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농막의 설치 요건


농막의 설치요건


1. 농막이란?

농막이란 논, 밭, 과수원과 같은 농지에 설치하는 원두막이나,공작물 또는 콘테이너등 가견축물로서 임시로 휴식하면서 농기구등을 보관할 수 있는 그런 임시시설을 말합니다.
농지법에서 농업인의 농업경영의 편의를 위해 간편하게 인정하는 임시 건축물입니다.

이것은 농업인의 농사중의 휴식 등 편의를 위해 인정하는 것으로서 상시 주거용으로 쓰는 정식 건축물도 아니고 농가주택도 아니기 때문에 농지전용없이 설치 가능하며 또 농업진흥지역에도 가능하게 인정됩니다.,

이에 반해 흔히 말하는 방가로나 이동식 소형주택은 주거와 숙식을 전제로 한 소형주택의 범위로 분류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 말허는 농막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2. 농막의 설치요건

농지법에 의하면 농막을 설치하려면 다음의 요건을 다 충족해야 합니다.

1. 농작업중의 휴식과 간이취사 및 농기구,농약,비료등의 농업용 기자재 또는 종자를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임시 건물로 주거용으로 쓰는 것이 아니어야 합니다..

주거용으로 쓰는 경우나 단지 레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농막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2. 농업생산에 직접 필요한 시설로서 <농업인>이 자기의 농업경영에 이용하는 토지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농업인이 직접 자기가 경작하는 논 밭 과수원에 설치하는 것입니다..
여 기서 단순한 문리해셕상으로는 300평미만 의 농지를 소유하고 체험영동을 하는 도시민은 농업인이 아니기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문리 해석할 수도 있지만 법의 취지상 굳이 안된다고 해야할 이유는 없을 것입니다. 농지소재 해당 농지계에서 긍정적으로 판단해야할 문제라고 본니다.

3. 전기, 가스, 수도 등을 설치하지 않아야 합니다.
 숙식을 할 수 있고 전기 수도를 인입하는 방가로는 주택으로 취급되므로 농막에 대신하여 설치할 수는 없습니다.

4.연면적이 약 6평 (20제곱미터) 이내이어야 합니다..


5. 건축법상의 가설물 설치신고를 해야 합니다.
농지전용 신고나 농가주택 신축신고를 할 필요가 없다는 뜻입니다.

3. 임업인의 농막과 관리사
 참고로 임야의 경우를 소개합니다.

임야에서는 임업용산지 (임야는 보전산지와 준보전산지로, 보전산지는 다시 이를 임업용과 공익용으로 나눕니다)내에 한하여 60평(200제곱미터)규모의 농막이나 주거용이 아닌 농업용,축산업용 리사가 허용됩니다.

다만 시설을 할 수 있는 자는 농림어업인이나 그 생산자단체에 한합니다.
산림 소유자라 할지라도 농림어업인이 아닌 도시인등 일반인이 설치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산지관리법 시행령 제12조 제5항 제1호 라)




☆ 농막에 관한 또다른 글(잘 풀어 놓은것 같음)
1. 농막의 기본
   - 6평 이하이어야 한다.
   - 가스 ,전기, 상수도를 설치하지 않아야 한다.
   - 농업과 관련이 있어야 한다.
   ※ 규제의 목적은 주택(주거)용으로 사용함을 막고자 함이다.

2. 농막의 목적
   - 간이취사, 휴식(취침), 창고용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취사 : 부탄가스, LPG가스를 사용 취사가 가능할 것이고(도시가스는 안됨)
전기 : 전기를 연결하여 창고에서 농업에 필요한 작업 및 취사, 점등에 사용한다면 가능할 것이고
상수도 : 약수를 끌어다 호스로 연결하여 취사용으로만 사용하면 가능할 것이며
            (상수도는 관을 통하여 끌어야 하므로 안됨)
취침 : 며칠씩 농사를 지으며 잠시 휴식(피로를 풀기 위하여 취침)을 하면 가능할 것으로 본다.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 사용 및 설명을 한다면 주택용이 아니라는 설득력이 있을 것임(까다로운 곳은 통하지 않음. 주민의 신고도 한몫을 함)

3. 컨테이너를 주택(거주의 목적)용으로 사용하면  - 전용허가 대상이 된다.
※ 농업인(농업인의 자격을 가진 자)은 신고하고 주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는 전기, 가스, 상수도가 문제가 되지 않는다.
농업인(농업인의 자격을 가진 자)아닐 경우에는 농지전용을 하고 사용하는 것이 마음이 편하고 탈도 없을 것임.

