션 상태를 체크하세요. 시동 시 '키키킥~' 하는 날카로운 소음 발생 이 소리는 스타터 모터의 벤딕스 기어가 마모되었거나, 기어의 정렬이 틀어졌을 때 발생합니다. 기어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회전만 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응급처치 키를 짧게 돌렸다가 즉시 다시 길게 돌리는 방식(이른바 ‘더블 스위...

한글 자음·모음 영어 표기 총정리 - 외국인을 위한 발음 가이드, 로마자 표기표 완벽 정리

 ㄱ 가 ga 각 gak 간 gan 갈 gal 감 gam 갑 gap 갓 gat 강 gang 개 gae 객 gaek 거 geo 건 geon 걸 geol 검 geom 겁 geop 게 ge 겨 gyeo 격 gyeok 견 gyeon 결 gyeol 겸 gyeom 겹 gyeop 경 gyeong 계 gye 고 go 곡 gok 곤 gon 골 gol 곳 got 공 gong 곶 got 과 gwa 곽 gwak 관 gwan 괄 gwal 광 gwang 괘 gwae 괴 goe 굉 goeng 교 gyo 구 gu 국 guk 군 gun 굴 gul 굿 gut 궁 gung 권 gwon 궐 gwol 귀 gwi 규 gyu 균 gyun 귤 gyul 그 geu 극 geuk 근 geun 글 geul 금 geum 급 geup 긍 geung 기 gi 긴 gin 길 gil 김 gim 까 kka 깨 kkae 꼬 kko 꼭 kkok 꽃 kkot 꾀 kkoe 꾸 kku 꿈 kkum 끝 kkeut 끼 kki ㄴ 나 na 낙 nak 난 nan 날 nal 남 nam 납 nap 낭 nang 내 nae 냉 naeng 너 neo 널 neol 네 ne 녀 nyeo 녁 nyeok 년 nyeon 념 nyeom 녕 nyeong 노 no 녹 nok 논 non 놀 nol 농 nong 뇌 noe 누 nu 눈 nun 눌 nul 느 neu 늑 neuk 늠 neum 능 neung 늬 nui 니 ni 닉 nik 닌 nin 닐 nil 님 nim ㄷ 다 da 단 dan 달 dal 담 dam 답 dap 당 dang 대 dae 댁 daek 더 deo 덕 deok 도 do 독 dok 돈 don 돌 dol 동 dong 돼 dwae 되 doe 된 doe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