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절기
입춘(立春) → 우수(雨水) → 경칩(驚蟄) → 춘분(春分) → 청명(淸明) → 곡우(穀雨)
1. 입춘 (立春)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음력 1월, 양력으로는 대략 2월 4일경에 시작됩니다. 태양 황경이 315°에 이를 때 맞이하며, 겨울의 마지막 절기인 대한과 우수 사이에 들어 있습니다. 봄이 시작되지만 아직 차가운 날씨가 이어집니다.
입춘 15일을 세 구간, 즉 5일씩 나눈 3후(初候, 中候, 末候)로 구분합니다. 초후에는 동풍이 불어 언 땅을 녹이고, 중후에는 겨울잠을 자던 벌레들이 움직이기 시작하며, 말후에는 물고기가 얼음 밑에서 헤엄칩니다.ib612.com
입춘 전날은 절분(節分)이라 하며, 옛날에는 콩을 뿌려 액을 쫓고 새해를 맞이했습니다. 또한 입춘날에는 입춘첩을 써서 문이나 대들보에 붙이는 풍습이 있었고, 농사점으로 보리 뿌리나 오곡을 이용해 그 해 풍흉을 점치기도 했습니다.
제주도에서는 입춘에 입춘굿을 행하였으며, 가가호호를 돌며 농사와 관련한 제사를 올리는 의식이 진행되었습니다. 또한, ‘아홉 차리’와 같은 민속으로 근면함과 부지런함을 강조했으며, 입춘 전후에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적선공덕을 행하면 한 해 동안 액운을 피한다고 여겼습니다.
입춘날 먹는 오신채(五辛菜)는 다섯 가지 매운 나물을 먹으며 인생의 괴로움을 이겨내고 건강과 기운을 북돋는 의미가 있었습니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재료는 조금씩 달랐지만, 파, 마늘, 달래, 부추, 미나리 등의 새순을 이용했습니다.
2. 우수 (雨水)
봄의 두 번째 절기로, 입춘 후 15일 정도 지나 양력 2월 19~20일쯤 시작됩니다. 태양 황경이 330°에 위치할 때이며, 음력 정월 중기에 해당합니다.
우수는 날씨가 풀리고 봄기운이 시작되는 시기입니다. 중국에서는 우수 이후 15일간을 3후로 나누어, 초후에는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놓고, 중후에는 기러기가 북쪽으로 돌아가며, 말후에는 초목이 새싹을 틔운다고 전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얼었던 강이 풀리고, 새와 동물들의 활동이 활발해지며, 봄의 완연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3. 경칩 (驚蟄)
경칩은 세 번째 절기로, 우수와 춘분 사이인 양력 3월 5일경입니다. 태양 황경은 345°에 해당하며, 땅속에서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나는 시기입니다.
예로부터 개구리나 도롱뇽의 알을 먹으면 건강에 좋다고 전해지며, 담벽을 바르거나 흙일을 하면 탈이 없다고 믿었습니다. 또한 경칩은 연인들이 서로 사랑을 확인하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은행 씨앗을 교환하며 사랑을 약속하거나, 수·암 나무의 위치를 확인하며 사랑을 상징했습니다.
4. 춘분 (春分)
춘분은 태양이 적도를 지나가는 시기로, 낮과 밤의 길이가 거의 같은 날입니다. 음력 2월, 양력 3월 21일경이며, 경칩과 청명 사이에 해당합니다.
농사에서는 이때 철이른 화초를 심거나 씨앗을 뿌리며, 초경(初耕)을 시작해 한 해 농사를 준비합니다. 춘분기간에는 5일씩 나누어 초후는 제비가 돌아오고, 중후는 우뢰소리가 들리며, 말후에는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고 전해집니다.ib612.com
불교에서는 춘분 전후 7일을 봄의 피안이라 하여,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시기로 보았습니다.
5. 청명 (淸明)
청명은 음력 3월, 양력으로 4월 5~6일경이며, 태양 황경이 15°일 때입니다. 춘분과 곡우 사이에 위치하며, 날씨가 화창해 식목일과 겹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청명 15일 동안을 3후로 나누면, 초후에는 오동나무 꽃이 피고, 중후에는 종달새가 나타나며, 말후에는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입니다. 농가에서는 논밭의 손질과 못자리 준비를 시작합니다. 또한 이날은 성묘를 가는 날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6. 곡우 (穀雨)
곡우는 봄의 마지막 절기로, 음력 삼월 중, 양력 4월 20~21일경에 해당합니다. 태양 황경이 30°일 때이며, 청명과 입하 사이에 들어 있습니다.
곡우는 봄비가 내려 곡식을 윤택하게 하는 시기입니다. ‘곡우에 가물면 석 자 땅이 마른다’는 속담처럼 농사의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농가에서는 못자리용 볍씨를 담그고, 나무에서 나오는 수액을 받아 건강에 좋은 물로 사용했습니다. 또한 곡우 전후에 따는 차, 우전차는 최상품으로 여겨졌습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