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경매에서 매각허가결정 이란?

auction

경매에서 매각허가결정 이란?

법원은 매각기일에 최고가 매수신고인이 정해지면 이에 따른 매각을 허가할 것인지 또는 불허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한다.

이 절차가 바로 매각결정기일에 행하는 매각허부결정이다.

집행법원에서 매각결정기일에 매각허부결정을 하면 이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은 즉시항고를 할 수 있다.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은 경매개시결정 기입등기 당시에 이미 등기부에 등재된 소유자, 채무자, 저당권자, 전세권자 등과 등기부에는 등재되지 않아도 임차인과 같이 경매절차에서 그 권리가 증명된 자를 말한다.

이들 이해관계인으로부터 매각허부결정에 대하여 즉시항고가 없으면 매각결정기일부터 1주일이 경과하면 매각허부결정은 확정된다.

이에 따라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되면 매수인은 법원이 정한 대금지급 기한까지 매각대금을 납부해야 한다.

이 때의 매각대금은 입찰보증금을 공제한 잔금만 납부하면 된다.
한편 매각불허가결정이 확정되면 법원에서는 다시 매각기일을 정하여 입찰을 실시한다.

 
매각허부 결정은 어떻게 하는가?

① 매각결정기일은 매각기일로부터 1주일 내로 정해야 한다.

② 법원은 매각결정기일에 출석한 이해관계인으로 하여금 매각허가에 관한 의견을 진술하게  한다.

   매각허가에 관한 이의신청은 매각허가가 있을 때까지 신청해야 한다.

③ 법원은 이해관계인의 매각허가에 대한 이의신청이 이유 없다고 인정되거나 또는 매각을 불허할 사유

    가 없다고 인정할 때에는 최고가 매수신고인에게 매각허가결정을 내린다.

④ 매각허가결정은 선고하는 때에 고지의 효력이 발생하므로 별도로 송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법원 게시판에 공고해야 하며, 특별한 매각조건으로 매각한 경우에는 그 조건을 매각허가결정

    에 기재해야 한다.

⑤ 법원은 매각기일에 출석한 이해관계인으로 하여금 매각에 관한 의견을 진술하게 하여 이해관계인의

    이의신청이 정당하다고 인정한 때에는 매각을 허가하지 않는다.

⑥ 법원이 매각을 허가하지 않고 새로이 매각을 명하는 경우에는 직권으로 새 매각기일을 정해야 한다.


매각허가 여부에 대한 즉시항고 

① 매각허가결정에 대한 항고는 민사집행법에 규정한 매각허가에 대한 이의신청 사유가 있다거나, 그 결

    정절차에 중대한 잘못이 있다는 합당한 이유를 들 때만 할 수 있다.

② 민사소송법 제451조 제1항의 재심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매각허가 또는 불허가결정에 대한 항고

    이유로 삼을 수 있다.

③ 매각허가결정에 대하여 항고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보증으로 매각대금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금전

    또는 법원이 인정한 유가증권을 공탁해야 한다.

④ 매각허가결정에 대한 항고를 제기하면서 항고장에 매각대금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보증을 제공했음

    을 증명하는 서류를 붙이지 않을 때에는, 원심법원은 항고장을 받은 날로부터 1주일 내에 각하결정을

    내려야 한다.

⑤ 채무자 및 소유자가 제기한 항고가 기각된 때에는 항고인은 보증으로 제공한 금전이나 유가증권을 돌

    려줄 것을 요구하지 못한다.

⑥ 채무자 및 소유자 외의 사람이 제기한 항고가 기각된 때에는 항고인은 보증으로 제공한 금전이나 유

    가증권을 현금화한 금액 중 항고를 한 날로부터 항고기각결정이 확정된 날까지의 매각대금에 대한,

    대법원 규칙이 정하는 이율에 의한 금액(보증으로 제공한 금전이나 유가증권을 현금화한 금액을 한도

    로 함)에 대해서는 돌려줄 것을 요구할 수 없다.

    이 때 대법원 규칙이 정하는 이율은 연 2할이다.

    다만, 보증으로 제공한 유가증권을 현금화하기 전에 위의 금액을 항고인이 지급한 경우에는 그 유가

    증권을 돌려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⑦ 즉시항고는 매각결정기일로부터 1주일 내에 제기해야 한다.

    항고인은 항고장을 원심법원에 제출한다.


매각대금 납부

① 매각허가결정이 확정되면 법원은 대금의 지급기한을 정하고 이를 매수인과 차순위 매수신고인에게

    통지해야 한다.

② 매수인은 법원이 통지한 대금지급 기한까지 매각대금을 지급해야 한다.

③ 차순위 매수신고인은 매수인이 대금을 모두 지급한 때에 매수의 책임을 벗게 되고, 즉시 매수신청의

    보증을 돌려줄 것을 요구할 수 있다.

④ 매수인은 매각대금을 완납한 때에 목적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