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중순은 한 해 농사의 마무리와 다음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식량작물은 수확과 저장, 원예작물은 병해충 방제와 파종, 축산은 질병 예방과 사료작물 준비 등 분야별로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주요 작업을 정리해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식량작물 관리
1. 벼 수확과 건조
- 출수 후 50~53일 사이 적기에 수확.
- 수분 함량은 15% 이하로 유지하며, 적정 온도로 건조
수매용 - 50℃ 이하 / 종자용 - 40℃ 이하
- 망사 시설이나 개량형 저장창고를 활용하여 건조 효율 높이기.
2. 콤바인 수확 시 주의
볏짚이 잘게 절단되어 포장에 고르게 깔리도록, 콤바인 작업 속도 유지.
3. 녹비작물 파종
헤어리베치 6~9kg/a 기준으로 파종.ib612.com
4. 동계작물 파종
보리, 밀 등은 제때 파종하여 월동 대비.
5. 토양검정 통한 친환경 관리
토양 샘플을 채취하여 친환경 인증, GAP, 원푸드 인증 등에 활용.
‘흙토람(soil.rda.go.kr)’에서 토양 분석 결과 및 비료 처방 확인 가능.
원예·특용작물 관리
1. 김장채소 병해충 관리
배추와 무는 병해충 발생에 대비해 정기적인 방제 필요.
2. 복숭아 병해 예방
세균성 구멍병 예방을 위해 석회보르도액(4~8식) 두 차례 처리.
3. 신고배 저장 전 처리
수확 후 7~10일간 예건한 뒤 저장고 입고해 껍질 변색 방지.
4. 과채류 수확 및 출하
억제 재배 중인 오이, 토마토 등은 수확 적기를 놓치지 않도록 관리.
5. 느타리버섯 재배
적정 재배 환경 유지: 온도 10~16℃, 습도 80~90%.
6. 마늘, 양파
10월 15일 이전까지 파종 및 정식 마무리.
7. 인삼 보식
2년생 인삼 부족 포장에 대한 보식 실시.
8. 정확한 비료 사용을 위한 토양검정
시료 채취 후 결과에 따른 시비 계획 수립.
9. 농업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등 다양한 미생물 활용하여 토양 및 생육 관리.
축산 관리
1. 외부 기생충 방제
가축의 파리, 모기, 진드기 등 외부 해충 정기 구제.
2. 전염병 예방접종
돼지의 위장병, 소의 호흡기 질병 예방 위해 백신 접종.ib612.com
3. 초지 이용
방목 간격은 3~4주 유지하며 목초 재생 유도.
4. 사료작물 파종
벼 수확 후 논에 사료작물 재배 준비.
5. 전국 공동 소독
매주 수요일, 가축시설 및 장비 대상 일제 소독 실시.
6. 축산미생물 적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을 이용해 장 건강 및 환경 개선.
7. AI·구제역 대응 체계 유지
유입 예방을 위한 상황실 상시 운영 및 감시 활동 강화.
계절 변화에 맞춘 농작업은 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을 좌우합니다. 적기 작업과 철저한 관리로 건강한 작물과 가축을 길러내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은 지역 농업기술센터에 문의해 더욱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