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옥의 재료 →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이용.
   ※전통적인 가옥 재료 → 나무, 흙, 돌, 볏짚 
            등 (______에 대한 대비가 많다.)
 ①산간지대 : 목조가옥 (통나무 집 → 귀틀집, 투방집 등) 
            ← 통나무, 너와를 이용 : 개마고원
 ②평야지대 : 흙벽돌집, 초가집(나무, 흙, 볏짚을 이용)
 ③제주도 : 돌담집(돌, 흙, 새)
※지붕의 재료 → 지역적 특색을 가장 잘 반영함.
            
                
                
                
     ·벼농사 지대 → 볏짚의 초가 
            지붕
     ·산림지대 → 너와집(개마고원, 
            태백산지, 울릉도)
     ·낙동강하류 → 갈대 지붕
     ·제주도 → 새(억새풀)
     ·충북 북동부, 관서지방 → 
            돌기와(점판암)
| 
                         
▶너와 
나무 판자를 기와 크기로 절단하여 지붕을 덮는다. 
 | 
                
 ④최근의 가옥 재료 : 보편화(시멘트, 벽돌)
   ※가옥의 위치 → 음료수, 연료를 얻기 쉬운 곳
     가옥의 방향 → 채광, 통풍 고려 
            (남향, 남동향)
2)가옥의 구조 → 기후 특성을 반영함★★★★★
   ①겨울이 길고 한랭한 지역 : 폐쇄적 가옥 구조
                                겹집, 
            두꺼운 벽, 작은 창문, 낮은 천정 등
   ②여름이 길고 무더운 지역 : 개방적 가옥 구조 
            → 통풍에 유리
                                홑집, 
            넓은 대청과 마루, 넓은 창문 등
   ③강풍 지역 : 그물지붕(제주도)
   ④다설 지역 : 급경사의 지붕, 우데기, 튼튼한 
            기둥 등
   ⑤홍수 위험 지역 : 터돋움 집, 피수대, 높은 
            축대 설치 등
| 
                         
▶우데기 
눈이 많은 울릉도에서 북서풍과 함께 몰아치는 눈이 
                        집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처마 밑에 빙둘러친 방설벽으로 
                        수숫대, 새, 싸리 등을 엮어서 만든다. 눈이 와도 집안에서 
                        작업을 할 수 있으며, 식량, 땔감 등을 저장하는 생활 공간으로 
                        이용된다. 
 | 
                
  우리 나라의 가옥은 내부 구조에 따라 겹집과 홑집으로 
            나된다. 겹집은 대들보 아래 방을 두줄로 배치한 유형으로 관북 지방, 태백 산지, 소백 
            산지의 양 사면 등 주로 산간 지역에 분포하며 제주도, 
            변산 반도에도 약간 나타난다. 홑집은 대들보 아래 방이 한 줄로 배치된 
            가옥을 말하며, 주로 서부 
            와 남부 지방에 분포한다. 겹집은 추운 지방, 홑집은 더운 지방에 주로 
            분포한다.
3)우리 나라 전통 가옥 구조 → 기후적 특성을 반영함
  가옥의 지역적 특색 : 구분 기준 : 서민층 가옥의 몸채 
            평면 구조
| 
                         | 
                    
                         
평면형태 
 | 
                    
                         
분포 
 | 
                    
                         
특징 
 | 
                
| 
                         
관북형 
 | 
                    
                         
ㄱ·田 
 | 
                    
                         
관북지방 
강원북부지방 
 | 
                    
                         
폐쇄성이 강하다(긴 겨울 적응) 
겹집, 정주간이 있다. 
 | 
                
| 
                         
관서형 
 | 
                    
                         
ㅡ·ㄱ 
 | 
                    
                         
멸악산맥 이북 관서지방 
 | 
                    
                         
대청이 없고, 부엌과 방사이에 문이 있으며, 부엌에 
                        이어 방이 연속됨 
 | 
                
| 
                         
중부형 
 | 
                    
                         
ㄱ·ㄷ 
 | 
                    
                         
멸악산맥 이남~차령산맥이북 
 | 
                    
                         
관서형과 남부형의 점이적 성격 
기본구조∼안방, 대청, 건넌방 
 | 
                
| 
                         
남부형 
 | 
                    
                         
ㅡ·二 
 | 
                    
                         
영호남 지방,  
강릉이남의 영동지방 
 | 
                    
                         
개방성이 강하다.(여름 더위 적응) 
대청과 마루, 툇마루가 넓다. 
 | 
                
| 
                         
제주형 
 | 
                    
                         
 ㅡ 
 | 
                    
                         
제주도 
 | 
                    
                         
부엌과 방이 분리, 고팡이 있다. 
 | 
                
| 
                         
울릉도형 
 | 
                    
                         | 
                    
                         
울릉도 
 | 
                    
                         
_____에 대한 대비 
 | 
                
  기후와 전통 가옥 → 기후적 특성이 반영됨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