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을 받을 때마다 나오는 혈액검사 결과, 숫자만 가득하고 무슨 뜻인지 어려우셨죠? 혈액검사는 우리 몸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정확하게 알려주는 중요한 검사입니다.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부터 간기능, 신장기능, 전해질 수치까지 모두 우리 몸의 이상 신호를 알려줍니다. 혈액검사의 정상수치와 항목별 의미, 그리고 결과지를 쉽게 해석하는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병원에 가지 않아도 스스로 건강 상태를 이해할 수 있도록, 최신 기준을 바탕으로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1. 일반혈액검사(CBC, Complete Blood Count)
백혈구 (WBC: White Blood Cell)
정상범주 - 약 4,000 ~ 10,000 cells/㎣ 정도가 일반적인 범위입니다.
목적 - 감염, 염증, 면역체계 이상 또는 혈액 질환 유무를 확인합니다.
증가 - 감염이 있거나 염증 반응이 올라간 경우
감소 - 면역세포가 결핍된 경우(예: 골수기능저하, 일부 혈액질환)
적혈구 수 (RBC: Red Blood Cell)
정상범주 - 성별·연령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 성인 기준 남성 약 4.5 ~ 6.1 백만/㎣, 여성 약 4.2 ~ 5.4 백만/㎣ 정도입니다.
목적 - 빈혈 여부, 적혈구 과다 여부 등을 파악합니다.
증가 - 탈수, 적혈구 과다증 등
감소 - 빈혈, 급격한 출혈, 골수기능저하 등
헤모글로빈 (Hb, Hgb)
정상범주 - 남성 약 13 ~ 17 g/dL, 여성 약 12 ~ 15 g/dL 정도입니다.
목적 - 혈액 내 산소 운반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증가 - 적혈구 과다증, 만성 폐질환 등 산소 부족에 대한 보상 반응
감소 - 빈혈, 출혈, 철분결핍 등
헤마토크릿 (Hct)
정상범주 - 성별에 따라 약 남성 40 ~ 50%, 여성 35 ~ 45% 내외입니다.
목적 - 혈액에서 적혈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냅니다.
증가 - 탈수 등으로 혈액이 농축된 경우
감소 - 빈혈, 대량출혈 등
적혈구 지표들 (MCV, MCH, MCHC 등)
MCV (Mean Corpuscular Volume) - 적혈구 하나의 평균 크기 -> 정상 약 80 ~ 100 fL 정도입니다.
MCH (Mean Corpuscular Hemoglobin) - 적혈구 하나에 들어 있는 헤모글로빈 평균량 -> 일반 성인 약 27 ~ 33 pg 정도입니다.
MCHC (Mean Corpuscular Hemoglobin Concentration) - 적혈구 내 헤모글로빈 농도 -> 일반적으로 약 32 ~ 36 g/dL입니다.
목적 - 적혈구의 크기나 헤모글로빈 함량 이상이 있는지를 파악하여 빈혈의 원인 유형을 추정하는 데 도움됩니다.
MCV 증가 → 거대적혈구성 빈혈 가능성
MCV 감소 → 미세적혈구성 빈혈 가능성
MCH, MCHC 이상도 빈혈의 원인분류에 도움됩니다.
혈소판 (PLT - Platelet)
정상범주 - 일반 성인에서 약 150,000 ~ 400,000 /㎣ 정도입니다.
