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주택 설비-전기 시공, 이것만은 꼭 확인하세요!

전원주택 설비·전기 시공 시 꼭 챙겨야 할 배관 기울기, 보온, 회로 분리 등 핵심 체크리스트로 동파·누전 걱정 없이 안전하게!

 건물을 사람의 몸에 비유한다면, 설비와 전기는 혈관과 신경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지만, 이 두 요소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집은 그야말로 '앓는 집'이 됩니다.


기본 배관도


현장에서 설비 공사를 진행할 때, 반드시 신경 써야 할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이 있습니다.

① 하수 배관의 ‘기울기’는 생명선입니다

특히 다가구 주택이나 주차장을 포함한 구조에서는 1층 공간을 띄워(플로어 플로팅) 사용하고, 2층 이상부터 주거공간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하수 및 오수 배관이 노출된 채 천장 아래를 지나가게 되는데, 이때 배관 기울기를 소홀히 하면 겨울철 큰 문제가 생깁니다.

기울기가 완만하면 물이 흐르다가 배관 아래쪽부터 서서히 얼어붙기 시작합니다. 특히 한파가 지속되는 시기엔 하수관이 완전히 막히는 일이 발생할 수 있고, 변기 라인에서 문제가 생기면 생활이 마비되는 상황까지 갈 수 있습니다. 여기에 정화조로 이어지는 변기 배관은 단순한 물이 아닌 ‘유기물이 포함된 물’이기 때문에, 냉각 속도도 빠르고 동결 확률도 높습니다.ib612.com

→ 중요!!! ‘최대한 충분한 경사 확보’입니다.

기본만 지킨다고 안심하면 안 되고, 현장 조건에 맞춰 가능한 한 급하게 물이 빠질 수 있도록 시공하는 것이 장기적인 문제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참고로, 욕실에서 냄새 차단용으로 설치하는 U자형 트랩(U-trap)은 겨울철 동파의 대표적인 원인이 됩니다. 안에 고여 있는 물이 그대로 얼어붙기 때문이죠.


② 외부 수도 설치는 ‘건물 본체에서 꺾어 나오는 방식’이 안전합니다

전원주택에서는 발코니나 외부 공간에 수도를 설치할 일이 종종 생깁니다. 그런데 이런 외부 수도는 겨울철에 쉽게 얼 수 있습니다. 난방이 없는 발코니 공간에 수도 배관을 직접 노출시키면, 동파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가장 안전한 방식은 건물 내부 벽면에서 배관을 뽑아내고, 수도꼭지만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조입니다. 이렇게 하면 외부가 아무리 추워도 배관의 대부분이 실내에 있기 때문에 훨씬 안전합니다.


③ 상수도 라인에는 ‘보온재’가 필수입니다

겨울에 며칠 동안 집을 비우는 경우, 실내온도가 낮아지면 보온이 되지 않은 배관은 쉽게 얼 수 있습니다. 단열재나 열선 없이 시공된 배관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도 위험합니다.

따라서 모든 급수 라인에는 반드시 보온재를 감싸는 것이 기본 중의 기본입니다. 가능하다면 전기 열선을 병행 설치하면 더욱 안전합니다.


④ 1층 바닥 난방 배관 시 ‘열반사 단열재’로 효율을 올리세요

바닥 난방을 위한 엑셀 파이프를 시공할 때, 대부분은 스티로폼 단열재 위에 배관을 설치합니다. 여기서 한 가지 팁을 드리자면, 스티로폼 위에 열반사 단열재를 한 겹 추가로 시공하면 난방 효율이 크게 향상됩니다.ib612.com

이렇게 하면 지열로 열이 빠져나가는 것을 줄이고, 난방 열기를 실내로 반사시켜 더 적은 연료로 더 따뜻한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전기 공사도 '회로 분리'가 생명입니다

전기 공사는 자격을 갖춘 전문 업체가 맡는다고 해도, 시공 전에 몇 가지는 반드시 직접 요청하셔야 합니다.

① 회로는 최소 4개 이상, 용도별로 구분하세요

전등 회로, 전열기기 회로, 외부 조명 회로, 세탁기/주방가전 전용 회로 등으로 구분해야 합니다. 사용 전력량이 큰 전열기기(온수기, 전기난로 등)가 전등과 같은 회로에 연결되면, 전압 불안정이나 차단기 트립 문제가 자주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외등 및 욕실 회로는 ‘무조건 별도’

가장 문제가 많이 생기는 곳이 외부 조명 라인과 욕실 콘센트입니다. 이 두 곳은 누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별도 회로로 분리해두면 문제가 생겼을 때 전체 전원 차단 없이 일부만 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외등에서 누전이 발생했을 때, 회로가 분리돼 있다면 외등 차단기만 OFF시키고, 나머지 집안 전기는 계속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모든 것이 하나의 회로에 묶여 있으면, 외등 문제로 집 전체가 정전될 수 있습니다.


끝으로

집짓기는 물과 전기의 흐름을 통제하는 일입니다. 겉으로 보이는 마감재나 인테리어보다도, 보이지 않는 곳을 어떻게 설계하고 시공하느냐에 따라 집의 수명이 달라집니다. 보통 사람들은 공정이 끝난 후에야 문제를 인식하게 되지만, 시공 당시 몇 가지만 제대로 챙긴다면 나중에 겪을 골칫거리를 대부분 피할 수 있습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