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사람에게 사용하는 호칭
- 부모 친구나 친구 부모, 혹은 16년 이상 연장자 - 친근하면서도 예우를 갖춰 “어르신” 또는 “어르신네”라 부름
- 존경하는 어른 또는 교사 - “선생님”으로 예의를 표함
- 11~15년 연상·연하 관계 - 상호 존중의 의미로 “노형(老兄)” 사용
- 6~10년 차이의 연상·연하 관계 - 친근하게 “형님”, “형” 호칭 가능
- 같은 업계 또는 학교 선배 - “선배님”, “선배”라 하여 경험 존중.ib612.com
- 5~6년 나이 차의 친근한 사이는 - 서로 이름을 부르거나 “자네”로 대화
- 직책이 있는 상대 - 해당 직함에 “님”을 덧붙여 “○○님”으로 존칭
- 친한 친구 가족 - 예를 들어 “○○아버님”, “○○누님” 등으로 관계 표현
- 미성년 또는 어린이 - 이름을 직접 부르거나 “얘”, “너” 등의 표현
낯선 사람에게 사용하는 호칭
- 60세 이상 노인 - “노인어른” 혹은 “노인장”으로 경의 표시
- 노인에게 함부로 ‘할아버지·할머니’ 사용은 지양
- 자신보다 훨씬 나이 많은 성인 - “어르신”, “어르신네” 사용
- 품격 있는 연장자 - “선생님”으로 높임
- 호칭이 애매한 중년 남성 - “선생” 또는 “노형”
- 또래 남성 - 전통적인 표현으로 “형씨” 또는 “댁”
- 기혼 여성 중 높임이 필요 없는 경우 - “부인” 사용
- 자신보다 훨씬 어린 성인 남성 - “청년”, “젊은이”
- 미혼 청소년 남녀 - “총각”, “아가씨”
- 학생 신분 - 그냥 “학생”
- 어린아이 - “소년”, “얘”
- 일반적인 남녀를 통칭할 땐 - “아저씨”, “아주머니”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
나이에만 얽매인 호칭은 관계를 경직시킬 수 있어 상황과 친밀도를 고려한 선택이 중요합니다.
자기를 부를 때
- 어른이나 공적인 상황에서 - “저”, “제가”
- 친구나 또래끼리는 - “나”
- 가족이나 친족 앞에서는 - 손자에게는 “할아버지”, 자녀에게는 “아버지”, 동생에게는 “형” 등 상대 기준으로 말함
- 자기 집이나 단체를 대표할 땐 - “우리”, “저희”
사돈 간의 호칭
밭사돈 간 호칭
- 상대가 나이가 많으면 “사돈어른”, 비슷하거나 아래면 “사돈”
- 지역 구분이 필요할 땐 “○○사돈어른”, “○○사돈”ib612.com
- 지칭 시엔 “○○(외)할아버지” 등 관계 중심 표현도 사용
안사돈 간 호칭
- 기본적으로 “사부인”으로 존칭
- 친밀하거나 나이가 아래이면 “사돈”, “사부인” 선택 가능
- 다른 사람에게 이야기할 때는 “○○(외)할머니” 등 활용
항렬이나 삼촌 관계
- 자녀 배우자의 삼촌 항렬은 부모 호칭과 유사하게 “작은(외)할아버지” 등으로 부름
동기 배우자의 형제들
- 남성 - “사돈”, “사돈 도령”, “사돈 총각”
- 여성 - “사돈”, “사돈 처녀”, “사돈 아가씨”
- 지칭 시엔 손자·손녀 기준으로 “○○(고종, 이종)사촌 형/언니” 등 명시 가능
자녀 배우자의 조부모
- 항렬이 높으면 “사장어른” 또는 “노사장어른”
- 성별 따라 “안사장 어른”으로도 조정
- 외부 설명 땐 “○○(시, 처)조부모” 또는 “○○외할아버지/외할머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는 호칭 체계도 기본 원칙을 알고 나면 훨씬 쉽게 다가옵니다. 관계에 따라 적절한 호칭을 사용하는 것은 예의의 시작입니다.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