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달바람비
자급자족의 삶, 부러움이 아니라 결심의 이유가 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조선의 일상, 웃음을 그리다 - 보물 제527호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조선 화가 김홍도의 유쾌한 풍속화 25점! 조선 후기 서민의 생생한 일상을 담은 그림책 형태의 문화재 보물 이야기.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金弘道筆 風俗圖 畵帖)은 선 후기의 화가인 김홍도가 그린 그림책 형태의 풍속화 25첩이다. 단원 김홍도(1745∼?)는 신선그림이나 초상화, 산수화 등 다양한 주제로 그림을 그렸지만, 풍속화가로 더 유명하다.

풍속화는 종이에 먹과 옅은 채색을 하여 그렸는데, 각 장의 크기는 가로 22.4㎝, 세로 26.6㎝ 정도이다. <씨름>, <대장간>, <글방> 등과 같이 서민사회의 일상생활 모습과 생업에 종사하는 모습이 구수하고도 익살스럽게 표현된 그림들이 실려 있다. 풍속화의 대부분은 주변의 배경을 생략하고 인물을 중심으로 그렸는데, 특히 인물은 웃음 띤 둥근 얼굴을 많이 그려 익살스러움을 한층 더하였다. 선이 굵고 힘찬 붓질과 짜임새있는 구도는 화면에 생동감이 넘치게 하는 한편 서민들의 생활감정과 한국적인 웃음을 잘 표현하고 있다.ib612.com

영조 21년(1745)∼순조 16년(1816)에 그린 이 풍속화들은 활기차게 돌아가는 서민들의 일상생활의 사실성과 사회성을 그 생명으로 삼았고, 또한 서민의 일상생활을 주제로 한 것이어서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출처 - 문화재청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보물 제527호

명 칭 -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분 류 - 유물 / 일반회화/ 풍속화/ 풍속화

수량/면적 - 1첩

지정(등록)일 - 1970.12.30

소 재 지 - 서울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시 대 -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관리자(관리단체) - 국립중앙박물관.ib612.com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 (金弘道筆 風俗圖 畵帖)


댓글 쓰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