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유의 멋과 품격을 담은 전통 의상 한복, 곡선미가 아름답고 색의 조화가 섬세하여, 입는 사람의 자세와 마음가짐까지 단정하게 만들어 줍니다. 그러나 현대에는 한복을 자주 접하지 않다 보니, 입는 순서를 헷갈려 하거나 매무새를 바로잡기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남녀 한복의 기본 입는 순서와 올바른 착용 방법을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한복을 처음 입는 분들도 단아하고 예의 있는 한복차림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여성 한복 입는 순서
짧은 속바지 + 브래지어
먼저 짧은 속바지를 착용하고, 브래지어 등으로 가슴을 고정해 줍니다. 이후 긴 속바지를 겹쳐 입습니다. 이는 겉옷의 실루엣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속치마 착용
긴 속바지 위에 속치마를 입습니다. 속치마는 겉치마보다 길이가 약간 짧은 것이 일반적이며, 한복의 곡선미가 살아나도록 해줍니다. ib612.com_해달바람비
겉치마 입기
겉치마를 입을 때는 뒤트기(뒤중심선) 치마의 경우 뒷중심에서 양쪽으로 약 7 cm 정도 여며지게 매듭을 짓는 것이 깔끔합니다. 치마 허리선이 저고리 도련(옆 여밈선) 아래로 보이지 않도록 매무새를 잡습니다.
속적삼 착용
속치마 위에 속적삼을 입어 겉옷(저고리)와의 사이에 자연스러운 층을 만듭니다. 속옷만 입은 상태보다는 전체적인 덧입음이 한복답게 보입니다.
버선 신기
버선을 신고 나서, 한복 치마가 버선 위로 말려 올라가지 않도록 정리합니다.
저고리 입기 및 고름 매기
저고리를 입을 때는 먼저 동정(깃 안쪽 칼라)이 제대로 맞는지 확인하고 안쪽 고름을 묶은 다음, 겉고름을 매듭지어 마무리합니다. 저고리의 어깨 솔기나 진동선이 뒤로 넘어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가볍게 앞으로 내려 입는 것이 좋습니다.
진동선, 허리선 정리
입은 후에는 진동선(암홀선)과 치마 허리선이 흐트러져있지 않은지 확인합니다. 특히 치마 허리선이 저고리 밑으로 살짝 보이지 않게, 버선 끝이 치마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정돈하면 한복이 더욱 단정해 보입니다.
노리개 답기
한복에 장식으로 사용하는 노리개를 겉고름이나 치마 허리에 달아 포인트를 줍니다. 노리개 고리가 있을 경우 긴 고름에 걸고, 끈 형태일 경우 고리를 끼운 뒤 고름을 매듭지으면 됩니다.
두루마기 착용
외출 시에는 마지막으로 두루마기를 걸칩니다. 또한, 두루마기 위에 머플러 또는 숄을 매는 것이 예의 있고 격식 있어 보입니다.
남성 한복 입는 순서
내의 또는 속고의 착용
맨 먼저 속옷처럼 입는 내의나 속고의를 착용해 몸에 기본적으로 깔끔한 상태를 만듭니다.
바지 입기
바지를 입을 때는 앞중심에서 왼쪽으로 주름이 가도록 접어 허리 둘레를 조절하고, 허리에 맞춰 착용합니다. 이는 바지의 주름이 자연스럽게 보이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저고리 착용
바지 위에 저고리를 입습니다. 이때 동정니(깃의 접히는 부분)가 잘 맞게 조절하고, 저고리 고름을 매는 순서대로 착용합니다.ib612.com_해달바람비
버선이나 양말 신고 대님 매기
남성 한복도 버선이나 양말을 신은 뒤에 바지 허리끈이나 대님(허리매듭)을 매는 것이 좋습니다. 바지 아래 정리 상태가 깔끔해집니다.
조끼(배자) 착용
저고리 위에 조끼 형태의 배자를 입습니다. 이때 배자 밑으로 저고리가 빠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마고자 착용
배자 위에 마고자를 입습니다. 착용할 때 저고리가 마고자의 소매 끝이나 도련 밑으로 보이지 않도록 정리해야 합니다.
두루마기 착용
외출하거나 예절을 갖춰야 할 상황에서는 마지막으로 두루마기를 걸칩니다. 남성 한복에서 두루마기는 겉모습을 완성하는 중요한 의상입니다.
입을 때 기억하면 좋은 Tips.
한복은 겉으로 보이는 매무새가 매우 중요합니다. 허리선, 치마선, 고름 매듭 등이 흐트러지면 전체 인상이 흐려질 수 있으므로 입은 뒤 거울을 보고 정리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특히 여성 한복의 경우 치마 뒤중심이 벌어지지 않도록 신경써야 단아한 느낌이 살아납니다.
남성 한복 바지의 주름 방향이나 허리접음 등이 조금만 어긋나도 어색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착용 후 전체적인 라인을 체크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출하거나 격식을 차릴 경우에는 속옷부터 외투류(두루마기 등)까지 단계적으로 옷을 겹쳐 입는 것이 전통적인 예절입니다.
한복은 우리 조상의 미의식과 예절이 담긴 의복이자 문화유산입니다. 입는 순서를 알고 매무새를 정리하는 과정은 전통을 배우는 일과도 같습니다. 겉모습뿐 아니라 바른 자세와 마음가짐까지 함께 다듬어질 때 비로소 한복의 품격이 완성됩니다. 명절, 혼례, 돌잔치 등 특별한 날뿐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한복을 자연스럽게 즐기며 우리의 아름다운 전통을 이어가길 바랍니다.
#한복입는순서 #여자한복입는법 #남자한복입는법 #한복예절 #한복착용법 #한복매무새 #전통의상 #한국전통문화 #한복코디 #명절한복 #혼례한복 #두루마기입는법 #저고리입는법 #치마입는법 #한복예의 #한복기본 #우리옷사랑 #한복의미 #한복가이드 #한복정보
관련링크 -
- 전통 한복 소재와 계절별 활용법 - 어떤 소재가 좋을까?
- 의류, 종류별로 깨끗하게 클리닝(세탁) 하는 방법
- 아이 한복 (남자아이, 여자아이) 사이즈 조건표
- 천연염료의 종류
- 홀치기 염색기법 8가지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