☆ 전력에 관하여

1. 전력의 용도
   - 주택용, 농사용, 산업용, 사업용, 일반용, 임시용, 농사용 전등용 등이 있다.
※ 컨테이너에 전기를 가설하려면 주택용으로 해야 불법용도(한전 차원)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2. 전기요금
   - 주택용보다 농사용이 싸다
※ 요금이 싸기 때문에 농사용으로 신청하여 컨테이너에 전기를 연결 사용하면 불법용도에 적발된다.
(농사용은 농지에 전기계량기를 설치 해주는데 한전에서 불법용도 조사를 한다. 특히 농번기가 아닌 겨울에 계량기가 돌아가면 주택용을 사용함이 쉽게 들통)
※ 농사용은 신청 자체가 까다롭다.

   - 주택용은 월 50kwh 사용시 요금은 약 2,000원 정도됨.
   - 임시용은 사용기한을 정하여 신청하는 것인데 보통 공사장에서 많이 신청한다.
전기요금은 주택용과 같으나 신청비가 많이 들어간다.
(설계조정공사비가 추가 부담됨. 주택용은 무료임)

3. 전기 신청비
   - 주택용과 농업용은 전기 신청비가 같으나 임시가설물 또는 무허가건물의 임시용 또는 주택용 신청은 보증금을 예치하여야 함이 다르다.
   - 한전에 납부하는 전기인입비는 부가세포함 150,700원이며, 보증 예치금은 200,000원(용량 3kwh시이며 용량이 늘어나면 보증금도 늘어남)으로 합계 350,700원이다.
(임시용은 350,700원 + 설계조정공사비 추가 부담임)
※ 보증 예치금은 요금 체납시를 고려한 것이며, 임시용은 신청시 정한 기한이 도래할때, 주택용은 컨테이너가 없어지거나, 농업인이 신고하여 건축물로 등재될때나, 실상 소유자변경시에 가서 연 6%의 이자를 합산하여 반환하여 준다.
   - 한전주에서 200m이내 거리는 기본이며, 기본거리일 경우 한전주를 추가로 세우든 변압기를 신설하든 상기 금액이면 된다.
   - 가장 가까운 한전주가 컨테이너와의 거리가 200m가 넘는 경우 1m 거리가 추가될 때마다 부가세 포함 51,700원씩 추가 계산되어 납부고지서가 고지된다.

4. 전기 신청절차

   - 전기 신청은 개인 또는 전기공사면허업체가 대행 할 수 있다고 알리고 있으나 내선(추가신설 한전주 포함하여 최종 한전주에서 주택까지 배선 및 계량기 설치공사)설비공사는 전기공사업체에 의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기신청 업무까지 의뢰하고 있는 실정임.

   - 전기공사면허업체서 비용을 30∼35만원 요구함(주택내 배선공사는 별도임)

   - 전기공사면허업체서 현지를 여러번 다녀야 함.
· 설계를 하기 위하여
· 접지선 작업(내선설비공사 등)을 위하여
· 내선배선공사 후 사용전검사에 입회하기 위하여(검사 : 한전시행)
· 검사에 합격한 후 검사필증 및 전기계량기를 수령하여 계량기를 부착하기 위하여

※ 기본 200m 이내이며 용량 3kwh 공사일 경우
예로 컨테이너에 주택용으로 신청시 전기인입공사비(15만원), 보증금(20만원),
내선배선공사(35만원-지역,거리, 업체마다 다름) 비용이 소요됨.