목적 - 출혈성 질환 또는 혈액응고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증가 - 만성염증, 수술 후 회복기, 일부 혈액질환
감소 - 혈소판 생성저하, 파괴 증가, 일부 약물 · 질환 영향
일반혈액검사 (CBC: Complete Blood Count)
| 항목 | 정상범위 (성인기준) | 검사 목적 | 주요 해석 포인트 |
|---|---|---|---|
| WBC (백혈구) | 4,000 ~ 10,000 /㎣ | 감염, 염증, 면역 상태 확인 | ↑ 감염·염증 / ↓ 면역저하, 골수기능저하 |
| RBC (적혈구) | 남 4.5 ~ 6.1 백만 /㎣여 4.2 ~ 5.4 백만 /㎣ | 빈혈·적혈구과다 여부 확인 | ↑ 탈수, 적혈구증가증 / ↓ 빈혈, 출혈 |
| Hgb (헤모글로빈) | 남 13 ~ 17 g/dL여 12 ~ 15 g/dL | 산소운반능력 평가 | ↑ 폐질환, 적혈구증가증 / ↓ 빈혈, 출혈.ib612.com_해달바람비 |
| Hct (헤마토크릿) | 남 40 ~ 50%여 35 ~ 45% | 혈액 내 적혈구 비율 | ↑ 탈수 / ↓ 빈혈, 급성출혈 |
| MCV | 80 ~ 100 fL | 적혈구 평균 크기 | ↑ 거대적혈구성 빈혈 / ↓ 미세적혈구성 빈혈 |
| MCH | 27 ~ 33 pg | 적혈구당 헤모글로빈 양 | ↑ 거대적혈구성 빈혈 / ↓ 철결핍성 빈혈 |
| MCHC | 32 ~ 36 g/dL | 적혈구 내 Hb 농도 | ↓ 심한 빈혈, 철결핍 |
| PLT (혈소판) | 150,000 ~ 400,000 /㎣ | 혈액응고 기능 평가 | ↑ 염증, 수술후 / ↓ 백혈병, 약물반응 |
2. 혈액화학검사
전해질 검사 (Sodium, Potassium, Chloride 등)
정상범주 예)
나트륨(Na) - 약 135 ~ 145 mmol/L입니다.
칼륨(K) - 약 3.6 ~ 5.5 mmol/L 정도입니다.
칼슘(Ca) - 성인 기준 약 8.8 ~ 10.7 mg/dL 내외입니다.
목적 - 체내 수분·전해질·신경·근육·심장 기능 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나트륨 증가 -> 탈수, 과도한 염분섭취, 신장·부신 이상 등
나트륨 감소 -> 체액 부족, 구토·설사·신장 이상 등
칼륨 이상 -> 근육·심장 리듬 이상·신장기능 이상 가능성
간기능검사 (AST, ALT, ALP, 빌리루빈 등)
정상범주 예 - ALT 약 7 ~ 56 U/L, AST 약 10 ~ 40 U/L 내외입니다.
목적 - 간세포 손상, 담도폐쇄, 간질환 여부 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AST/ALT 증가 -> 간세포 손상, 알코올성 간질환, 급성간염 등
ALP 증가 -> 담도폐쇄, 뼈 이상 등
단순히 정상범위여도 간질환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신장기능검사 (BUN, Creatinine 등)
목적 - 신장(콩팥)의 여과기능과 배설기능을 확인합니다.
BUN/크레아티닌 증가 -> 신장기능저하, 신혈류량 감소, 요독증 가능성
감소나 기타 이상 -> 영양상태 저하, 간기능 이상 등
단백질, 알부민, 빌리루빈 등
단백질/알부민 - 간에서 만들어지고 체내 순환 및 삼투압 유지에 중요합니다.
빌리루빈 - 적혈구 붕괴 및 간에서의 처리능력을 반영합니다.
알부민 감소 ->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상태
빌리루빈 증가 -> 적혈구 파괴 증가, 간담도 폐쇄 가능성
백혈구 감별계수 (Differential Count)
- 2025년 기준 최신 자료를 참고 -
| 항목 | 정상범위 (%) | 주요 역할 | 해석 포인트 |
|---|---|---|---|
| Neutrophil (호중구) | 45 ~ 75 % | 세균 감염 방어 | ↑ 세균감염 / ↓ 골수억제, 바이러스감염.ib612.com_해달바람비 |
| Lymphocyte (림프구) | 15 ~ 45 % | 면역 반응 담당 | ↑ 바이러스감염 / ↓ 면역저하 |
| Monocyte (단핵구) | 2 ~ 9 % | 염증 조절, 대식세포 역할 | ↑ 만성감염, 백혈병 |
| Eosinophil (호산구) | 1 ~ 7 % | 알레르기·기생충 방어 | ↑ 알레르기, 기생충감염 |
| Basophil (호염기구) | 0 ~ 2 % | 히스타민 분비·염증반응 | ↑ 과민반응, 백혈병 |
혈액화학검사 (Blood Chemistry)
| 항목 | 정상범위 | 검사 목적 | 주요 해석 |
|---|---|---|---|
| Glucose (혈당) | 70 ~ 99 mg/dL (공복) | 당뇨병·저혈당 확인 | ↑ 당뇨, 스트레스 / ↓ 저혈당, 약물영향 |
