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작물별 주요 농사작업] 12월 상순

 한해의 마지막인 12월 상순은 겨울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농작물과 가축을 안전하게 넘어가기 위한 준비가 가장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 관리가 내년 작황과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반드시 점검해야 할 작업이 많습니다. 벼·밭작물의 종자 확보와 논 토양 관리, 시설하우스 점검, 과수 동해 대비, 축사 보온과 질병 예방 등 분야별로 챙겨야 할 사항을 하나씩 정리해 효율적인 농사 준비를 돕고자 합니다.

식량작물 관리

벼 종자 준비
우량종을 중심으로 2~3가지 품종을 자율 교환하거나 보급종을 미리 신청해 확보한다.

볏짚 투입 및 깊이 갈이
볏짚을 10a 기준 400~500kg 정도 넣은 뒤 깊이갈이를 실시해 토양 유기물 향상에 도움을 준다.

규산질 비료 시용
논 1000㎡당 약 200kg을 공급하여 벼의 도복 저항성과 품질 향상을 도모한다.

밭작물 신품종 확보
작황 향상을 위해 밭작물도 새로운 품종의 종자를 교환하거나 비축해 둔다.

벼, 옥수수, 감자 보급종 신청
정부 보급종은 해당 지역의 읍, 면, 동 농업인상담소를 통해 신청해 수급을 맞춘다.


원예, 특용작물 관리

시설하우스 점검
겨울철 눈 피해에 대비하여 비닐 고정끈과 구조물을 다시 점검하고 보완한다.

마늘, 월동채소밭 관리
배수로를 정비하여 습해 발생을 예방한다.

과수 동해 대비
주요 줄기 부분에 수서에인트를 바르거나 짚, 신문지 등을 두르는 방식으로 동해를 방지한다.

산채류 및 특용작물 종자 확보
내년도 재배를 위해 산채류 및 특용작물 종자를 확보해 둔다.

약용작물 관리 및 가공 준비
겨울철 관리뿐 아니라 가공, 제조 준비도 병행한다.

느타리버섯 겨울재배 관리
적정 온, 습도 유지와 충분한 환기, 병해충 예방 관리가 필수이다.

농업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등 복합균을 활용해 토양과 작물 생육을 촉진한다.


축산 관리

가금류 질병 예방
닭은 뉴캐슬병 예방을 위해 음수 접종을 실시한다.

임신 가축 영양 보강
미네랄과 비타민을 꾸준히 보급해 건강한 임신 상태를 유지한다.

축사 보온 및 환기 점검
겨울철 온도 유지와 적절한 환기 시스템 작동 여부를 꼼꼼히 확인한다.

자돈 설사병 예방
새끼돼지의 설사 발생을 줄이기 위한 위생, 사료 관리를 강화한다.

전국 공동 소독의 날 운영
매주 수요일은 일제 소독을 실시하여 질병 확산을 차단한다.

축산미생물 활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을 투입해 사료 소화력과 건강 관리를 돕는다.

AI, 구제역 방역체계 운영
상황실 운영을 통해 고위험 시기 방역 대응을 강화한다.


겨울철 초입의 관리는 한 해 농사의 마무리이자 다음 해의 출발점이 됩니다. 12월 상순에 미리 종자와 토양, 시설, 축사 관리를 점검해 두면 피해를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작은 체크 하나가 큰 손실을 막는 만큼 이번 정리된 내용을 참고해 빠짐없이 실천해 보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시기별 농업 관리 정보를 꾸준히 공유하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2월농사 #농사관리 #식량작물 #원예작물 #특용작물 #축산관리 #겨울농사 #벼재배 #시설하우스관리 #과수동해예방 #농업정보 #농업미생물 #버섯재배 #가축질병예방 #농업준비 #겨울철작업 #농촌생활 #농사팁


관련링크 - 
혈관 건강을 지키는 밥상 - 음식으로 혈관 노화를 늦추는 쉽고 맛있는 방법
마트에서 달걀 살 땐 이걸 먼저 본다 - 달걀 난각번호 제대로 읽는 법
두꺼운 삼겹살 vs 얇은 삼겹살 - 언제 어떻게 먹어야 최고의 맛일까
태음인 건강 가이드 — 체질에 맞는 음식, 생활습관, 그리고 예방법
소음인 체질이 알아야 할 음식과 생활습관 - 따뜻하게, 소화에는 부담 없이
소양인 체질에 맞춘 건강 식사법과 생활습관 - 당신의 몸에 맞는 균형 찾기


12월 상순
12월 상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