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검사와 화학검사는 우리 몸의 상태를 진단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각 항목은 신체 내 다양한 기능과 질환 상태를 반영하며, 정상 범위와 검사 수치를 통해 건강 이상 유무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백혈구, 적혈구, 혈색소, 전해질 등 주요 수치들은 감염, 빈혈, 간 및 신장 기능 이상 등 여러 질환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정확한 검사 해석은 적절한 치료 계획 수립과 건강 관리를 위한 기초가 됩니다.
항목
|
정상범주
|
검사수치
|
검사목적
|
해석
|
WBC
|
6200-17000 /㎣
(4000~10000)
|
White Blood Cell은 감염과 관련된 문제나 혈액질환이 있을 경우,
혹은 면역력과 관련
|
․증가: 감염성 질환
․감소: aplastic anemia, agranulocytosis
| |
RBC
|
300만~540만/㎣
(男:430만~580만/女:390만~500만)
|
적혈구의 수는 빈혈 혹은 적혈구 증가 유무 파악
|
․증가: diarrhea, dehydration, polycythemia, acute poisoning,
pulmomary fibrosis
․감소: anemia, leukemia, hemorrhage 후
| |
Hgb
|
12~17g/dL
(男 : 14~18
女 : 12~16)
|
Hemoglobin은 폐에서 조직으로 산소운반과 조직에서 폐포로의 탄산가스 운반기능. Hgb의 수치는 말초혈액내의 전체 Hb량.
|
․증가: polycythemia, COPD, CHF
․감소: anemia, pregnancy, severe or prolonged hemorrhage
| |
Hct
|
35~50%
(男: 40~50
女: 35~45)
|
Hematocrit는 Whole Blood중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
(RBC와 Hb수치에 따라 변화)
|
․증가: dehydration, hemoconcentration associated with shock
․감소: severe anemias, anemia of pregnancy, acute massive
blood loss
| |
MCV
|
80~102 μ3
|
Mean corpuscular volume은 적혈구 하나하나의 평균용적을
(적혈구체적의 평균치)
|
․증가: macrocytic anemia
․감소: microcytic anemia
| |
MCH
|
27~32 pg
|
Mean Corpuscular Hemoglobin은 한 개의 적혈구 안에 들어있는 평균 Hgb수치
|
․증가: macrocytic anemia
․감소: microcytic anemia
| |
MCHC
|
30~35 g/dL
|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은 적혈구 100cc에 들어있는 평균 Hb 농도.
|
․증가: 골수 활동의 증가가 나타나는 모든 경우
(감염, 혈액 손실), 철 결핍성 빈혈
․감소: 골수 활동의 감소가 나타나는 경우,
acute leukemia, late stage of severe anemias
| |
RDW
|
10.1~10.8
|
Red Cell distribution width는 RBC의 분포폭.
|
||
Pct
|
0.0~1.0 %
(0.130~0.400)
|
Porphyria cutanea tarda는 빈혈의 척도로, 증가된 경우 철결핍성 빈혈, 연중독을 의미한다.
|
||
MPV
|
6.3~9.7 fl
(7.4~10.4)
|
Mean Platelet Volume은 평균 혈소판 용적을 의미한다.
증감시 : 골수이상, 혈소판이상, 비장이상
|
||
PDW
|
14.5~17.5 ratio
(14.5~17.5)
|
Platelet Distribution Width는 혈소판 입자 분포폭을 의미하며, 혈소판의 대소부동의 지표가 된다.
|
항목
|
정상범주
|
검사수치
|
검사목적
|
해석
|
Neutro
|
45~75 %
(1.9~8×103/ul)
|
Neutrophil은 다형핵 백혈구중 호중구로 생체방어 기능
|
||
Lymph
|
15~45%
(0.9~5.2×103/ul)
|
Lymphocyte Count는 면역반응 관여 백혈구
(T림프구-세포성 면역/B림프구-체액성면역)
|
||
Mono
|
3.4~9 %
(0.16~1×103/ul)
|
Monocyte는 단핵구이며, 골수 및 간세포에서 생성되어 분화, 성숙한다.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많다. Glucocorticoid사용시 감소
|
||
Eosino
|
1~7 %
(0~0.8×103/ul)
|
Eosinophil count는 호산구로 세균이나 보체 성분에 반응하여 세균 등을 탐식하고, 과민반응을 억제하며, 비면역성염증반응도 억제한다.
|
||
Baso
|
0.5~4 %
(0~0.2×103/ul)
|
Basophil은 호염기구로 히스타민, 백혈구유주인자, leukotrien, 프로스타글란딘 등 염증관련 물질을 생산하여, 즉시성 과민증에 반응한다.
|
||
ESR
|
0~10 mm/hr
(0~20)
|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는 병의 호전시 지연된다.
|
||
BT
|
1~3분
|
Bleeding Time은 혈소판과 관련된 출혈경향을 알고자 하는 것.
|
||
CT
|
3~5분
|
혈병용해시간으로 Fibrinolysis screening test이다.
|
||
PLT
|
15만~40만/mm³
|
Platelet는 혈액 1㎣안에 있는 혈소판의 수로, 혈액응고에 관여
|
․증가: malignancy, myeloproliferative disease, rheumatoid
arthritis, post operation
․감소: thrombocytopenic purpura, acute leukemia, aplastic
anemia, cancer chemotherapy, infection, drug reaction
| |
POLY
|
1~5%
|
적혈구 형태 (red cell Morphology)판별위한 염색시 회색을 띄는 적혈구로 혈액질환을 진단시 중요
|
||
BAND
|
3~5%
|
호염기성 과립구계 세포
|
화학검사>
항목
|
정상
|
검사결과
|
검사목적
|
해석
|
Glucose
|
80~120 mg/dl
|
공복시 혈당농도가 감소됨에 따라 자극을 받아서 유리된다.
