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장미 재배와 관리법

누구든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장미 재배와 계절별 관리법, 가지치기·병충해 방제·관수·비료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장미 재배


1. 재배 환경

장미 묘목은 하루 3시간 이상 햇빛이 드는 곳이 이상적입니다. 관리 편의를 위해서는 오전 햇살이 드는 위치가 좋습니다. 너무 큰 나무 아래, 방부 처리된 목재 근처, 바람이 심하게 부는 장소는 피해야 합니다. 통풍이 부족하면 장미가 무럭무럭 자라긴 하지만, 병충해에 취약해집니다. 통풍이 어느 정도 확보된 곳이 최적입니다.

토양은 점토가 좋으며, 적토나 흑토도 무난합니다. 매우 건조한 곳은 적합하지 않지만, 매일 아침 물을 주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물이 항상 고이는 곳에서는 뿌리가 썩을 수 있으므로 높은 곳에 심는 것이 안전합니다.


2. 묘목 종류

장미 묘목은 크게 신묘, 대묘, 분재묘로 나뉩니다.

신묘 - 7~9월 밭에서 눈접 후, 다음 해 4월부터 판매 가능. 12~1월 깎기접 후 같은 해 4월 하순부터 판매 가능.

대묘 - 1년생 대묘는 신묘를 길러 만든 것, 2년생 대묘는 2년차에 판매하는 묘목입니다.

분재묘 - 신묘를 화분에 심어 1년간 기른 후 판매하거나, 2년 이상 대묘를 화분에 심어 재배 후 꽃을 피워 판매합니다.ib612.com


3. 정식(본격 심기)

시기 - 신묘는 4~5월, 2년생 대묘는 10월 하순다음 해 3월, 분재묘는 휴면기(12~2월) 묘목은 뿌리를 풀어 심고, 휴면기가 아닌 묘목은 흙과 함께 심습니다.

방법 - 깊이 40cm 이상, 지름 30cm 정도의 구덩이를 파고, 두엄 3kg과 깻묵·골분·과인산석회 300g씩을 섞어 넣습니다. 흙 10cm 위에 용성인비 30g을 섞은 뒤 뿌리를 올리고 흙을 덮습니다. 물은 구덩이 바닥까지 충분히 주고, 흙을 채웁니다.


4. 물주기와 덧거름

정식 후 3일간은 물을 주지 않고, 이후 3일 간격으로 물을 줍니다. 최소 주 1회는 충분히 물을 주어야 하며, 한여름·한겨울 건조기, 개화 직전, 눈 트는 시기에도 중요합니다.

덧거름은 2년생 대묘 기준, 뿌리에서 30cm 이상 떨어진 곳에 100g 정도의 비료를 둘러주고, 흙과 가볍게 섞습니다. 화산회토에서는 질소·인산·칼륨 비율을 1:3:1로, 점질토에서는 1:1.5:0.5 정도가 적절하며, 토양 상태와 햇빛 조건을 고려합니다.


5. 가지치기

봄 가지치기 - 발아 직전(2월 중~3월 초) 실시. H.T. 장미는 전년도 가지 높이의 절반 정도에서 자릅니다. 중심부 얽힌 가지는 최대한 제거하고, 술잔모양으로 수형을 잡습니다.

품종별 주의 - Gr. 장미는 수형을 고려, Flb.는 몸집이 작은 경우 가볍게 다듬습니다. Min.은 화분 재배 시 꼼꼼히 가지를 살펴 가지치기. 덩굴장미는 한철 개화는 6월 하순에, 사계절 개화는 꽃 핀 가지만 2~3엽 남기고 자릅니다.

일반 지침 - 4년 이상 된 가지, 죽거나 허약한 가지는 제거하고, 가지치기 후 절단부는 소독제 살포. 발아 시 살충제도 병행합니다.ib612.com


6. 병충해 관리

병해
검은점병 - 잎에 검은 점이 생겨 노랗게 변하고 낙엽 발생. 예방약을 잎 뒷면에 사전 살포.
흰가루병 - 습한 환경에서 잎이 희게 변함.
녹병 - 점토질 습지, 배수 불량에서 발생.
노균병 - 저온·다습 환경에서 새 잎 보라색 반점, 낙엽·고사 유발.
부란병 - 2~4월, 갈색 반점 발생, 절단 후 방제제 처리.
암종병 - 뿌리나 접목 부위에 혹 발생, 심하면 흙 교체 필요.
모자이크병 - 잎 황백색 무늬, 생육·개화 장애, 절화용 장미 화단에서 주의.


충해
장미진딧물 - 새순 집중 발생, 살충제 사용.
장미나무벌 - 4월 하순, 줄기 찢고 산란, 10일간 아침 살충제 살포.
장미등에잎벌 - 5~6월, 줄기 손상, 유충 제거 필요.
붉은응애 - 잎 뒤 거미줄 형성, 잎 말라 떨어짐. 물청소 후 살응애제 사용.
기타 - 풍뎅이, 바구미는 포획·살충제 사용.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