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대명절 추석이 다가오면 많은 가정에서 조상을 기리는 ‘차례’를 준비합니다. 차례는 단순한 제사가 아니라,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조상의 은혜를 되새기고 정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입니다. 차례상차림 방법부터 차례 지내는 순서, 간소화 팁까지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차례상차림 (상에 올리는 법과 배치)
차례상차림은 여러 격식과 예법이 있으나, 집안 전통이나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기도 합니다. 다만 기본적인 틀과 배치 원칙이 있습니다.
기본 구조와 배치 원칙
1열 (앞줄)
시접(箸匙) - 수저와 젓가락을 담는 통
잔다반 / 술잔
밥,국 - 추석에는 떡국 대신 송편을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잔반(副菜).ib612.com
2열 (요리 음식)
어동육서(魚東肉西): 생선은 동쪽(오른쪽)에, 육류는 서쪽(왼쪽)에 놓습니다.
생선은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놓는 ‘두동미서’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3열 (반찬류)
건(마른 것)과 죄(젖은 것)의 순서, 익힌 것과 날 것의 배치 등의 규칙이 전해집니다.
예를 들어, “건죄습우(마른 것은 왼쪽, 젖은 것은 오른쪽)” 등이 있습니다.
4열 (과일·후식)
과일은 홍동백서(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 배치) 원칙을 따르기도 하나, 요즘에는 단순하게 배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는 조율이시(左-율, 조-대추, 율-밤, 이-배, 시-감) 순으로 놓는 가정도 있습니다.
지방(紙榜, 신위)
지방은 조상을 상징하는 종이 위패입니다. 폭 6cm, 길이 22cm 정도 크기의 종이에 한자 또는 한글로 씁니다. 지방 작성 시 “현고학생부군신위” 등의 관용 구절을 기억하면 편합니다. 부모님 등을 함께 쓸 때는 아버지를 왼쪽, 어머니를 오른쪽에 적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차례음식 종류 (제수의 구성)
차례상에 오르는 음식(제수)은 많이 있지만, 대표적인 것들을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기본 제수 항목
송편 / 떡 - 추석에는 햅쌀로 한 송편을 올리는 것이 전통입니다.
나물류 - 고사리, 도라지, 고비, 숙주나물 등 소금 간만 한 나물들이 자주 올라갑니다.
구이 / 생선 - 조기, 갈치, 고등어 등 생선을 올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육류 / 산적 / 전 - 쇠고기 구이, 전, 산적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김치.ib612.com
과일 - 배, 감, 사과, 대추, 밤 등이 자주 올라갑니다.
술 / 청주 / 잔
후식 / 떡 / 약과 등
다만 전 문헌적 예서에서는 전(튀기거나 지지는 음식)을 일부 제사에서는 쓰지 않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일부 종가에서는 전을 간소하게 올리거나 생략하기도 합니다.
차례 지내는 법과 순서
아래는 전통적인 절차의 흐름입니다. 가족끼리 순서를 미리 정해두면 차례가 매끄럽게 진행됩니다.
1. 재계 및 청소
제사의 전날 또는 새벽에 집 안팎을 청소하고, 조상을 기리는 마음으로 재계합니다.
2. 제주 향 점화 & 술 따르기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이 향을 피우고 술을 잔에 붓습니다.
술은 모삿그릇에 세 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절하기 (참례)
먼저 제주가 절을 하고, 이어 나머지 제사 참여자도 두 번 절합니다.
4. 공복 참례 / 잠시 묵념
절이 끝난 후 잠시 정숙한 시간을 갖고 조상을 기립니다.
5. 공수 음복 (음식 나눠 먹기)
절차가 끝나면 가족끼리 음식을 덜어 먹으며 조상의 유덕을 나눕니다.
음식을 나눠 먹을 때는 위생에 유의해야 합니다.
6. 상 치우기
식사 후에는 상을 치우고, 남은 제수는 보관하여 나중에 먹습니다.
차례 시간 - 언제 지내야 할까요?
전통적으로 추석 당일 아침 시간 (양력 기준으로는 이른 오전) 에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집안 사정이나 일정을 고려해 가족들이 모두 모일 수 있는 시간대로 조정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일부 가정에서는 추석 전날 저녁이나 명절 당일 오전 중으로 유연하게 정하기도 합니다.
요즘은 교통편, 가족 일정 등이 복합적이기 때문에, “꼭 오전만”이라는 법칙보다는 모두가 함께 모일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차례상차림 간소화 - 부담 줄이는 방법
현대에는 차례 음식을 준비하고 절차를 갖추는 데 부담을 느끼는 가정이 많습니다. 이 때문에 간소화된 차례상이 점차 확산되고 있습니다.
간소화 원칙 / 추세
음식 가짓수 축소 - 예를 들어, 송편, 나물, 구이, 김치, 술, 과일 4종 정도로 간소하게 제수 구성을 줄이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습니다.
튀기거나 지지는 음식 생략 - 전이나 튀김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는 권고도 있습니다.
지방 대신 사진 사용 - 조상의 지방을 쓰는 대신, 사진을 놓고 차례를 지내도 무방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ib612.com
간소한 배치와 절차 축소 - 절차나 배치 규칙을 일부 생략하거나 간단히 줄이는 방식이 활용됩니다.
간소화의 이유는 정성을 담되 부담을 줄이는 것입니다. 형식에 얽매이기보다는 가족이 편안한 마음으로 조상을 기리는 방식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차례 후 남은 음식 보관과 활용 Tip.
차례가 끝난 뒤 제수를 다 먹지는 못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남은 음식 보관 및 활용 팁입니다.
빠르게 식힌 후 냉장 보관 - 남은 음식은 가능한 빨리 식혀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합니다. 실온에 오래 두면 식중독 위험이 높아집니다.
전 / 튀김은 한 번에 먹을 분량씩 나눠 보관 - 눅눅해지지 않게, 미리 나눠서 포장하면 좋습니다.
나물은 다시 살짝 볶아 보관 - 기름 없이 살짝 볶아낸 후 식혀 냉장하면 조금 더 보관을 할 수 있습니다.
떡·송편은 냉동 보관 - 먹을 만큼만 꺼내 쪄 먹으면 떡의 식감이 잘 유지됩니다.
과일은 종류별로 보관 - 사과 등 에틸렌 가스를 방출하는 과일은 다른 과일과 따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끝으로
차례는 형식보다 마음이 중요한 전통입니다. 너무 복잡하게 준비하기보다, 가족이 함께 정성을 모으는 데 의미를 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번 추석, 차례 준비가 조금 더 수월해지고 마음까지 따뜻해지길 바랍니다. 모두 풍성하고 건강한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