|
||
B.U.N
|
5~20 mg/dl
|
Blood Urea Nitrogen은 암모니아를 배설하기 위해 요소싸이클을 통해 배출 되는 것으로서, 섭취단백량, 요소합성량, 배설량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기능의 지표이다.
|
||
Crea-
tine
|
0.5~1.5mg/dl
|
간, 신장에서 형성되어 근육에 분배되어 고에너지 합성물로 변화
|
증가 :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 여과치 감소, 울혈성 신부전
감소 : 근영양실조, 간장애, 요붕증
| |
Albu-
mine
|
3.0~4.5 g/dl
|
간질환의 지표로서, 삼투압을 조절하며, 호르몬, 빌리루빈,
약물의 운반기능을 갖는다.
|
증가 - 탈수 / 감소 -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화상
| |
total-
bili
|
0.1~1.0 mg/dl
|
적혈구 붕괴속도나 빌리루빈 포합기능의 문제와 관련
|
증가 - 후천성 황달, 간전성 황달, 포합빌리루빈의 배설 장애
감소 - 용혈성 빈혈
| |
D.Bili
|
0.1~0.3 mg/dl
|
황달간염의 진단적 검사
|
||
A.S.T
|
0~40 U/L
|
Aspatate aminotransferase는 간, 심장, 골격근에 분포하여,
세포가 손상받으면 혈청내로 유출되는 효소.
|
||
A.L.T
|
0~40 U/L
|
Alanine aminotransferase는 조직에너지를 생산하는 효소로서 AST와 달리 세포질내에 풍부하고 신장, 심장, 골격근에 분포되어 있으며, 급성 간세포 손상시 예민한 지표가 됨.
|
||
L.D.H
|
100~200 ImU/ml
|
Lactate Dehydrogenage는 젖산탈수효소로 감염의 진단을 위해
사용
|
||
A.L.P
|
40~250 U/L
|
Alkaline phosphatase는 뼈, 장, 간, 태반에 분포하는 효소로서 성장기에는 뼈쪽이 증가하고, 폐쇄성 황달시에는 간쪽이 증가한다.
|
||
Uric
acid
|
2.0~7.0mg/dl
|
핵산의 최종대사산물로 대부분 소변으로 배출, 신사구체에서 여과된 요산의 90~95%는 재흡수되며, 일부는 원위세뇨관에서
분비됨
|
증가 : 통풍, 백혈병 같은 세포 파괴가 증가하는 질환
| |
Chole-
sterol
|
150~200mg/dl
|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나 지방대사의 평가, 신증후군,
췌장, 간질환, 갑상선 질환의 보조진단적 검사
|
||
Protein
|
6~8 g/dl
|
총 단백량을 검사하여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과 비교하는 것
|
증가 - 탈수, 용혈, 운동, 스트레스, 간질환
|
Na.
|
135~145
mmol/L
|
식이중의 나트륨섭취와 신장배설의 균형과 관계있음
|
증가 : 중증당뇨환자, 고장식염수의 과잉투여
감소 : 수분과잉, 위장관손실
| |
K.
|
3.5~5.0 mmol/L
|
세포의 흥분성 신경조직의 막전압을 유지하는 전해질
|
증가 : 배설장애(신질환), 발열, 기아
감소 : 체온저하, 위장관손실, 부신피질 과형성
| |
Cl.
|
90~110 mmol/L
|
혈액의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조절하는 전해질로서 산염기 불균형의 측정, 체액의 상태의 평가를 위해 측정
|
증가 : 탈수, 호흡성알카리증, 대사성 산증
감소 : 수분과잉, 소화액 상실, 이뇨제사용
| |
Ca
|
8~10 mg/dl
|
혈청 칼슘이 증가하면 인이 신장내에 배설되는 과정의 이상 발생.
|
||
P
|
4~7 mg/dl
(2.5~4.5mg/dl)
|
Phosphorus는 세포의 구성성분으로 에너지대사, 근수축,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에 관여한다.
|
증가 : 신기능 저하, 부갑상선 호르몬의 기능 부전
감소 : PTH과잉, 비타민결핍, 감수성 공복저하, 제산제복용, 게실
|
혈액 및 화학검사 결과는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지니며, 전반적인 신체 건강 상태를 반영합니다. 검사 수치의 변화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과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건강 변화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며, 이상 소견이 있을 경우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건강한 삶을 위해 정확한 검사 해석과 적절한 관리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혈액검사 #혈액검사해석 #혈액수치 #백혈구 #적혈구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MCV #MCH #MCHC #RDW #혈소판 #혈액질환 #면역력 #빈혈 #감염 #혈액검사목적 #혈액검사수치 #혈액형성 #혈액검사정상범주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호염기구 #ESR #출혈시간 #혈액응고 #혈소판수 #면역반응 #면역세포 #혈액질환진단 #염증반응 #혈액검사종합 #화학검사 #혈당 #BUN #크레아티닌 #알부민 #빌리루빈 #간기능검사 #AST #ALT #LDH #ALP #요산 #콜레스테롤 #단백질 #전해질 #나트륨 #칼륨 #염소 #칼슘 #인 #대사질환 #신장기능 #간질환 #대사성질환 #임상검사 #건강검진 #의학검사 #진단검사 #병원검사 #검사결과해석
관련링크 -
- 지방간에 좋은 음식 / 나쁜 음식
- 진정한 웰빙식품
- 지방간 없애는 식단과 생활습관. 간 건강 지키는 비법
- 동의보감 100가지 민간요법
- 대머리·발기부전·백발 고민? 부작용 없는 한련초의 놀라운 효능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