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하순은 한해 농사를 마무리하고 다음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수확 후 작물의 건조와 저장, 토양 관리, 시설 보온 등 겨울철 대비 작업을 철저히 해야 합니다.
식량작물 관리
1. 벼 건조 및 저장 준비
수분함량이 15% 이하가 되도록 말립니다.
건조기 온도는 용도에 맞게 조절합니다. (수매용 50℃ 내외, 종자용은 40℃ 이하 유지)
망사나 개량 저장고를 이용해 통풍이 잘 되도록 건조합니다.
2. 벼 우량종자 교환
지역 내 농가 간에 우량품종 벼를 자율적으로 교환하여 다음 재배 준비를 합니다.
3. 볏짚 활용 및 깊이갈이 작업
수확 후 볏짚을 포장에 깔거나 갈아 넣어 유기물로 활용합니다.
동시에 가을 깊이갈이를 실시해 토양 구조를 개선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4. 고구마 수확 후 저장관리
상처난 부분은 30~33℃, 습도 90~95% 환경에서 약 4일간 치유시킵니다.
직사광선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약 2주간 예비저장을 거친 뒤,
본 저장은 온도 12~15℃, 습도 80~90% 조건을 유지합니다.
5. 토양검정 및 정보 활용
친환경농업, GAP, 원푸드 인증을 위한 토양검정을 실시합니다.
‘흙토람(soil.rda.go.kr)’을 통해 비료 사용 처방서 및 토양 정보를 확인합니다.
원예, 특용작물 관리
1. 김장채소 관리
배추, 무에 추비를 주고 병해충을 방제합니다.
2. 버섯 재배관리
가을 느타리버섯 생육상태를 점검하고, 겨울 재배를 위한 환경 준비를 합니다.
표고버섯은 원목의 수분상태와 병충해를 관리합니다.
3. 시설원예 작물 관리
보온커튼, 난방장치 등 보온대책을 점검하고 설치합니다.
4. 과수원 관리
초생재배용 종자를 파종합니다.
유박, 퇴비, 복합비료 등 밑거름을 주고, 과수의 병해충 전염원이 되는 잡관물이나 조피를 제거합니다.
5. 토양개량 및 미생물 활용
토양검정을 의뢰하여 객토나 개량제 사용 계획을 세웁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등 농업미생물을 활용해 토양과 작물 생육을 개선합니다.
6. 인삼 파종
인삼 종자는 1,740립 정도를 한 칸에 파종합니다.
축산 관리
1. 사료 전환 및 급여관리
담근먹이(사일리지)와 건초 급여를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2. 계사 관리
산란계는 점등시간을 늘려 산란율 저하를 방지합니다.
3. 축사 보온 준비
겨울철 대비로 보온시설을 점검하고, 미비한 부분을 보강합니다.
4. 초지 관리
새로 조성된 초지는 월동 전 방목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합니다.
5. 축산 미생물 활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 미생물을 급여하거나 살포해 가축의 건강과 악취를 개선합니다.
6. 방역 강화
매주 수요일 ‘전국 일제 소독의 날’에 맞춰 소독을 철저히 실시합니다.
AI(조류인플루엔자), 구제역 방역 상황실을 상시 운영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각 작물과 가축의 생육 상태를 세심히 살피고, 토양검정과 미생물 활용으로 건강한 농장을 유지합시다. 철저한 방역과 보온 준비로 안정된 겨울 농업을 맞이하시기 바랍니다.
관련링크 -
쌀, 지역별 수확 시기 - 언제 수확해야 맛있는 쌀이 될까?
맛있고 오래가는 고구마 수확법 - 시기부터 방법까지
조선 농촌의 달력 - 정학유의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로 보는 12달의 농사와 풍속
하수오 효능과 부작용 - 머리카락 검게 하는 법부터 건강하게 복용하는 방법까지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