| BUN (요소질소) | 7 ~ 20 mg/dL | 신장기능 평가 | ↑ 신부전, 탈수 / ↓ 간기능저하 |
| Creatinine (크레아티닌) | 0.6 ~ 1.3 mg/dL | 신장 여과기능 확인 | ↑ 신부전 / ↓ 근육량 감소 |
| Albumin (알부민) | 3.5 ~ 5.0 g/dL | 간기능·영양상태.ib612.com_해달바람비 | ↓ 간질환, 단백손실, 영양불량 |
| Total Bilirubin (총빌리루빈) | 0.2 ~ 1.2 mg/dL | 황달·간기능평가 | ↑ 간질환, 담도폐쇄, 용혈 |
| AST (GOT) | 10 ~ 40 U/L | 간·심장세포 손상 확인 | ↑ 간염, 심근경색, 근육손상 |
| ALT (GPT) | 7 ~ 56 U/L | 간세포 손상 평가 | ↑ 급성간염, 지방간 |
| ALP (알칼리포스파타제) | 44 ~ 147 U/L | 간·담도·뼈 상태 | ↑ 담도폐쇄, 성장기, 뼈질환 |
| LDH (젖산탈수효소) | 140 ~ 280 U/L | 조직손상 지표 | ↑ 간질환, 용혈, 감염 |
| Uric Acid (요산) | 남 3.4 ~ 7.0 mg/dL여 2.4 ~ 6.0 mg/dL | 통풍·신장기능평가 | ↑ 통풍, 세포파괴 증가 |
전해질 검사 (Electrolyte Panel)
| 항목 | 정상범위 | 주요 기능 | 해석 포인트 |
|---|---|---|---|
| Na (나트륨) | 135 ~ 145 mmol/L | 체액 균형·혈압 유지 | ↑ 탈수, 염분과다 / ↓ 수분과다, 구토·설사 |
| K (칼륨) | 3.5 ~ 5.0 mmol/L | 심장·근육·신경 기능 | ↑ 신부전 / ↓ 이뇨제, 구토.ib612.com_해달바람비 |
| Cl (염소) | 98 ~ 107 mmol/L | 산염기 균형 유지 | ↑ 탈수 / ↓ 이뇨제, 위액손실 |
| Ca (칼슘) | 8.8 ~ 10.7 mg/dL | 뼈·근육·신경 기능 | ↑ 부갑상선항진 / ↓ 비타민D결핍 |
| P (인) | 2.5 ~ 4.5 mg/dL | 에너지 대사·골 형성 | ↑ 신부전 / ↓ 부갑상선기능항진 |
3. 검사 목적 요약
이러한 검사는 건강검진이나 증상이 있을 때 기본적으로 시행되며, 감염, 염증, 빈혈, 간, 신장, 전해질, 출혈 성향 등 몸의 전반적인 상태를 한눈에 보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단일 수치만으로 질환이 확진되지는 않으며, 임상증상, 과거력, 추가검사 등과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4. 유의사항 및 참고
검사 정상범위는 사용된 검사장비, 단위, 검사실마다 약간씩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결과지에 표시된 검사실별 정상범위(reference range)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정상범위 내에 있다 하더라도 증상이나 위험요인이 있으면 추가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검사를 받을 때는 검사 전날 과도한 음주, 심한 운동, 특정 약물 복용 등이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검사전 안내사항을 잘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혈액검사는 복잡해 보이지만, 각 항목의 의미를 알고 나면 내 몸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수치가 정상이라고 안심하기보다, 꾸준히 검사를 통해 변화를 살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이 건강검진 결과를 스스로 이해하고, 필요한 관리 방향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작은 수치 변화가 건강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나의 혈액검사 결과에 관심을 가져보세요.
#혈액검사 #혈액검사정상수치 #혈액검사해석 #건강검진 #빈혈검사 #간기능검사 #신장기능검사 #전해질검사 #건강정보 #혈액수치
관련링크 -
- 지방간에 좋은 음식 / 나쁜 음식
- 입술상태로 알 수 있는 내 몸의 상태
- 주치별 99개의 자주쓰는 혈자리 정리
- 정력을 쎄게하는 동물성식품 베스트 11
- 솔방울주 만들기 — 고혈압·신경통에 좋은 자연이 빚은 전통 약술 건강주
- 일본발효식품 '낫토'와 '미소' - 건강효능과 먹는 법
- 마늘커피의 효능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