   - 신청서류 :
· 신청서
· 토지대장 1부(건축물인 경우 건축물관리대장 1부)
· 통장사본 1부(자동이체 및 보증금 반환시 사용)
· 인감증명서 1부 (토지소유자, 공동소유일 경우 1명 가능)
· 인감도장(소유자 본인은 서명가능)
· 내선설비시공내역 및 점검표, 내선설계도 및 사용전 검사필증 사본제출
(업체가 작성 추후 제출)

5. 외선 전기가설 절차
   - 한전주까지 전기선 가설(한전주, 변압기 설치 포함)에 필요한 설계 및 공사는 한전에서 시행
   - 최종 한전주에서 컨테이너까지 전기배선 설계 및 전기계량기 부착과 전기선 연결은 소유자가 선정한 전기공사면허업체가 시행

6. 외선 전기가설 소요기간
   - 한전주 및 변압기 설치가 필요한 지역은 약 1개월
   - 전기선으로만 가설(내선설비공사만 필요한 경우) 가능한 지역은 약 1주일

7. 내선, 외선 공사가 모두 끝나면 계량기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한전에서 점검을 함.
출처 : 전원주택의전문가

댓글

Most Popular

10월 14일 윈도우10 지원 종료! 무료로 ESU(확장 보안 업데이트) 1년 더 연장하는 방법 안내

  Windows 10 은 2025년 10월 14일부로 공식적인 지원(보안 업데이트, 기능 개선, 기술 지원 등)이 종료됩니다. 즉, 그날 이후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더 이상 보안 패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보안 위협에 더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Windows 11 로 넘어가기 어려운 사용자들을 위해 소비자용 ESU( Extended Security Updates , 확장 보안 업데이트) 제도가 있습니다.  ESU란 무엇이고, 어떤 역할을 하나요? ESU(확장 보안 업데이트)는 Windows 10 지원 종료 이후에도 '중요 보안 패치(크리티컬 또는 중요한 보안 업데이트)'만을 계속 제공하는 제도입니다. 새 기능 추가나 결함 수정, 일반 기술 지원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즉, ESU는 임시 방편, 즉 Windows 11로 전환할 시간을 벌어주는 안전망 역할을 합니다. ESU 신청 전 꼭 확인해야 할 조건들 소비자용 ESU를 사용하려면 다음 조건들이 꼭 맞아야 합니다. 조건 상세 설명 Windows 버전 Windows 10 버전 22H2 여야 합니다. 에디션 Home , Pro , Pro Education , Workstation 에디션이 대상입니다. 최신 업데이트 적용 지원 종료 이전의 모든 Windows 업데이트를 설치해야 합니다. 관리자 권한 & Microsoft 계정 ESU 라이선스는 Microsoft 계정에 연결되며, 관리자 권한 계정이어야 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기업용은 제외 Active Directory 도메인 소속, MDM(모바일 디바이스 관리) 등록된 기기 등은 소비자 ESU에 등록할 수 없습니다. 등록 기간 ESU 등록은 2026년 10월 13일까지 가능합니다. 즉, 모든 조건이 맞아야만 ESU를 통해 연장 보안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습니다. 비용과 신청 방식 – “무료 + 포인트 + 유료” 3가지 옵션 소비자용 ESU...

시멘트 블록 규격 (4,6,8인치)

 건축의 기본은 튼튼하고 제대로 된 재료 선택에서 시작됩니다. 벽체 시공에 사용되는 시멘트 블록과 조적 벽돌은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을 좌우하는 중요 스펙입니다. 블록의 두께와 규격을 정확히 이해하면 시공 효율을 높이고,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건축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록과 벽돌의 규격 정리입니다. ib612.com_해달바람비 시멘트 블록 규격 4인치 : 190 × 390 × 100 mm 6인치 : 190 × 390 × 150 mm 8인치 : 190 × 390 × 190 mm *가로와 세로 치수는 일정하며, 차이는 두께에서 발생합니다. 조적 벽돌 규격 90 × 190 × 57 mm 시멘트 블록과 조적 벽돌은 건축의 뼈대를 이루는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규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현장 여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은 품질 좋은 시공의 시작입니다. 작은 차이가 큰 결과를 만드는 만큼, 자재 선택에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기본을 이해하는 것이 최고의 완성도를 만듭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시멘트블록 #블록규격 #4인치블록 #6인치블록 #8인치블록 #조적벽돌 #벽돌규격 #건축자재 #건설기초 #건축상식 #벽체시공 #건축재료 #시멘트블럭 #건축정보 #건설현장 #ib612 #건축디자인 #건축엔지니어링 #건축자료 #건축기초 관련링크 - 오래된 시멘트 마당 관리방법: 청소, 보수, 그리고 방수까지 직접 만들어보는 우리집 울타리 스타코(Stucco)란? 견적, 자재, 시공방법등 알려드립니다. 외부마감재 특징 (목재 사이딩 / 시멘트 사이딩 / 비닐 사이딩)

