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주말농장과 중과세에 대해서

주말농장 중과세,Weekend farm,Taxation
주말농장 매입에 별다른 제한없고 양도세 중과 제외
주말농장은 정부가 농촌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도시민들에게 취득을 권장하고 있는 부동산 상품이다.

도시민이 주말농장을 매입할 땐 여러모로 유리하다.

우선 별다른 제한없이 주말농장용 농지를 최대 991㎡(300평)까지 매입할 수 있다.

부재지주에게 적용되는 양도소득세 중과(60%)도 적용받지 않는다.
여기에다 주말농장에 딸린 건평 45평,대지면적 200평,기준시가 7000만원 이하의 농가주택을 매입할 경우
기존 도시에 주택을 한 채 갖고 있더라도 1가구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작년부터는 주말농장용 농지에 신축하는 33㎡(9.98평) 이하의 주말체험 농가주택에 대한 농지보전부담금도
50% 감면되고 있다.
농지보전부담금이 종전의 조성원가 기준(㎡당 1만300∼2만1900원)에서 공시지가의 30%로 바뀐 데 따른 것이다.

다만 농림부장관이 고시하는 기준에 따라 시장·군수·구청장의 추천을 받아야 한다.

이에 따라 공시지가가 상대적으로 높은 수도권보다 강원·충청권 등 시가와 공시지가 차이가 큰 지역의 주말농장이
더욱 유리하게 됐다.

  은퇴 후 전원생활을 꿈꾸고 있다면 미리 농업보호구역의 땅을 매입 할 수 있다.

  향후 용도변경을 통해 가치를 높일 수 있다.

  2㏊(6050평) 미만 관광농원,0.3㏊(908평) 미만 주말농장 및
  슈퍼마켓,게임방과 같은 1·2종 근린생활시설 건립이 가능하다.



다만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주말농장을 매입한 뒤 이용계획대로 땅을 활용하지 않으면 의무 이용기간 중

땅값(취득가액)의 10%를 매년 이행강제금으로 납부해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거래허가구역 내 토지의 이용의무기간은 △농지는 2년 △임야는 3년 △개발사업용 토지는 4년

△기타 토지는 5년 등이다.

예를 들어 토지 이용의무기간이 2년인 농지를 원래 목적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2년간 매입가격의 10%씩 모두

 20%,의무이용기간이 3년인 임야는 3년간 10%씩 모두 30%의 이행강제금이 부과된다는 얘기다.
기타 용지는 최고 50%까지 부과된다.


정부는 사후관리 방안으로 이행강제금 부과와 함께 토파라치(신고포상제) 제도를 도입했다.

지방자치단체들의 별도 조사 외에 주민 감시까지 받을 수 있는 만큼 실제 이용을 염두에 두고 주말농장을 매입해야 한다.

김경래 OK시골 사장은 "주말농장은 도시민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수시로 자연 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수단"

이라며 "다만 너무 욕심을 내지 말고 자신의 처지와 상황에 맞춰 적당한 규모로 시작하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