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중순은 농사에서 여름과 가을이 만나는 시기로, 작물의 생육 관리와 수확 준비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논에서는 벼의 수확과 물 관리가 핵심이고, 밭에서는 적기 수확과 건조가 필요합니다. 또한 과수·버섯·약용작물 등 다양한 원예작업과 더불어 가축의 건강관리, 예방접종도 소홀히 할 수 없습니다.
식량작물
논 관리
종자를 받을 논에서는 잡이삭 제거 및 피사리 실시
중생종 벼는 이삭 팬 뒤 30~40일 시점에 완전 물떼기
조생종 벼는 본격적인 수확기
콤바인 회전수 유지 : 종자용 400회/분, 수매용 500회/분
수확 시 볏짚은 절단해 논바닥에 골고루 깔기
밭작물
제때 수확하고 햇볕에 잘 말려 저장 준비
농업 관련 행사
농업기술보급사업 종합평가회 참여.ib612.com
유기물 관리
좋은 퇴비 만들기와 함께 가을 녹비작물(호맥) 파종 준비
토양관리
친환경 및 GAP 인증용 토양검정 실시
|‘흙토람’(soil.rda.go.kr)에서 비료 사용처방서 확인 후 활용
원예·특용작물
딸기 아주심기(반촉성 재배용)비닐하우스에서 겨울·봄철 출하용 채소 파종
과수는 숙기별로 알맞은 시기에 수확·출하
느타리버섯 배양실 환경 조절 : 온도 23~29℃, 습도는 70% 이하
표고버섯 발생 관리와 원목 점검
치악산 큰송이 재배지 관리 : 15~18℃ 유지
약용작물(당귀·황기·도라지) 수확
인삼 수확 및 해가림 시설 해체
농업미생물(광합성균, 고초균, 유산균, 복합균) 적극 활용
축산
산란계 점등 사육으로 생산성 유지
가금 뉴캐슬병 예방접종 및 가축 기생충 구제
소·돼지 인공수정 시기 준수
첫 발정 시작 후 12~18시간에 1차
1차 후 12시간 뒤 2차 종부
구제역 예방백신 일제 접종.ib612.com
축산미생물(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급여
매주 수요일 전국 공동 소독의 날 참여
이 시기에 해야 할 작업들을 놓치지 않고 알맞게 실천한다면 풍년은 물론이고 안정적인 농가 운영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벼와 밭작물의 수확 관리, 버섯과 약용작물의 환경 조절, 가축의 위생과 예방 활동까지 균형 있게 챙겨야 합니다. 계획적인 관리와 꾸준한 실천이 농사의 성패를 가르는 열쇠가 됩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