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기조양(補氣助陽): 인삼, 황기, 백출, 감초, 부자, 계지, 대추. 
보혈양음(補血養陰): 천문동, 맥문동, 산수유, 지황, 당귀, 백작약, 산조인, 질려자, 하수오, 연근, 용안육, 아교, 별갑, 백밀, 오매, 모과.
수렴정기(收斂精氣): 오미자, 가자(訶子), 용골, 모려. 
발산풍한(發散風寒): 마황, 계지, 형개, 자소엽, 승마, 갈근, 시호, 세신, 생강. 
발산풍열(發散風熱): 박하, 국화, 우방자, 만형자, 신이. 
발산풍습(發散風濕): 방풍, 백지, 위령선, 고본(藁本. 쑥), 강활, 독활,  천마. 
발산한습(發散寒濕): 창출, 진구(秦艽), 사상자, 회향, 백강잠,촉초(蜀椒. 조피열매, 산초열매).
통리임탁(通利淋濁): 목통, 해금사, 활석. 
담삼수습(淡滲水濕): 등심초, 차전자, 의이인, 복령, 저령, 택사, 죽엽. 
선폐윤기(宣肺潤氣): 길경, 전호, 자원, 선복화, 행인, 비파엽, 죽여. 
통기행체(通氣行滯): 향부자, 오약, 곽향, 침향, 산수자, 맥아, 신국. 
활혈통락(活血通絡): 적작약, 우슬, 소목, 유향. 
파혈거어(破血祛瘀): 삼릉, 아출, 紫根, 도인, 수질. 
청열조습(淸熱燥濕): 황련, 황금, 황백, 고삼, 연교, 인진, 용담. 
청열해독(淸熱解毒): 금은화. 
온화혈분(溫和血分): 천궁, 애엽, 현호색, 오수유. 
온화한담(溫和寒痰): 반하, 천남성, 원지, 진피, 귤피, 백개자. 
온운중기(溫運中氣): 건강, 축사, 정향, 목향, 후박. 
청열양혈(淸熱凉血): 목단피, 지골피, 현삼, 백합. 
청화담열(淸化痰熱): 패모, 지실, 지각.    
사하한적(瀉下寒積): 파두. 
사하열적(瀉下熱積): 대황, 망초.          
사하수음(瀉下水飮): 방기. 
보기약(補氣藥): 인삼, 영지, 오미자, 연, 감초, 대조, 산약, 황기. 출. 
보혈약(補血藥): 당귀, 작약, 상심, 숙지황, 아교, 백작약, 용안육. 
보음약(補陰藥): 구기자, 맥문동, 백합, 사삼, 호마, 석곡, 천문동. 
보양약(補陽藥): 녹용, 산수유, 복분자, 두충, 해구신, 음양곽, 호도, 사상자, 익지인.
출처 : 몸에좋은 산야초 | 글쓴이 : 장목
#한방약재 #한방 #한의학 #보기조양 #보혈양음 #수렴정기 #발산풍한 #발산풍열 #발산풍습 #발산한습 #통리임탁 #담삼수습 #선폐윤기 #통기행체 #활혈통락 #파혈거어 #청열조습 #청열해독 #온화혈분 #온화한담 #온운중기 #청열양혈 #청화담열 #사하한적 #사하열적 #사하수음 #보기약 #보혈약 #보음약 #보양약 #한방약초 #산야초 #자연치유 #한의학치료
관련링크 -
술을 담그기 전 - 계절별로 담그는 건강약술
하수오 효능과 부작용 - 머리카락 검게 하는 법부터 건강하게 복용하는 방법까지
비수리 (야관문)
자연이 준 항암 선물, 비단풀의 모든 것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