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상순은 작물의 수확과 가을 농사를 준비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논·밭작물의 수확과 병해충 관리, 가을재배 준비, 토양관리 등 다양한 작업이 필요합니다. 과수와 버섯류, 축산 분야에서도 철저한 환경 관리와 예방조치가 요구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안정적인 수확과 농장 운영에 만전을 기하시기 바랍니다.
식량작물 관리
논 관리
중·만생종은 물을 천천히 빼며 익힘 단계 돌입
조생종은 이삭이 팬 후 약 30~40일 시점에서 완전히 물떼기
종자 채종용 논은 잡이삭 제거와 피(잡초) 방제 철저히
벼멸구 밀집 발생지에 대해서는 방제작업 추가 실시
밭작물
수확 적기 도래한 작물은 병해 피해 전에 신속히 수확
녹비작물
10월 말까지 해당 읍면동에 종자 신청 가능
토양관리
친환경·GAP 농가 대상 토양검정 추천
'흙토람(soil.rda.go.kr)' 및 비료처방서로 시비 계획 수립
원예 및 특용작물
배추
아주심기 적기, 정식 시기 놓치지 않도록 관리
과수류
품종별 성숙 시기에 맞춰 수확 및 출하
수확 후 가을 전정 실시로 내년도 결실 준비
버섯류
느타리버섯은 볏짚 또는 폐면을 활용해 종균 접종 (3.3㎡ 기준 5.4~6.8kg)
균사는 적정 온도와 습도에서 잘 자라도록 환경 조성
표고버섯 원목 상태 점검 및 발아 조건 조성
약용작물
당귀, 황기 등 수확기 도래 작물 준비
양파
내한성 품종 육묘기, 웃자람 방지 및 병해 예방 집중관리
농업미생물 활용
광합성균, 유산균, 고초균 등 다양한 균종을 병해 저감과 생육 증진에 활용
특히, 태풍에 대비해 시설하우스 및 과원 사전 점검 및 보강 필요
축산 분야
초지 조성
가을철 목초 파종 적기, 품종별 파종량 고려
방역 및 청결
축사 정기 소독 및 환경위생 철저
닭 AI(조류인플루엔자), 소 구제역 예방백신 접종 필수
소 기립불능증 등 질병 예방
사료관리 및 바닥 청결 유지로 질병 발생 최소화
미생물제 활용
유산균, 고초균, 효모균 등 가축 장 건강 및 냄새 저감에 효과적
전국 공동 방역
매주 수요일 ‘일제 소독의 날’ 운영, 참여 필수

댓글
댓글 쓰기