돈 되는 나무! 오디, 은행나무, 산초나무로 고소득 농사 시작하기

 돈이 되는 나무작목, 왜 지금 주목해야 할까요? 농업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기후 변화, 웰빙 수요 증가, 농촌 인력 부족 등 여러 도전 속에서도 나무 작목(tree crops)은 안정적인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오디(뽕나무 열매), 은행나무, 산초나무 같은 품목들이 기능성과 수익성 면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이들 작목의 최신 정보와 재배 팁, 수익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1. 오디(뽕나무 열매) - 기능성과 시장성 두마리 토끼 기능성 효능  최근 농촌진흥청,동의대,서울대 공동 연구에서, 오디 동결건조 분말이 위장관 이송률과 평활근 수축력을 증가시켜 소화기능 개선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습니다. 예컨대 생과보다 동결건조 분말 3g 투여시 사람 기준으로 약 10~40g 생오디 또는 4~8알 정도 섭취하는 효과라는 보고가 있습니다. 재배 및 사례 충남 공주 지역의 오디 농가들은 넓은 면적을 단독으로 운영하면서 '수확과정이 간단하고 노동 투입이 적다'는 장점을 강조합니다. 태안군은 오디 재배 기술교육, 품종 특성 비교, 당도 향상 및 병해방제 기술 도입 등을 통해 농가 소득을 끌어올리려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ib612.com 시장 및 가격 오디는 기존에 비교적 적은 원료생산량으로 인해, 원료 수요가 많은 가공업체들(음료, 잼, 건강식품등)이 원료 확보에 힘쓰고 있습니다. 소비자 인식이 '건강,기능성' 중심으로 바뀌면서, 오디 제품 개발 및 판로 확대 가능성이 크다는 평가입ㄴ디ㅏ. 가격 측면에서는 오디의 수매가 또는 시장 거래 단가가 지역,품질에 따라 다르지만, 최근 기능성 연구 등의 발표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정확한 전국 단일 가격 통계는 아직 상시로 업데이트되는 것은 아닙니다.) 2. 은행나무 - 장기 투자와 안정적 수익 특성 및 장점 은행나무는 생육 속도가 매우 빠르지는 않지만, 한번 자리를 잡으면 수십 년, 심지어 수백 년 동안 꾸준히 열매를 수확할 수 있어 '노후 보장 작목...

귀뚜라미 보일러 온수 온도 설정법 – 모델별 간편 가이드

 귀뚜라미 보일러의 온수 온도는 일반적으로 35도에서 80도 사이로 설정할 수 있으며, 모델에 따라 조절 방식이 다릅니다. 귀뚜라미 보일러의 온수 온도 조절 방법은 사용하는 조절기 모델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모델별 설정 방법입니다. NRS-5100HD 모델 설정 버튼을 10초간 누르기: 온도 조절 화면이 나타납니다. 다이얼 돌리기: 오른쪽으로 돌리면 온도가 올라가고, 왼쪽으로 돌리면 내려갑니다. 설정 버튼 다시 누르기: 원하는 온도로 맞춘 후 설정을 완료합니다. CTR-5700 PLUS 모델 목욕 버튼 누르기: 온수 모드로 진입합니다. 위/아래 버튼으로 온도 조절: 35도에서 60도 사이로 1도 단위로 설정 가능합니다. NCTR-70 모델 – 다이얼 방식 온도 조절 온수 설정 방법 온수 버튼을 누릅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중앙 다이얼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원하는 온도를 설정합니다. 다이얼을 눌러 저장하면 우측 LED창에 설정 온도가 표시됩니다. 주의사항 설정 후 반드시 다이얼을 눌러야 적용됩니다. 온수 온도는 일반적으로 45~55도 사이가 적절합니다. NCTR-200WIFI & NCTR-100C WIFI – 스마트폰 앱 원격 조절 앱 설치 및 연결 스마트폰에 귀뚜라미 보일러 전용 앱 설치 (iOS/Android 지원). 보일러와 Wi-Fi 연결 후 앱에서 기기 등록. 온수 온도 조절 방법 앱 실행 후 연결된 보일러 선택. 온수 메뉴로 이동. 슬라이더 또는 숫자 입력 방식으로 희망 온도 설정. 설정값 저장 시 보일러에 즉시 적용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추가 기능 외출 모드, 예약 가동, 실시간 상태 확인 등 다양한 기능을 앱에서 제어 가능. 기타 모델 (온수전용 모드) 난방 버튼을 5초간 누르기: 온수전용 모드로 전환됩니다. 온수 온도 설정 범위: 55도에서 80도까지 설정 가능하며,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Tip. 샤워나 세면 시 - 일반적으로 40~45도가 적당합니다. 설정 후에도 ...

대우 보일러(알토엔대우) 에러코드 및 조치내용, 서비스 접수처

  E1 - 물없음 E2 - 불완전연소 E3 - 비등 E4 - 배기 연도 막힘 E5 - 이상 불꽃감지 E6 - 가스누설 E7 - 통신불량 E8 - 난방온도센서고장 E9 - 배관 누수 EE - 팬고장 EF - 재운전 룸콘의 이상표시 자가점검 및 조치사항 알토엔대우 고객상담센터 1588-7339 / Fax :  031-377-7347 A/S 홈페이지 접수 바로가기 -  알토엔대우 서비스 신청 #대우보일러 #알토엔대우 #보일러에러코드 #보일러E1 #보일러E2 #보일러E3 #보일러E4 #보일러E5 #보일러E6 #보일러E7 #보일러E8 #보일러E9 #보일러EE #보일러EF #보일러점검 #보일러수리 #보일러AS #보일러고장 #난방점검 #보일러관리 #보일러정비 #보일러에러 #보일러고장코드 #겨울준비 #알토엔대우서비스 #보일러자가점검 관련링크 - -  대우 보일러 고장 에러코드 안내 -  여름철 보일러 꺼뒀는데 왜 돌아가지? 온수전용 모드 소음 원인 알려드립니다. -  기름 및 가스 보일러 효율 높이는 자가 점검과 관리법 -  집에서 하는 기름 보일러 점검과 청소방법

자동차 시동 안 걸릴 때 스타트 모터 점검 및 응급조치 요령

 자동차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운전자는 당황하기 마련입니다. 특히 "딸깍딸깍" 소리만 들리고 시동이 걸리지 않는다면, 스타터 모터(세루모터)와 관련된 문제일 수 있습니다.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스타터 모터 고장 증상과, 긴급하게 시동을 걸어야 할 때 시도해볼 수 있는 응급조치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시동을 걸면 '딸깍' 소리만 나고 모터가 회전하지 않을 때 이 증상은 주로 마그네틱 스위치(솔레노이드) 불량일 때 발생합니다. 초기에는 간헐적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응급조치 요령 스타트 모터의 단자를 확인해보세요. 보통 굵은 전원선 두 개와 얇은 키 신호선 하나가 있습니다. 절연된 금속 도구(예: 드라이버)를 사용해 굵은 단자 두 개를 잠시 접촉시켜 보세요. 이때 '윙~' 하는 소리와 함께 모터가 헛돌 수 있습니다. 단, 금속 도구가 다른 부품(특히 고압 파이프 등)에 닿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불꽃이 튀거나 부품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후 차량 안에서 키로 다시 시동을 걸면 정상적으로 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예 소리조차 나지 않는 경우 이 경우는 전원 공급 자체가 끊겼을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퓨즈 단락이 원인일 수 있으므로 다음을 확인해 보세요.ib612.com 점검할 내역 키를 ON으로 했을 때, 본선 단자에 전기가 들어오는지 확인 키를 START 위치로 돌렸을 때, 키 신호선에도 전기가 흐르는지 확인 퓨즈 박스의 메인 퓨즈(전원선), 스타터 릴레이 퓨즈(키선)를 모두 점검 간혹 스타터 모터 쪽 커넥터가 느슨해져 접촉불량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으니 커넥션 상태를 체크하세요. 시동 시 '키키킥~' 하는 날카로운 소음 발생 이 소리는 스타터 모터의 벤딕스 기어가 마모되었거나, 기어의 정렬이 틀어졌을 때 발생합니다. 기어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아 회전만 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응급처치 키를 짧게 돌렸다가 즉시 다시 길게 돌리는 방식(이른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